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파사드를 통한 미디어아트는 도시 속의 공공매체로, 불특정 다수가 존재하는 외부공간을 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디어아트는 새로운 공공미술이나 공공디자인과 같은 공공재의 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869144
2012
-
KCI등재
학술저널
169-178(10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미디어 파사드를 통한 미디어아트는 도시 속의 공공매체로, 불특정 다수가 존재하는 외부공간을 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디어아트는 새로운 공공미술이나 공공디자인과 같은 공공재의 역...
미디어 파사드를 통한 미디어아트는 도시 속의 공공매체로, 불특정 다수가 존재하는 외부공간을 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디어아트는 새로운 공공미술이나 공공디자인과 같은 공공재의 역할을 한다. 도시외부로 확장되는 예술로, 도시경관의 새로운 경향으로 미디어 파사드를 실질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콘텐츠’의 연구의 필요성에 착안하여 서울스퀘어를 우수사례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스퀘어는 서울의 상징적인 장소, 서울역 맞은편에 위치해 있으며 건물 전면부를 미디어아트 표출을 위한 미디어캔버스로 시공한 첫 번째 사례로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서울 야간경관의 새로운 얼굴이다. 진행된 서울스퀘어 미디어콘텐츠를 기획의도와 구성분석을 통해 공공성, 경제성, 통합성, 심미성, 소통성, 경제성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대표 콘텐츠를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 시각적 인지를 통한 심리특성 과 선호도를 조사하고 SPSS를 통해 분석한다. 선호도와 콘텐츠의 시각적 인지, 도시경관과의 관계성에서의 시각적 인지를 조사하는 모든 항목은 동일한 6개의 콘텐츠에서 이미지와 동영상으로 2가지 형태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같은 콘텐츠라도 모든 항목에서 이미지와 동영상간에 결과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콘텐츠별 이미지와 동영상의 시각적으로 느끼는 이미지의 평가결과와 선호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이미지와 동영상의 콘텐츠, 도시경관과의 관계성에서 평가한 이미지와 동영상의 콘텐츠 모두 심미성이 가장 높은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복잡성과 상업성은 부적의 관계를 띄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삼철, "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2006
2 최은수, "명품도시의 탄생" 매일경제신문사 2009
3 이혁수, "디지털미디어를 적용한 가로환경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디지털디자인대학원 2004
4 진영효, "도시화, 외부효과, 공공재" 국토개발연구원 1997
5 손영실, "도시 공간에서의 비디오 아트와 미디어 환경에의 재고"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96-206, 2011
6 권영걸,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사미헌 2008
7 이상민, "공공 디자인의 관점에서 미디어 파사드에 영향을 주는 구성 요소"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8 김민지, "Interactive Media를 적용한 대공간 구조물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1 박삼철, "왜 공공미술인가" 학고재 2006
2 최은수, "명품도시의 탄생" 매일경제신문사 2009
3 이혁수, "디지털미디어를 적용한 가로환경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디지털디자인대학원 2004
4 진영효, "도시화, 외부효과, 공공재" 국토개발연구원 1997
5 손영실, "도시 공간에서의 비디오 아트와 미디어 환경에의 재고"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96-206, 2011
6 권영걸, "권영걸 교수의 공공디자인 산책" 사미헌 2008
7 이상민, "공공 디자인의 관점에서 미디어 파사드에 영향을 주는 구성 요소"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8 김민지, "Interactive Media를 적용한 대공간 구조물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소비자 욕구 변화와 웹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유형분석연구 - 국내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
제품 표면 디자인 분석에 관한 연구 - 가전제품과 IT제품의 컬러, 소재, 패턴 분석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4-12-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8 | 0.814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