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analyzed its structure, contents, and features on a basic level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Imheongongnyeong(臨軒功令), compiled from the reign of King Jeongjo of the Joseon Dynasty. King Jeongjo was interested in the Gwageo(科擧,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its structure, contents, and features on a basic level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Imheongongnyeong(臨軒功令), compiled from the reign of King Jeongjo of the Joseon Dynasty. King Jeongjo was interested in the Gwageo(科擧, ...
This paper analyzed its structure, contents, and features on a basic level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Imheongongnyeong(臨軒功令), compiled from the reign of King Jeongjo of the Joseon Dynasty.
King Jeongjo was interested in the Gwageo(科擧, state examination) and tried to reform it from the time he ascended to the throne, and thought that questions and answers from Gwageo showed the times. So, he compiled Imheongongnyeong by collecting various questions and answers to Gwageo. This book continued to be added after King Jeongjo's reign and continued to be compiled until King Gojong's reign.
It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as a material that specifically shows the aspects of the Gwageo after the reign of King Jeongjo. In this paper, I explor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Imheongongnyeongi on a basic level through the philological review. This book is especially valuable in that it contains detailed test records that are not found in other materials, and the questions and answers are also full without omission.
In the future, we will be able to use Imheongongnyeong in a variety of ways to more actively try to study Gwageo questions and answers.
참고문헌 (Reference)
1 正祖命, "臨軒題叢"
2 正祖命, "臨軒功令"
3 박재경, "조선시대 策文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4 윤선영, "조선 시대 科試의 四書疑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5 윤선영, "조선 시대 科擧 四書疑 試文 一考" 근역한문학회 50 : 245-278, 2018
6 이상욱, "조선 과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7 심경호, "정조의 문체정책과 제술부과" 진단학회 (127) : 131-157, 2016
8 박현순, "정조의 『臨軒題叢』 편찬과 御題 출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8) : 147-189, 2016
9 윤선영, "순조~철종대 科擧 四書疑 시제 출제경향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1) : 341-372, 2017
10 윤선영, "正祖代 四書疑 試題 小考" 태동고전연구소 37 : 35-77, 2016
1 正祖命, "臨軒題叢"
2 正祖命, "臨軒功令"
3 박재경, "조선시대 策文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4 윤선영, "조선 시대 科試의 四書疑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5 윤선영, "조선 시대 科擧 四書疑 試文 一考" 근역한문학회 50 : 245-278, 2018
6 이상욱, "조선 과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7 심경호, "정조의 문체정책과 제술부과" 진단학회 (127) : 131-157, 2016
8 박현순, "정조의 『臨軒題叢』 편찬과 御題 출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8) : 147-189, 2016
9 윤선영, "순조~철종대 科擧 四書疑 시제 출제경향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1) : 341-372, 2017
10 윤선영, "正祖代 四書疑 試題 小考" 태동고전연구소 37 : 35-77, 2016
11 柳宗元, "柳河東集" 文淵閣四庫全書本
12 "日省錄"
13 "承政院日記"
14 正祖, "弘齋全書, 한국문집총간 262-267"
15 "常目總攬,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古122-2)"
16 "內閣日曆, 규장각 소장본"
17 박선이, "『正始文程』을 통해 살펴본 정조 문체정책의 한 국면" 민족문화연구원 (80) : 47-73, 2018
조선 후기 科文의 실제에 관한 일고찰− 『東儷文』과 『儷林』에 수록된 科表를 중심으로 −
이옥의 중국문학 수용과 「市記」에서의 구현양상 및 통속성
한문 단편 소설 <王秀才娶得龍女說>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2 | 1.058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