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각 장애 환자 5례를 대상으로 한 대한 한방 치료의 효과 = The Effec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Patients with Taste Disorders: A Case Series of Five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251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therapy such as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in taste disorder patients. Methods: We surveyed 5 taste disorder patients visiting the O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therapy such as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in taste disorder patients. Methods: We surveyed 5 taste disorder patients visiting the Oral Diseases Clinic in the Kyung Hee University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January, 2014 to June, 2014. Before starting traditional Korean medical therapy such as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the subjects were evaluated on severity of discomfort us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salivary flow rate (SFR), quality of life about oral health (based on the 14-item Oral Health Impact Profile-14) and qi-stagnation condition (based on the 23-item qi-stagnation Questionnaire). Visual analogue scale was re-evaluated during the treatment period. Result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diminished SFR and severity of discomfort. Also change or loss of taste did not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about oral health. However, stress which refers to qi-stagnation could be one of the reasons taste disorder occurs. After receiving traditional Korean medical therapy, all 5 patients' visual analogue scale score decreased. Conclusions: Traditional Korean medical therapy may potentially be an option for taste disorder. Further evaluations including pre-post comparison with larger number of case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경희, "한국 성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 10 (10): 39-57, 2008

      2 박경애, "한국 노인의 특성에 따른 맛 감지 능력의차이에 관한 연구" 6 (6): 299-310, 2002

      3 김주연,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 환자에 대한 가미육미지황탕의 효능" 대한한방내과학회 33 (33): 231-242, 2012

      4 홍정표, "스트레스와 구강점막 질환" 36 (36): 746-750, 1998

      5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비계내과학" 군자출판사 103-, 2009

      6 권윤관, "미각장애와 미각기능 측정법"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3

      7 임근혜, "미각 장애 환자의 임상적 고찰" 대한이비인후과학회 52 (52): 413-418, 2009

      8 홍주희, "미각 이상 환자의 미각역치 검사에 관한 증례 보고" 26 (26): 127-130, 2001

      9 한가진, "노인 구강건조증 환자들의 설태 양상에 관한 고찰" 대한한의진단학회 17 (17): 189-202, 2013

      10 김진성, "구취환자의 설태, 휘발성 황화합물, 타액분비율 및 타액내 secretory Immunoglobulin A에 대한 평가" 대한한방내과학회 29 (29): 258-264, 2008

      1 송경희, "한국 성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 10 (10): 39-57, 2008

      2 박경애, "한국 노인의 특성에 따른 맛 감지 능력의차이에 관한 연구" 6 (6): 299-310, 2002

      3 김주연,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 환자에 대한 가미육미지황탕의 효능" 대한한방내과학회 33 (33): 231-242, 2012

      4 홍정표, "스트레스와 구강점막 질환" 36 (36): 746-750, 1998

      5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비계내과학" 군자출판사 103-, 2009

      6 권윤관, "미각장애와 미각기능 측정법"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3

      7 임근혜, "미각 장애 환자의 임상적 고찰" 대한이비인후과학회 52 (52): 413-418, 2009

      8 홍주희, "미각 이상 환자의 미각역치 검사에 관한 증례 보고" 26 (26): 127-130, 2001

      9 한가진, "노인 구강건조증 환자들의 설태 양상에 관한 고찰" 대한한의진단학회 17 (17): 189-202, 2013

      10 김진성, "구취환자의 설태, 휘발성 황화합물, 타액분비율 및 타액내 secretory Immunoglobulin A에 대한 평가" 대한한방내과학회 29 (29): 258-264, 2008

      11 한가진, "구취환자의 구강건조감과 스트레스, 기울의 상관성 분석" 대한한방내과학회 31 (31): 488-499, 2010

      12 박혜숙, "구강점막질환증상자의 성격유형검사(MBTI)"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38 (38): 7-17, 2013

      13 고명연,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미각에 관한 연구"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31 (31): 275-281, 2006

      14 강경,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에서 기울과 전중(CV_17)압통의 상관성 - Algometer를 이용한 전중압통의 정량화 측면에서 -" 대한한방내과학회 33 (33): 498-510, 2012

      15 Friedlander AH, "The physiology, medical management and oral implications of menopause" 133 (133): 73-81, 2002

      16 BJ Cowart, "Taste dysfunction: a practical guide for oral medicine" 17 (17): 2-6, 2011

      17 Bromley SM, "Smell and taste disorders: a primary care approach" 61 (61): 427-436, 2000

      18 Demms DA, "Smell and Tatse Disorders, a Study of 750 Patients from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mell and Taste Center" 117 (117): 519-528, 1991

      19 Mueller C, "Quantitative Assessment of Gustatory Function in a Clinical Context using Impregnated “taste strips”" 41 (41): 2-6, 2003

      20 장선희, "OHIP-14를 이용한 일부 요양기관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한국치위생학회 11 (11): 475-487, 2011

      21 Watanabe M, "Measurement of Several Metallic Element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in Saliva from Patients with Taste Disorder" 30 (30): 121-125, 2005

      22 Berling K, "Evaluation of Electrogustometry and the Filter Paper Disc Method for Taste Assessment" 131 (131): 488-493, 2011

      23 Stillman JA, "Electrogustometry: Strengths, Weakness, and Clinical Evidence of Stimulus Boundaries" 28 (28): 406-410, 2003

      24 Schiffman SS, "Diagnosis and treatment of smell and taste disorders" 146 (146): 471-473, 1987

      25 이은진,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aste Disorders"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34 (34): 341-351, 2009

      26 Fark T, "Characteristics of taste disorders" 270 (270): 1855-1860, 2013

      27 Zhang WP, "An Ageusia and Dysosmia Patient Treated by Acupuncture" 12 (12): 66-67, 2006

      28 김지화, "40대 이상 성인의 구강환경요인(타액분비량, 미각인지역치)이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 13 (13): 749-757,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SOCIETY FOR ORIENTAL INTERNAL MEDICINE ->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 0.65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