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시장에서 자동차 생산이 둔화되는 현재 상황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는 점차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고도 전자기술이 적용되고 발전해왔으며, 더 나아가 이 모든 전장장치들을 시스템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42706
2021
Korean
556
학술저널
326-326(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동차시장에서 자동차 생산이 둔화되는 현재 상황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는 점차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고도 전자기술이 적용되고 발전해왔으며, 더 나아가 이 모든 전장장치들을 시스템화...
자동차시장에서 자동차 생산이 둔화되는 현재 상황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는 점차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고도 전자기술이 적용되고 발전해왔으며, 더 나아가 이 모든 전장장치들을 시스템화하여 통합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향후 모든 자동차 전장시스템의 발전방향일 것이다.
현재 이러한 전장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모든 전장시스템은 통합 HUB SYSTEM 기술을 중심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다.
요즘 출시되는 자동차는 별도의 옵션 없이도 USB충전포트 또는 USB통신포트를 흔히 볼 수 있다. 그만큼 USB포트가 일반 대중에게도 보편화 되었으며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는 휴대전자기기들과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금부터는 있으면 사용하는 시대를 지나 따져보고 선택하여 사용하는 시대이다. 대중의 전자기기에 대한 눈높이도 상당히 높아졌으며, 급변하는 스마트사회에서 고용량/고사양의 휴대전자기기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내에서 충전속도뿐만 아니라 USB포트를 통해 자동차 내장 전장품들과의 연동 가능해야 한다.
현재까지는 자동차에 내장된 HEAD UNIT, BLACK BOX, CLUSTER 등을 별도의 포트로 제어하고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하지만, HUB SYSTEM 기술이 적용되면 USB TYPE C 포트가 창구가 되어 최대 100W의 고속충전(Power Delivery3.0)뿐만 아니라 연결 가능한 모든 전장기기들의 데이터추출, 제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 HUB SYSTEM으로 어떻게 전장기기들이 상호 연동이 되는지, 그리고 기존 차량 충전기에 적용되지 않았던 고속충전(Power Delivery3.0)과 USB통신이 공존되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향후 자동차 시장에서는 전기자동차의 채택으로 전장업체와의 비즈니스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미래에는 자율주행으로 인해 자동차는 이동수단만이 아닌 주거의 기능도 함께 할 것이기에 자동차에 있어 전장시스템은 매우 다양하고 고도화된 기술로 발전될 것이다. 이에 통합 HUB SYSTEM 기술은 복잡해진 전장을 하나의 창구로 심플하게 만들어주며 중심역할로서 필수요소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차량의 주행 특성에 따른 Trip 기준 CO₂ 배출량 계산 모델 개발
디젤/가솔린 융합 연소에서 스월 유동이 연소 특성과 배기에 미치는 영향도 파악에 관한 연구
전기자동차용 Clutchless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학습 조건이 엔진 블록 진동 기반 실린더 내부압력 예측 딥러닝 모델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