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18세기 京畿道 安山 仍火面 洞長里洞內契 시행과 운영 구조 =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Structure of Dongjang-ridongnaegye in Inghwa-myeon, Ansan, Gyeonggi-do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443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7~18세기 경기도 안산 잉화면 동장리에서 시행된 洞長里洞內契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동장리동내계와 관련된 주요 자료는 『洞內契立議』, 『洞內上契座目』, 『下契名錄』 등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동장리동내계는 1628년에 시행되었으며, 처음 시행될 때는 상계원만으로 구성된 향규였다. 그러나 1647년부터 동장리동내계는 상계원과 하계원으로 구성된 상하합계로 변화하였다. 이후 1782년 동장리는 월피리, 와곡리, 고잔리로 분동되었는데, 분동된 이후인 1791년까지 하계 조직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분동된 이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동장리동내계는 상장례 상호부조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부조의 대상은 약원 본인, 그의 아버지와 어머니, 처이며, 상ㆍ하계원 간의 현물과 노동력 부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현물 부조는 시기에 따라 종류가 다소 달라졌지만 상ㆍ하계원 간에 균등한 현물 부조가 이루어졌다. 1647년 「立議」에서는 상ㆍ하계원 간의 노동력 부조에 차이가 있었으나, 1676년 「洞內契立議修正」에서는 상ㆍ하계원 간의 구분 없이 동일하게 노동력 부조가 이루어졌다. 또한 동장리동내계에서는 상계원이 상을 당하면 상계원끼리 추가적으로 현물과 노동력을 부조하였다.
      셋째, 동장리동내계의 상계원은 연성 김씨가 많은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성 김씨 이외에 진주 하씨, 순천 김씨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존위의 경우도 다수가 연성 김씨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를 볼 때 17세기 동장리에서 다른 성씨보다 연성 김씨가 영향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동장리동내계는 하계원의 명단인 『下契名錄』를 별도로 작성한 것이 특징이다. 『下契名錄』에는 하계 조직의 구성과 역할에 대해서도 작성되어 있다. 『下契名錄』의 작성 방식은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1658년부터 1662년까지는 하계원의 이름만 작성되었다가, 1684년부터 1764년까지는 이름 아래 생년이 추가되었다. 1782년에 중수되었을 때는 작성 방식에 큰 변화가 있었다. 1782년 작성된 좌목에는 하계원 이름과 생년뿐 아니라 와동, 월피동, 고잔동 중 동장리가 분동된 후 어느 동에 거주하는지와 부조를 받은 대상, 특이 사항 등이 작성되어 있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17~18세기 경기도 안산 잉화면 동장리에서 시행된 洞長里洞內契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동장리동내계와 관련된 주요 자료는 『洞內契立議』, 『洞內上契座目』, 『下契名錄』 등이...

      본 논문은 17~18세기 경기도 안산 잉화면 동장리에서 시행된 洞長里洞內契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동장리동내계와 관련된 주요 자료는 『洞內契立議』, 『洞內上契座目』, 『下契名錄』 등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동장리동내계는 1628년에 시행되었으며, 처음 시행될 때는 상계원만으로 구성된 향규였다. 그러나 1647년부터 동장리동내계는 상계원과 하계원으로 구성된 상하합계로 변화하였다. 이후 1782년 동장리는 월피리, 와곡리, 고잔리로 분동되었는데, 분동된 이후인 1791년까지 하계 조직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분동된 이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동장리동내계는 상장례 상호부조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부조의 대상은 약원 본인, 그의 아버지와 어머니, 처이며, 상ㆍ하계원 간의 현물과 노동력 부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현물 부조는 시기에 따라 종류가 다소 달라졌지만 상ㆍ하계원 간에 균등한 현물 부조가 이루어졌다. 1647년 「立議」에서는 상ㆍ하계원 간의 노동력 부조에 차이가 있었으나, 1676년 「洞內契立議修正」에서는 상ㆍ하계원 간의 구분 없이 동일하게 노동력 부조가 이루어졌다. 또한 동장리동내계에서는 상계원이 상을 당하면 상계원끼리 추가적으로 현물과 노동력을 부조하였다.
      셋째, 동장리동내계의 상계원은 연성 김씨가 많은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성 김씨 이외에 진주 하씨, 순천 김씨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존위의 경우도 다수가 연성 김씨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를 볼 때 17세기 동장리에서 다른 성씨보다 연성 김씨가 영향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동장리동내계는 하계원의 명단인 『下契名錄』를 별도로 작성한 것이 특징이다. 『下契名錄』에는 하계 조직의 구성과 역할에 대해서도 작성되어 있다. 『下契名錄』의 작성 방식은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1658년부터 1662년까지는 하계원의 이름만 작성되었다가, 1684년부터 1764년까지는 이름 아래 생년이 추가되었다. 1782년에 중수되었을 때는 작성 방식에 큰 변화가 있었다. 1782년 작성된 좌목에는 하계원 이름과 생년뿐 아니라 와동, 월피동, 고잔동 중 동장리가 분동된 후 어느 동에 거주하는지와 부조를 받은 대상, 특이 사항 등이 작성되어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Dongjang-ridongnaegye implemented in Dongjang-ri, Inghwa-myeon, Ansan, Gyeonggi-do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Dongjang-ridongnaegye include 『Dongnaegyeibui(洞內契立議)』, 『Dongnaesanggyejwamok(洞內上契座目)』, and 『Hagyemyeongnok(下契名錄)』,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se are as follows.
      First, Dongjang-ridongnaegye was implemented in 1628. When it was first implemented, it was a hyanggyu consisting only of Sanggyewon (the ruling class members.) However, from 1647, both the Sanggyewon and Hagyewon (commoners and lower class members) could join Dongjang-ridongnaegye. Afterward, in 1782, Dongjang-ri was divided into Wolpi-ri, Wagok-ri, and Gojan-ri. The records of Hagye organization were found until 1791 and it explains that it continued to oper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after the division.
      Second, mutual aid for funerals was the core of the Dongjang-ridongnaegye operation. The recipients of the aid were the member himself, his parents, and his wife. It can be divided into aid in kind and labor among the members. In-kind aids vary depending on the period, but an equal amount was contributed from both Sanggyewons and Hagyewons. In the case of labor aid, according to 「Ipui (立議)」, in 1647 the hours of labor were imposed differently for Sanggyewons and Hagyewons. On the other hand, based on 「Dongnaegyeipuisujeong (洞內契立議修正)」, in 1676 the labor was equally charged to all members. In addition, in Dongjang-ridongnaegye, when a Sanggyewon passed or lost his family, the other Sanggyewons additionally provided aid in kind and labor.
      Third, the Yeonseong Kim clan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Sanggyewon in Dongjang-ridongnaegye, and the Jinju Ha clan, Suncheon Kim clan, and others are included. Considering the fact that Yeonseong Kim clan also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head of the gye, we can see that they had more influence than other clans in Dongjang-ri in the 17th century.
      Fourth, another characteristic of Dongjang-ridongnaegye is that a separate list of Hagyewon, called 『Hagyemyeongrok』 was compiled. Along with other information, 『Hagyemyeongrok』 contains items regarding the organization and roles of Hagye. The details of 『Hagyemyeongrok』 changed over time. From 1658 to 1662, only the name of the Hagyewon was written, but from 1684 to 1764, the year of birth was added below the name. There was a big change in the writing method when it was updated in 1782, when Dongjang-ri was divided. In the list written in 1782, not only the name of the Hagyewon and the year of birth, but also which dong among Wa-dong, Wolpi-dong, and Gojan-dong they lived in after Dongjang-ri was divided as well as who received aid, and other miscellaneous information were written.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Dongjang-ridongnaegye implemented in Dongjang-ri, Inghwa-myeon, Ansan, Gyeonggi-do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Dongjang-ridongnaegye include 『Dongnaegyeibui(洞內契立議)』, 『Dongnaesang...

      This paper examines the Dongjang-ridongnaegye implemented in Dongjang-ri, Inghwa-myeon, Ansan, Gyeonggi-do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Dongjang-ridongnaegye include 『Dongnaegyeibui(洞內契立議)』, 『Dongnaesanggyejwamok(洞內上契座目)』, and 『Hagyemyeongnok(下契名錄)』,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se are as follows.
      First, Dongjang-ridongnaegye was implemented in 1628. When it was first implemented, it was a hyanggyu consisting only of Sanggyewon (the ruling class members.) However, from 1647, both the Sanggyewon and Hagyewon (commoners and lower class members) could join Dongjang-ridongnaegye. Afterward, in 1782, Dongjang-ri was divided into Wolpi-ri, Wagok-ri, and Gojan-ri. The records of Hagye organization were found until 1791 and it explains that it continued to oper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after the division.
      Second, mutual aid for funerals was the core of the Dongjang-ridongnaegye operation. The recipients of the aid were the member himself, his parents, and his wife. It can be divided into aid in kind and labor among the members. In-kind aids vary depending on the period, but an equal amount was contributed from both Sanggyewons and Hagyewons. In the case of labor aid, according to 「Ipui (立議)」, in 1647 the hours of labor were imposed differently for Sanggyewons and Hagyewons. On the other hand, based on 「Dongnaegyeipuisujeong (洞內契立議修正)」, in 1676 the labor was equally charged to all members. In addition, in Dongjang-ridongnaegye, when a Sanggyewon passed or lost his family, the other Sanggyewons additionally provided aid in kind and labor.
      Third, the Yeonseong Kim clan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Sanggyewon in Dongjang-ridongnaegye, and the Jinju Ha clan, Suncheon Kim clan, and others are included. Considering the fact that Yeonseong Kim clan also accounted for the majority of the head of the gye, we can see that they had more influence than other clans in Dongjang-ri in the 17th century.
      Fourth, another characteristic of Dongjang-ridongnaegye is that a separate list of Hagyewon, called 『Hagyemyeongrok』 was compiled. Along with other information, 『Hagyemyeongrok』 contains items regarding the organization and roles of Hagye. The details of 『Hagyemyeongrok』 changed over time. From 1658 to 1662, only the name of the Hagyewon was written, but from 1684 to 1764, the year of birth was added below the name. There was a big change in the writing method when it was updated in 1782, when Dongjang-ri was divided. In the list written in 1782, not only the name of the Hagyewon and the year of birth, but also which dong among Wa-dong, Wolpi-dong, and Gojan-dong they lived in after Dongjang-ri was divided as well as who received aid, and other miscellaneous information were writte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