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의 스마트워치 관련 직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Job experiences of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victim care on the “smart watch” scheme: A phenomenological research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워치 제도 운용에 직접 참여하는 당사자로서 범죄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들이 스마트워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스마트워치로 대표되는 경찰의 범죄피해자 보호제도의 현황을 점검하고 범죄피해자 보호 현장에서의수용도 높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작업일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토대로 범죄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스마트워치 업무 관련 직무 경험을 탐구하고 그 의미를 발견하는 것을 목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일선 경찰서 여성청소년과 소속 경찰관 6명을 인터뷰하여범죄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의 관점에서 스마트워치 관련 업무 현황, 스마트워치 지급절차, 스마트워치 운용방식 및 제도에 대한 직무 경험을 확인, 그 경험의 공통적인 의미와 구조를 고찰하고, 스마트워치 제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하였다. Colaizzi가 제시한 현상학적 방법으로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3개의범주, 11개의 주제 결집, 30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실무 : 개인적 차원의 어려움」으로, 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이 스마트워치 실무를 함에 있어 느끼는 개인적 차원의 어려움에 대한 것이다. 하위주제로는, 고성능 기기이면서 지급만으로도 안전해질 것이라는 스마트워치 성능에 대한 오해, 피해자가 원하면 지급되는 ‘보험’, 담당자 한 사람에게 미뤄지는 결정, 책임소재를 우려한 지급 남발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 범주는 「제도 : 조직적 차원의 어려움」으로, 스마트워치 제도의 실상과실질적 치안 수요자인 피해자들의 인식과의 간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한것이다. 잘못된 인식을 심어준 언론과 과장된 홍보, 관리 시스템 부재, 여전한 기능상 문제, 매뉴얼로 업무를 익히고 있는 공식적 교육부재 상황이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마지막 범주는 「평가 : 범죄예방 효과와 개선점」으로, 연구참여자들의 스마트워치 제도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과 평가를 담고 있다. 심리적인 안정 효과만을 위한 ‘계륵’ 같은 존재로, 범죄예방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무적’이 아닌 기계이지만, 문제점을 보완하여 지속할만한 가치가 있는 제도가 마지막 범주의 하위 주제에 해당한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스마트워치 제도 운용에 있어서의 경찰 실무의 방향성과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스마트워치 제도 운용에 직접 참여하는 당사자로서 범죄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들이 스마트워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스마트워치로 대표되는 경찰의 범죄피해자 ...

      스마트워치 제도 운용에 직접 참여하는 당사자로서 범죄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들이 스마트워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스마트워치로 대표되는 경찰의 범죄피해자 보호제도의 현황을 점검하고 범죄피해자 보호 현장에서의수용도 높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작업일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토대로 범죄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여 스마트워치 업무 관련 직무 경험을 탐구하고 그 의미를 발견하는 것을 목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일선 경찰서 여성청소년과 소속 경찰관 6명을 인터뷰하여범죄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의 관점에서 스마트워치 관련 업무 현황, 스마트워치 지급절차, 스마트워치 운용방식 및 제도에 대한 직무 경험을 확인, 그 경험의 공통적인 의미와 구조를 고찰하고, 스마트워치 제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하였다. Colaizzi가 제시한 현상학적 방법으로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3개의범주, 11개의 주제 결집, 30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실무 : 개인적 차원의 어려움」으로, 피해자 안전조치 담당 경찰관이 스마트워치 실무를 함에 있어 느끼는 개인적 차원의 어려움에 대한 것이다. 하위주제로는, 고성능 기기이면서 지급만으로도 안전해질 것이라는 스마트워치 성능에 대한 오해, 피해자가 원하면 지급되는 ‘보험’, 담당자 한 사람에게 미뤄지는 결정, 책임소재를 우려한 지급 남발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 범주는 「제도 : 조직적 차원의 어려움」으로, 스마트워치 제도의 실상과실질적 치안 수요자인 피해자들의 인식과의 간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한것이다. 잘못된 인식을 심어준 언론과 과장된 홍보, 관리 시스템 부재, 여전한 기능상 문제, 매뉴얼로 업무를 익히고 있는 공식적 교육부재 상황이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마지막 범주는 「평가 : 범죄예방 효과와 개선점」으로, 연구참여자들의 스마트워치 제도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과 평가를 담고 있다. 심리적인 안정 효과만을 위한 ‘계륵’ 같은 존재로, 범죄예방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무적’이 아닌 기계이지만, 문제점을 보완하여 지속할만한 가치가 있는 제도가 마지막 범주의 하위 주제에 해당한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스마트워치 제도 운용에 있어서의 경찰 실무의 방향성과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pproach focused on the job experiences of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victim care on the “smart watch” schem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olice offic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nder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proposed by Colaizzi(1978). As a result of analysis, common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eleven theme clusters, and thirty themes.
      The first category -‘In practice: Difficulty at the personal level’- deals with the personal level of difficulty experienced by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the smart watch. The misconception that just providing a high-performance device would make the victim safe; ‘insurance’ provided if the victim wants it; decisions judged by a single person in charge, and overuse due to responsibility issues were drawn as subthemes under this category.
      The next category -‘Institution: Difficult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cludes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gap between the reality of the scheme and the perceptions of victims. Four subthemes under the second category were as follows: The media that fosters false perceptions and exaggerated publicity; lack of the management system; ongoing functional problems; and the absence of formal education while learning solely from guidance.
      The last category -‘Evaluation: Crime prevention effect and points for improvement’- contains comprehensive awareness and evalua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bout the smart watch scheme. An ‘white elephant’ for simply giving a psychological feeling of safety; a machine that doesn’t work and is not promising in preventing crime; and an intervention that should be continued by improving problems were derived as subthemes of the third categor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n conclusion, the study demonstrates the direction of police practice and policy suggestions for further operation of the scheme.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pproach focused on the job experiences of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victim care on the “smart watch” schem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olice officers and the results were anal...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pproach focused on the job experiences of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victim care on the “smart watch” schem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olice offic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nder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proposed by Colaizzi(1978). As a result of analysis, common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eleven theme clusters, and thirty themes.
      The first category -‘In practice: Difficulty at the personal level’- deals with the personal level of difficulty experienced by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the smart watch. The misconception that just providing a high-performance device would make the victim safe; ‘insurance’ provided if the victim wants it; decisions judged by a single person in charge, and overuse due to responsibility issues were drawn as subthemes under this category.
      The next category -‘Institution: Difficult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cludes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gap between the reality of the scheme and the perceptions of victims. Four subthemes under the second category were as follows: The media that fosters false perceptions and exaggerated publicity; lack of the management system; ongoing functional problems; and the absence of formal education while learning solely from guidance.
      The last category -‘Evaluation: Crime prevention effect and points for improvement’- contains comprehensive awareness and evalua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bout the smart watch scheme. An ‘white elephant’ for simply giving a psychological feeling of safety; a machine that doesn’t work and is not promising in preventing crime; and an intervention that should be continued by improving problems were derived as subthemes of the third category.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n conclusion, the study demonstrates the direction of police practice and policy suggestions for further operation of the sche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스마트워치 제도 현황과 선행연구 검토
      • Ⅲ. 연구방법: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스마트워치 제도 현황과 선행연구 검토
      • Ⅲ. 연구방법: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