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마을비보숲 식생 비교 - 한국(韓國) 진안(鎭安)과 중국(中國) 청주(靑州)를 사례로 - = A Comparison of Vegetation in Complementary Forests of Villages between Korea and China - Focused on Jinan in Korea and Qingzhou in Chin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6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vegetation structure in complementary forests of villages between Korea and China. For this study, Jinan in Korea and Qingzhou in China were selected through a pre-survey about the representative regions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vegetation structure in complementary forests of villages between Korea and China. For this study, Jinan in Korea and Qingzhou in China were selected through a pre-survey about the representative regions of both countries. The main research method used was field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regions was performed by a frequency analysis of the surveyed data. The data obtained in the study shows the vegetation structure in complementary forests of villages in the two regions have many differences which are related to the local culture.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 was the same at 2.9 and the average number of trees, total number of trees, and tree density in Qingzhou were considerably greater than those in Jinan.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ree height, average breadth height diameter and crown width in Jinan were considerably greater than those in Qingzhou. Furthermore, it was identified that both the forest state and the principal species of tree are both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fferent cultures. Through this identific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establishing policy direction in both countries about the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complementary fores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마을 비보숲의 식생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마을 비보숲이 잔존하는 지역을 예비조사를 통해 확인하여 한국의 진안...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마을 비보숲의 식생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마을 비보숲이 잔존하는 지역을 예비조사를 통해 확인하여 한국의 진안과 중국의 청주를 선정하였다. 주요 조사방법은 현장조사이고, 조사된 두 지역에 대한 비교 고찰을 위하여 빈도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두 지역의 차이로 인해 마을 비보숲의 식생의 특성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두 지역의 평균 종수는 2.9종으로 같았다. 그러나 평균 개체수, 총 개체수, 입목밀도는 청주가 진안에 비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고, 평균 흉고직경, 수관폭은 진안이 청주보다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상과 주요 수종 역시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특성을 살린 마을 비보숲의 복원과 관리의 정책 방향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재웅, "한밤마을과 괴란마을의 사례 분석을 통한당산숲?마을숲 복원 자료 구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21-30, 2007

      2 김학범, "한국마을숲 개선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 21 (21): 90-99, 2003

      3 박재철, "한국과 중국의 마을비보숲 비교- 韓國 鎭安과 中國 靑州를 사례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8 (18): 27-37, 2012

      4 이명균,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한 '마을숲'의 경제적 가치평가에 대한 시도" 한국학연구원 33 (33): 153-194, 2006

      5 김학범, "전통 마을숲 복원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42-50, 2008

      6 신상섭, "임실 방동마을숲의 원형경관 찾기와 식생복원설계"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78-86, 2008

      7 박재철, "영?호남 산간지역 정주생활권 마을숲의 비교 - 전북 진안군과 경남 함양군 지역을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30 (30): 11-17, 2002

      8 홍선기, "서해안 포구의 마을숲 -생태관광지 보전을 위한 경관림 관리-" 도서문화연구원 (29) : 441-473, 2007

      9 강현경,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2 (22): 63-74, 2004

      10 박재철, "부안 고사포 비보숲의 바람조절 기능" 한국임학회 93 (93): 325-330, 2004

      1 최재웅, "한밤마을과 괴란마을의 사례 분석을 통한당산숲?마을숲 복원 자료 구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21-30, 2007

      2 김학범, "한국마을숲 개선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 21 (21): 90-99, 2003

      3 박재철, "한국과 중국의 마을비보숲 비교- 韓國 鎭安과 中國 靑州를 사례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8 (18): 27-37, 2012

      4 이명균,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한 '마을숲'의 경제적 가치평가에 대한 시도" 한국학연구원 33 (33): 153-194, 2006

      5 김학범, "전통 마을숲 복원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42-50, 2008

      6 신상섭, "임실 방동마을숲의 원형경관 찾기와 식생복원설계" 한국전통조경학회 26 (26): 78-86, 2008

      7 박재철, "영?호남 산간지역 정주생활권 마을숲의 비교 - 전북 진안군과 경남 함양군 지역을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30 (30): 11-17, 2002

      8 홍선기, "서해안 포구의 마을숲 -생태관광지 보전을 위한 경관림 관리-" 도서문화연구원 (29) : 441-473, 2007

      9 강현경,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마을숲의 관리방안-경상도와 강원도의 주요 마을숲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2 (22): 63-74, 2004

      10 박재철, "부안 고사포 비보숲의 바람조절 기능" 한국임학회 93 (93): 325-330, 2004

      11 권진오, "마을숲의 분포 위치와 지형적 공간특성 유형화 방안 - 경북 의성, 전북 진안 및 전남 함평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 11 (11): 85-93, 2008

      12 박재철, "마을숲의 개념과 사례" 한국학연구원 33 (33): 233-262, 2006

      13 박봉우, "마을숲과 문화" 한국학연구원 33 (33): 195-232, 2006

      14 강현경, "마을숲 소나무림의 생육상태 비교분석-경북, 경남,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2 (22): 19-28, 2004

      15 박재철, "마을숲 복원에 관한 연구-전북 진안군 동향면 능금리 능길 마을을 사례로-" 한국농촌계획학회 10 (10): 27-32, 2004

      16 박재철, "마을 비보숲 복원에 관한 연구-완주군 구이면 두현리 두방 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22 (22): 13-18, 2004

      17 박재철, "마을 비보숲 모니터링 - 진안 서촌 마을 비보숲과 원연장 마을 비보숲을 사례로 -" 한국전통조경학회 27 (27): 9-17, 2009

      18 최재웅, "농촌 문화경관으로서 강릉시 구정리 마을숲의 경관특성"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171-181, 2003

      19 최재웅,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입지 및 구조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27 (27): 35-47, 2009

      20 古德全, "梅州客家村落居民, 风水林及其文化"

      21 祝功武, "整理村落与“风水林” 建设绿色新农村"

      22 成俊, "岭南村落风水林研究进展"

      23 黎建力, "佛山市风水林树种组成调 查研" 广东林业科技 2001

      24 关传友, "中国水土保持科学"

      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26 Park, J. C., "Village forest of Jinan" Jinan Cultural Institute 2007

      27 Kim, J. W., "Traditional village forest and phytosociology -Re-creation of traditional forest park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2006

      28 Park, J. C., "Relationship among village grove of Jinan-eub region" 35 (35): 309-316, 2000

      29 Woo, J. M., "Management condition and use direction of village forest in Chungbuk province" 28 (28): 1-380, 2008

      30 Park, J. C., "Jang(2003)Analysis on ground temperature arrangement function of Jinan Hacho village grove" 19 (19): 35-41, 2003

      31 Koh, I. S., "Effect on tree species number of natural and human geographic variables in Jinan village forest" 33 : 81-112, 2008

      32 Koh, I. S., "Controls of a Bibosoop Over Windspeed and Evaporation in a Korean Agricultural Area: Field Observation and Modelling at Songmal-ri, Icheon, Gyeonggi-do"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33 Choi, J. U.,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Dangsan and Bibo forest of Sesim village in Gyeongju-si" 7 : 133-142, 2009

      34 Park, J. C., "Comparative review of the village groves and seaside groves in Jeonbuk-do province" 26 (26): 133-142, 1998

      35 Choi, J. U.,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onservation condition of rural community forests as culture in Korea" 18 (18): 51-64, 2000

      36 Yoon, Y. W., "A study on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village woods -The key subject on Wonju area-" 17 (17): 17-27, 1999

      37 Park, J. C., "A study on the groves for making enclosed village in rural human settlement circle -Centered on Jinan-gun region in Jeonbuk-do province, Korea-" 26 (26): 152-161, 1998

      38 Park, J. C., "A review on enclosing groves of the village which standing stone of penis form is existing in Sunchang region -Centered on enclosing groves of Palwang and Taechon village-" 22 (22): 19-28, 2001

      39 Yoon, J. I., "A Study on Feng-Shui Meaning of the Old Village's BiBo(裨補) Forest -At the Village Forest of Goseong-gun-" Graduate School Daegu Hanny University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