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道詵國師와 광양 차문화의 연관성에 관한 논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590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도선국사와 광양의 차문화의 연관성을 찾아내기 위해 시작되었다. 도선과 광양차의 연관성에 관한 내용을 직접 서술한 문헌을 찾기는 어려웠으나, 주변에 연관된 사람이나 발굴된 유물과 유적 등으로 미루어 보아 도선과 광양의 차는 관련이 깊다는 것이 밝혀졌다. 도선이 살았던 신라 하대에 선종이 유행하면서 차문화는 계층이나 지역적으로 범위를 넓혀 확산되었다. 구산선문의 선승들이 당에서 선종과 차문화를 같이 수입해 왔다. 특히 도선의 스승이었던 혜철은 서당지장에게서 수학하면서 차문화를 접하였고, 귀국해서도 제자들에게 법맥과 함께 차문화도 전달했던 것으로 보인다. 도선이 설립하거나 비보설의 영향을 받아 설립한 사찰 중 현재에도 차문화로 유명한 곳이 많다. 선암사와 청곡사 등에는 차와 관련된 건물이나 유물이 남아있다. 백운산에 있는 옥룡사는 도선이 마지막 35년간을 주석했던 사찰이다. 여기에 수많은 제자들이
      그의 법을 배우러 몰려들었기 때문에 ‘옥룡산문’을 이루었다. 1995년 순천대 박물관이 옥룡사지를 발굴하여 비문 등 많은 유물·유적을 찾아냈다. 거기에서 나온 차도구로 인식되는 청자완 파편이 당시 차문화를 대변해 준다. 연못을 메워 동백림을 조성했다는 지역 근처에 많은 자생차가 서식하고 있는 것도 그런 정황을 말해주는 것이다. 도선 이후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에도 광양은 차산지로 여러 문헌에 조사되어 있고, 민요 등에서도 도선과 관련된 차문화의 흔적이 보인다. 현재 광양출신 다인들이 어릴 때 차를 상용했다는 증언도 면면히 이어온 광양의 차문화 실재를 말해주는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도선국사와 광양의 차문화의 연관성을 찾아내기 위해 시작되었다. 도선과 광양차의 연관성에 관한 내용을 직접 서술한 문헌을 찾기는 어려웠으나, 주변에 연관된 사람이나 발굴...

      이 연구는 도선국사와 광양의 차문화의 연관성을 찾아내기 위해 시작되었다. 도선과 광양차의 연관성에 관한 내용을 직접 서술한 문헌을 찾기는 어려웠으나, 주변에 연관된 사람이나 발굴된 유물과 유적 등으로 미루어 보아 도선과 광양의 차는 관련이 깊다는 것이 밝혀졌다. 도선이 살았던 신라 하대에 선종이 유행하면서 차문화는 계층이나 지역적으로 범위를 넓혀 확산되었다. 구산선문의 선승들이 당에서 선종과 차문화를 같이 수입해 왔다. 특히 도선의 스승이었던 혜철은 서당지장에게서 수학하면서 차문화를 접하였고, 귀국해서도 제자들에게 법맥과 함께 차문화도 전달했던 것으로 보인다. 도선이 설립하거나 비보설의 영향을 받아 설립한 사찰 중 현재에도 차문화로 유명한 곳이 많다. 선암사와 청곡사 등에는 차와 관련된 건물이나 유물이 남아있다. 백운산에 있는 옥룡사는 도선이 마지막 35년간을 주석했던 사찰이다. 여기에 수많은 제자들이
      그의 법을 배우러 몰려들었기 때문에 ‘옥룡산문’을 이루었다. 1995년 순천대 박물관이 옥룡사지를 발굴하여 비문 등 많은 유물·유적을 찾아냈다. 거기에서 나온 차도구로 인식되는 청자완 파편이 당시 차문화를 대변해 준다. 연못을 메워 동백림을 조성했다는 지역 근처에 많은 자생차가 서식하고 있는 것도 그런 정황을 말해주는 것이다. 도선 이후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에도 광양은 차산지로 여러 문헌에 조사되어 있고, 민요 등에서도 도선과 관련된 차문화의 흔적이 보인다. 현재 광양출신 다인들이 어릴 때 차를 상용했다는 증언도 면면히 이어온 광양의 차문화 실재를 말해주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필, "한국 차문화 발전에 있어서 불교의 역할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1

      2 박동춘, "한국 선종차의 수용과 전개" 불교춘추사 2005

      3 김운학, "최치원의 금석문학-사산비를 중심으로" 4 : 1974

      4 김봉건, "차와 선종의 만남" 2 : 2008

      5 김정권, "진감선사 혜소의 남종선 수용과 쌍계사 창건" 27 : 1999

      6 김인규, "중국 월주요 청자의 연구사" 25 : 2003

      7 김수태, "전라도지역 선종산문과 장보고 집단" 청아출판사 2005

      8 김진숙, "장보고와 차문화 전파"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10

      9 조범환, "장보고와 차문화 전파"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10

      10 조범환, "장보고와 선종" 4 (4): 2002

      1 이정필, "한국 차문화 발전에 있어서 불교의 역할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11

      2 박동춘, "한국 선종차의 수용과 전개" 불교춘추사 2005

      3 김운학, "최치원의 금석문학-사산비를 중심으로" 4 : 1974

      4 김봉건, "차와 선종의 만남" 2 : 2008

      5 김정권, "진감선사 혜소의 남종선 수용과 쌍계사 창건" 27 : 1999

      6 김인규, "중국 월주요 청자의 연구사" 25 : 2003

      7 김수태, "전라도지역 선종산문과 장보고 집단" 청아출판사 2005

      8 김진숙, "장보고와 차문화 전파"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10

      9 조범환, "장보고와 차문화 전파"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10

      10 조범환, "장보고와 선종" 4 (4): 2002

      11 양은경, "장보고 선단과 동아시아 불교문화 교류"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10

      12 김수인, "송대 선원다례에 대한 연구 : 청규서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13 최범서, "소설 도선비기" 오상 2001

      14 김방룡, "선승(禪僧)들의 차문화에 대한 일고(一考)" 한국선학회 (21) : 175-214, 2008

      15 추만호, "선각국사 도선의 신연구" 1988

      16 황수영, "선각국사 도선의 신연구" 1988

      17 양은용, "선각국사 도선의 신연구" 1988

      18 불교전기문화연구소, "도선국사" 불교양상 1997

      19 김지견, "도선 연구" 민족사 1999

      20 김진숙, "당대의 음다문화" 한국차학회 13 (13): 41-56, 2007

      21 박한설, "각국사 도선의 신연구" 1988

      22 이운정, "要解 道詵秘記" 한라기획 1997

      23 余悅, "茶禪一味" 2005

      24 諸岡存, "朝鮮の茶と禪" 日本の茶道社 1940

      25 조범환, "新羅 下代 遣唐國學留學生의 파견과 그 역사적 의미" 인문과학연구소 (25) : 241-264, 2009

      26 김병곤, "新羅 下代 求法僧들의 行蹟과 實狀" 한국불교연구원 (24) : 95-145, 2006

      27 이송란, "中國 法門寺 地宮 茶具와 통일 신라 茶文化" 한국고대학회 (32) : 35-70, 2010

      28 김수인, "『禪苑淸規』에 나타난 茶의 의미 고찰" 보조사상연구원 30 : 449-482, 2008

      29 조범환, "8-10세기 신라무역선단과 강남"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7

      30 김문경, "8-10세기 신라무역선단과 강남"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3-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국제차문화학회 -> 국제차문화학회
      영문명 : 미등록 ->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Tea Cultur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4 0.14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