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심층학습을 이용한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system using deep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5520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숭실대학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 IT융합학과 , 201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004 판사항(6)

      • DDC

        004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37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정윤원
        참고문헌: 장 36-3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전통적인 방식의 수동적인 콘텐츠 등록 및 분류 작업 체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시스템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의 한 분야인 심층 학습(deep learning)을 적용하여 기존의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콘텐츠 관리 구조를 벗어나 좀 더 능동적인 방식으로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기존보다 향상된 방식의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한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이 흔히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콘텐츠의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심층 학습(deep learning)알고리즘의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와 리커런트 뉴럴 네트워크(RNN, Recurrent Neural Network)를 사용하여 학습 모델을 구성하고, 학습된 모델을 활용하여 학습된 카테고리 체계에 맞게 자동 분류를 진행하는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구조 설계와 간략한 프로토타입을 제시한다. 콘텐츠의 분류 단계별로 각각의 학습 모델을 가지고 있으며, 최종 분류에 사용될 기준 모델은 별도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제안하는 구조의 프로토타입 콘텐츠 관리시스템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CNN 모델과 RNN 모델로 구성된, 총 3개의 집합을 사용하여 37개의 레이블로 자동 분류가 가능하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전통적인 방식의 수동적인 콘텐츠 등록 및 분류 작업 체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시스템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의 한 분야인 심층 학습(deep learning)을 적용하여 기존의 콘텐...

      본 논문은 전통적인 방식의 수동적인 콘텐츠 등록 및 분류 작업 체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시스템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의 한 분야인 심층 학습(deep learning)을 적용하여 기존의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콘텐츠 관리 구조를 벗어나 좀 더 능동적인 방식으로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기존보다 향상된 방식의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한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이 흔히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콘텐츠의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심층 학습(deep learning)알고리즘의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와 리커런트 뉴럴 네트워크(RNN, Recurrent Neural Network)를 사용하여 학습 모델을 구성하고, 학습된 모델을 활용하여 학습된 카테고리 체계에 맞게 자동 분류를 진행하는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구조 설계와 간략한 프로토타입을 제시한다. 콘텐츠의 분류 단계별로 각각의 학습 모델을 가지고 있으며, 최종 분류에 사용될 기준 모델은 별도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제안하는 구조의 프로토타입 콘텐츠 관리시스템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CNN 모델과 RNN 모델로 구성된, 총 3개의 집합을 사용하여 37개의 레이블로 자동 분류가 가능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apply deep learning, which is an area of machine learning, to the content registra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system in the traditional way, We propose a new structure of content management system which can manage contents in a more active way beyond the existing contents management structure of traditional contents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applied to the exist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a learning model is constructed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of deep learning algorithm. And, we use the learned model to design the basic structure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tegory system learned by deep learning and propose a basic prototype. Each content model has its own learning model for each classification stage, and the reference model to be used for final classification is separately configured. As a result, in the prototype content management system of the propos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lassify the multimedia contents into 37 labels using three sets of CNN model and RNN model.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apply deep learning, which is an area of machine learning, to the content registra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system in the traditional way, We propose a new structure of content management system...

      In this paper, we apply deep learning, which is an area of machine learning, to the content registra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system in the traditional way, We propose a new structure of content management system which can manage contents in a more active way beyond the existing contents management structure of traditional contents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applied to the exist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a learning model is constructed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of deep learning algorithm. And, we use the learned model to design the basic structure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tegory system learned by deep learning and propose a basic prototype. Each content model has its own learning model for each classification stage, and the reference model to be used for final classification is separately configured. As a result, in the prototype content management system of the propos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lassify the multimedia contents into 37 labels using three sets of CNN model and RNN mod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ⅷ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국문초록 ⅵ
      • 영문초록 ⅷ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1.3 논문 구성 3
      • 제 2 장 관련 연구 5
      • 2.1 vgg16 pre-trained model transfer learning 5
      • 2.2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5
      • 2.3 Recurrent Neural Network 6
      • 2.4 Long Short-Term Memory 6
      • 2.5 deeplearning4j 6
      • 제 3 장 심층학습을 이용한 콘텐츠 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8
      • 3.1 인공지능이 적용된 콘텐츠 관리시스템 8
      • 3.1.1 시스템 목표 8
      • 3.2 시스템 환경 구성 9
      • 3.2.1 애플리케이션 코어 개발 환경 10
      • 3.2.2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개발 환경 10
      • 3.2.3 모델 학습 서버 개발 환경 10
      • 3.3 콘텐츠 관리시스템 구조 11
      • 3.4 콘텐츠 관리시스템 서비스 설계 12
      • 3.4.1 사용자 서비스 설계 12
      • 3.4.2 애플리케이션 코어 서비스 설계 13
      • 3.4.3 모델 서버 Agent 설계 15
      • 3.5 심층학습을 이용한 데이터 학습 모델 제작 17
      • 3.5.1 VGG16 pre-trained model을 활용한 이미지 콘텐츠 학습 17
      • 3.5.2 CNN을 활용한 사운드 콘텐츠 학습 19
      • 3.5.3 LSTM을 활용한 동영상 콘텐츠 학습 20
      • 3.6 화면 인터페이스 20
      • 3.6.1 대시보드 화면 21
      • 3.6.2 콘텐츠 등록 22
      • 3.6.3 콘텐츠 추천 분류 23
      • 3.6.4 분류 완료된 콘텐츠 리스트 24
      • 3.6.5 콘텐츠 통합검색 26
      • 3.6.6 모델 학습 제어 27
      • 제 4 장 실험결과 및 평가 28
      • 4.1 실험 환경 및 시나리오 28
      • 4.1.1 테스트 환경 30
      • 4.1.2 테스트 데이터 선별 30
      • 4.2 실험결과 및 평가 30
      • 4.2.1 데이터 분류 결과 31
      • 4.2.2 실험 평가 32
      • 제 5 장 결론 및 추후 연구 34
      • 참고문헌 3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