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방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수업선호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D대학교에서 20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88165
2020
-
373
KCI등재
학술저널
1001-1015(1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방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수업선호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D대학교에서 201...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 수업방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수업선호가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D대학교에서 2019년 1학기에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176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캡스톤 디자인 학습성과와 수업방법에 대한 인식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수업선호와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선호와 수업방법에 대한 인식 또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방법은 학습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선호 또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성과와 수업방법의 관계에서 수업선호가 매개적인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수업선호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캡스톤 디자인 학습성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캡스톤 디자인 교수방법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제고하고 수업선호를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capstone design teaching methods affects learning performance and to analyze whether class preferences play a mediating role. Subject to this study were 176 college students who took...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capstone design teaching methods affects learning performance and to analyze whether class preferences play a mediating role. Subject to this study were 176 college students who took capstone design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19 at D Universit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y student s perception of capstone design learning performance and teaching method showed a static correlation and also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class preference. The perception of class preference and teaching method also showed a static correlation. Second,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method of university students was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learning performance and class preference also had a static effect.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class preference was verified by examining whether class preference played a mediated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erformance and teaching method.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in order to promote capstone design learning performance of university students,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raise learners awareness of capstone design teaching methods and enhance class preferen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소연희, "학습자중심수업 인식과 대학생의 핵심역량과의 관계 - 학업도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2 (32): 139-157, 2018
2 유정아,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51-72, 2011
3 차유미, "패션 캡스톤디자인의 선순환 시스템 운영모델 설계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 (20): 165-180, 2016
4 전영미,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학생역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601-610, 2018
5 손상희,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3D프린팅 제품디자인을 적용하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55) : 239-249, 2018
6 신창범, "캡스톤 디자인의 디자인 교육 응용 사례연구 - 인터랙션 디자인 교과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33-42, 2014
7 오성록,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융합적인 영어번역 학습"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1-16, 2017
8 김정연,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비공학 및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2 (12): 109-138, 2018
9 이하원,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언어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355-366, 2018
10 신수경,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개방, 자기주장, 학습실행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6 (16): 1-20, 2017
1 소연희, "학습자중심수업 인식과 대학생의 핵심역량과의 관계 - 학업도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2 (32): 139-157, 2018
2 유정아,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51-72, 2011
3 차유미, "패션 캡스톤디자인의 선순환 시스템 운영모델 설계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 (20): 165-180, 2016
4 전영미, "캡스톤디자인 수업이 학생역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601-610, 2018
5 손상희,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3D프린팅 제품디자인을 적용하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55) : 239-249, 2018
6 신창범, "캡스톤 디자인의 디자인 교육 응용 사례연구 - 인터랙션 디자인 교과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33-42, 2014
7 오성록,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융합적인 영어번역 학습"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8 (8): 1-16, 2017
8 김정연,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비공학 및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2 (12): 109-138, 2018
9 이하원,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언어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355-366, 2018
10 신수경,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개방, 자기주장, 학습실행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6 (16): 1-20, 2017
11 김동학, "체육대학의 스포츠 캡스톤디자인 수업모형 개발" 한국체육학회 56 (56): 235-249, 2017
12 고현선, "지식재산권을 연계한 캡스톤디자인 교육에 대한 고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479-488, 2017
13 金好卿, "인식론에 대한 진화론적 접근 : G. Vollmer의 진화론적 인식론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14 이지혜,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융합 캡스톤 디자인 교육 결과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5 (25): 429-438, 2019
15 김경식, "웹(Web)게임에 관한 연구" 526-529, 2002
16 서연화,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17 (17): 183-194, 2016
17 장훈종, "시각디자인 분야의 글로벌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47) : 255-264, 2016
18 이재열, "서울대학교 시니어 캡스톤 프로그램 연구보고서" 서울대학교 2005
19 장남경,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을 통한 패션디자인 교육 - 지속가능한 패션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5 (15): 1-14, 2015
20 김정연,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 대학생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2 (12): 227-250, 2018
21 태진미, "비공학계열 대학생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1 (11): 109-130, 2017
22 권성연, "대학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학습자중심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교수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51-78, 2011
23 김명숙, "대학생의 학습참여가 지각된 창의성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재교육학회 13 (13): 83-106, 2014
24 이하원, "대학생용 핵심역량 진단 검사(K-CCCA)의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97-127, 2017
25 박종향, "대학 교수자의 플립드러닝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4 (34): 961-989, 2018
26 홍주연, "교수설계 변인과 대학생 핵심역량 간의 관계에서 학습참여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461-482, 2015
27 설양환, "교수법 개선에 관한 요구분석-전국 교육대학교 교수자를 중심으로" 29 : 85-101, 2005
28 류영호, "공학설계교육 개선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수활동 지원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29 Philipps, R., "What’s the difference? A review of contemporary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 for higher education policy
30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31 Raba, A. A. A. M., "The impact of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on producing fast and good learning outcomes" 5 (5): 43-58, 2017
32 Webster, J., "Teaching effectiveness in technology-mediated distance learning" 40 (40): 1282-1309, 1997
33 Mkonto, N., "Students’ Learning Preferences" 5 (5): 212-235, 2015
34 McCabe, A., "Student-centred learning: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the lecturer" 19 (19): 350-359, 2014
35 Froyd, J., "Student-centered learning addressing faculty questions about student-centered learning" Texas A & M University
36 Walker, L., "Process oriented guided inquiry learning(POGIL®)marginally effects student achievement measures but substantially increases the odds of passing a course" 12 (12): 1-17, 2017
37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15
38 Miglietti, C. L., "Learning styles, classroom environment preferences, teaching, styles, and remedial course outcomes for underprepared adults at a two-year college" 26 (26): 1-19, 1998
39 Angeline, J. P., "Learning style preferences and the perception of the learner’s learning style with academic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in a private university, Oman" 10 (10): 48-52, 2018
40 Merriam, S. B., "Learning in adulthood: A comprehensive" Jossey-Bass 2007
41 오충원, "GIS교육에서 캡스톤 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50 (50): 105-115, 2016
42 Vivien, W. X., "An exploration of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f stude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reference for simulation as a learning style" 37 (37): 25-33, 2010
중학생의 영어 자기효능감과 수업참여도, 그리고 학습자가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이 영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창업교육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임상실습에서 경험한 무례함과 회복탄력성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