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해방이후 생산된 한양도성 관련 각종 기록 자료들을 통해 한양도성 보수·복원사업의 구체적인 추진 경위와 내용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도성 복원의 역사를 명확하게 밝히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03628
2017
Korean
911
KCI등재
학술저널
73-118(4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해방이후 생산된 한양도성 관련 각종 기록 자료들을 통해 한양도성 보수·복원사업의 구체적인 추진 경위와 내용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도성 복원의 역사를 명확하게 밝히는 ...
본 연구는 해방이후 생산된 한양도성 관련 각종 기록 자료들을 통해 한양도성 보수·복원사업의 구체적인 추진 경위와 내용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도성 복원의 역사를 명확하게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960년대부터 간간히 이루어지던 한양도성에 대한 보수·복원공사는 1974년 대통령 지시에 의해 본격화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1975년 시작된 ‘서울성 곽 정화사업’은 해방 이후 최초의 전면적인 한양도성 보수·복원 사업이었다. 국 가주의, 반공주의에 의해 정치적 수단으로서 활용된 정책이었지만, 대중에게 잊 혔던 한양도성을 ‘문화재’로서 다시금 인식하게 하고 국가가 주도적으로 보호· 보전해야 할 대상으로 삼았다는데 의미가 크다. 그 결과 삼청·성북·광희·장 충·남산·청운·삼선·동숭 지구의 성곽 9.7km와 숙정문이 복원되는 성과를 거 뒀다. 현재 남아있는 한양도성의 모습은 이때의 보수·복원사업을 통해 대체로 완성된 것이다. 그러나 짧은 사업기간 동안 복원에 대한 충분한 논의 없이 공사 가 급하게 진행됨으로써 역사유산으로서의 ‘진정성’이 훼손되는 결과를 낳았다.
1980년대 이후 한양도성은 붕괴‥훼손된 구간에 대한 소규모 보수공사를 위주 로 관리되었다. 성곽 시설물 자체뿐만 아니라 주변 경관 환경에 대한 관리가 함께 고려되기 시작하였으며, 인왕산(1993)과 백악산(2006)이 차례로 시민에게 개 방되면서 시민들이 향유할 수 있는 역사문화유적이자 관광자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한양도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성곽 자체에만 집중하던 도성관리정책 에서 벗어나 주변 시설과 경관까지 아우르는 보수·복원 계획의 수립으로 이어 졌다. 또한 1999년부터 시작된 한양도성의 시굴‘·발굴 조사는 지상에서 흔적이 사라진 멸실 구간의 복원을 가능하게 했으며, 복원 과정에서 한양도성의 진정성 을 강화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y of the City wall restoration,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details of the repair and restoration projects of Seoul City Wall through government documents after liberation. Seoul City Wall re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y of the City wall restoration,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details of the repair and restoration projects of Seoul City Wall through government documents after liberation.
Seoul City Wall repair and restoration project was begun in earnest by the instruction of President Park in 1974, and it has continued to the present. Seoul City Wall Purification Project, which began in 1975, was the first overall repair and restoration project of the Seoul City Wall since liberation. It was a policy utilized as a political means by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However, it has great significance for recognizing the Seoul City wall that were forgotten by the public as cultural assets and making it a subject to protect and preserve by the nation. As a result, eight wall sections totaling 9.7km in length and Sukjeongmun (Gate) were restored. The remaining part of the Seoul City Wall today was almost completed through the repair and restoration project of the time. But the project, which progressed rapidly without sufficient discussions in a brief period of time, destroyed the authenticity of the Seoul City Wall as a historical heritage.
After 1980s, the Seoul City Wall has been mainly managed by the small scale repair works. From this point, not only the wall facility itself, but also the surrounding landscape of the wall began to be considered. As Inwangsan (Mountain) and Beagaksan (Mountain) were open to the public one after another, the Seoul City wall has become a historic cultural heritage and a tourism resource that citizens can enjoy in their lives.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the Seoul City Wall also brought Sifts in city wall management policy. The government began to establish the city wall repair and restoration plan encompass the surrounding facilities and landscapes, instead of the city wall management policy which fo¬cused on its wall structure. Furthermore, excavations undertaken since 1999 discovered lost parts of the city wall, made it possible to restore them, and gave authenticity to the Seoul City Wall in restoration proces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역사박물관, "해방이후 한양도성 관련 기록자료 조사-복원관계자 구술채록을 위한 기초조사 보고서" 2015
2 서울특별시, "한양도성 보존·관리 및 활용 종합계획" 2013
3 "한국일보"
4 "조선총독부관보"
5 임양순, "정부의 문화재 보수·보존 정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6 "연합뉴스"
7 서울특별시 중구, "숭례문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06
8 서울특별시, "서울소재 성곽조사 보고서" 2003
9 서울특별시, "서울성곽 중장기 종합정비 기본계획" 2009
10 서울특별시, "서울城郭" 1976
1 서울역사박물관, "해방이후 한양도성 관련 기록자료 조사-복원관계자 구술채록을 위한 기초조사 보고서" 2015
2 서울특별시, "한양도성 보존·관리 및 활용 종합계획" 2013
3 "한국일보"
4 "조선총독부관보"
5 임양순, "정부의 문화재 보수·보존 정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6 "연합뉴스"
7 서울특별시 중구, "숭례문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06
8 서울특별시, "서울소재 성곽조사 보고서" 2003
9 서울특별시, "서울성곽 중장기 종합정비 기본계획" 2009
10 서울특별시, "서울城郭" 1976
11 장하나래, "서울 한양도성 보수 복원 사업 (1975∼1982)의 성과와 한계 : 국가기록원 소장 기록물 분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4
12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서울 남대문 수리보고서" 1966
13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서울 漢陽都城 인왕산지구 수리보고서" 2012
14 서울역사박물관, "발굴유물특별전 Ⅵ 전시도록-서울, 도성을 품다"
15 전재호, "반동적 근대주의자 박정희" 책세상 2000
16 "문화재청 홈페이지"
17 "동아일보"
18 "대한민국관보"
19 서울역사박물관, "남산에서 찾은 한양도성" 2014
20 김영수, "기술·의장 중심의 역사경관보전방안 연구 : 서울의 한옥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7
21 "경향신문"
22 문화재청, "韓國 文化財保護法의 發展過程과 整備方向" 2002
23 "朝鮮古蹟圖譜"
24 강봉진, "光化門의 復元에 對하여2" 4 (4): 1969
25 강봉진, "光化門의 復元에 對하여" 3 (3): 1968
26 강임산, "1968년 광화문 ’복원’의 성격" 명지대학교 2015
27 강난형, "1960년대 광화문 중건과정의 특성" 한국건축역사학회 24 (24): 45-55, 201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서울학연구 -> 서울학연구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1 | 0.62 | 1.48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