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도덕과 교육과정과 통일교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21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은 다인종, 다민족국가로 이행하고 있는 다문화사회이다. 다문화사회의 도덕과 교육은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등에서 다문화 도덕과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다문화 도...

      한국은 다인종, 다민족국가로 이행하고 있는 다문화사회이다. 다문화사회의 도덕과 교육은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등에서 다문화 도덕과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다문화 도덕과 교육의 목적은 국가정체성과 국민정체성 형성이 되어야 한다. 한국의 국가정체성과 국민정체성 형성이란 여러 문화 배경의 이질적인 사회 구성원이 한 국가의 평등한 국민이라는 정체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다문화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은 다문화사회에서 제기되는 갈등, 쟁점, 주제에 대한 윤리학적 접근, 도덕적 성찰과 탐구, 다문화주의의 핵심 가치를 근거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통일교육 역시 다문화 통일교육의 성격이 강화되어야 한다. 통일한국은 복합적 다문화사회이고 다문화교육이 실행되지 않은 북한 지역 주민들의 단일문화주의 경향이 강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다문화 통일교육은 통일 이전, 통일 과정, 통일 이후 한국사회의 다문화 갈등 문제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도덕적 사고와 판단에 기초해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 on the goals, objectives,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milticultural Moral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for building national identity in Korea.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helps students become equipped wit...

      This paper focus on the goals, objectives,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milticultural Moral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for building national identity in Korea.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helps students become equipped with moral norms and etiquette in their lives. For these purposes,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s not only on the formation of moral habits for observing norms and maintaining good manners, but also on the development of moral thinking and judgement abilities, helping students to solve various moral problems rationally. Especially, since the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2007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stresses ethical approach to social problems as a inquiry principle and moral reflection/inquiry as a method of moral thinking and reasoning. In multicultural and multiethinic Korea, Moral Education should be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to meet the needs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unified Korea of future.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essential values of multiculturalism such as human dignity, human rights, social justice, tolerance, cooperation.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milticultural moral education is the building of national identity such as a One Korea and One Korean. And cont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constructed for the prejudice reduction of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원표, "한국적 다문화 교육의 발전 방안 탐색: 미국 논의의 수용을 넘어서" 한국교육원리학회 13 (13): 89-113, 2008

      2 양영자, "한국 다문화 교육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행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2008

      3 조영달,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51-184, 2010

      4 김국현, "통일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반편견교육" 인간사랑 2004

      5 김국현, "초등학교 도덕과 반편견교육 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11): 1-28, 2008

      6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7 교육부, "초·중등 학교 교육 과정 -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

      8 Glaser, N., "우리는 이제 모두 다문화인이다" 미래를소유한사람들 2003

      9 교육인적자원부, "사회과 교육과정"

      10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육과정"

      1 홍원표, "한국적 다문화 교육의 발전 방안 탐색: 미국 논의의 수용을 넘어서" 한국교육원리학회 13 (13): 89-113, 2008

      2 양영자, "한국 다문화 교육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행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2008

      3 조영달,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51-184, 2010

      4 김국현, "통일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반편견교육" 인간사랑 2004

      5 김국현, "초등학교 도덕과 반편견교육 교육과정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 (11): 1-28, 2008

      6 교육인적자원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7 교육부, "초·중등 학교 교육 과정 -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

      8 Glaser, N., "우리는 이제 모두 다문화인이다" 미래를소유한사람들 2003

      9 교육인적자원부, "사회과 교육과정"

      10 교육인적자원부, "도덕과 교육과정"

      11 보건사회연구원, "다문화가족의 실태와 정책 과제" (26) : 2010

      12 민용성,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9 (9): 231-258, 2009

      13 추병완, "다문화 도덕교육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8 : 295-330, 2008

      14 김민경, "결혼이민자가족의 이해" 집문당 2008

      15 Ramsey, P. G., "Teaching and learning in a diverse world" Teachers College Press 2004

      16 Coehlo, E., "Teaching and Learning in Multicultural Schools" Multilingual Matters Ltd 1998

      17 Obbu, J., "Overcoming racial barriers to equal access, in Access to Knowledge" The College Board 1994

      18 Phillion, J, "Narrative & Experi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Sage Publications Ltd 2005

      19 Tiedt, P. C., "Multicultural Teaching" Allyn & Bacon 2002

      20 Manning, M. Lee, "Multicultural Edu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Pearson Education, Inc 2004

      21 Pang, V. O., "Multicultural Education" McGraw-Hill 2001

      22 Sleeter, C. E.,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 Merrill 1999

      23 Print, M.,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sign" Allen & Unwin 1993

      24 Gay, G.,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Teachers College Press 2000

      25 Bennett, C. I.,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Pearson Education, Inc 2007

      26 Banks, J. A.,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Allyn & Bacon 2008

      27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