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극 문학 교육에서 학습자 체험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 A Exploratory Study on Lived Experience in Theate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41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mount of research on theater education is not large. The nature of dramatic literature has played a large role on that. Theater is literary and enjoyed as a performance.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conceptualized as linguistic, aesthetic, reproducibility, and indirectness as the essence of dramatic literature. Among them, the fact that the dramatic literature has reproducibility as a performance is a key element to establish the dramatic literature as a genre. Theater education is not only literary education but also educational achievement as it is used as educational method,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reproducibility of dramatic literature. Imitation and reproduction in dramatic literature are influenced by the presence and encounter of stage, audience, actor, and all the sensory experiences in betwe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learner's emotional experience in literary education. From the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literary experience can be classified as directed experience. In addition, sensory experience of the aud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ciousness in the dramatic literature. In theater education, simultaneous action of sensory experience and oriented experienc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tudy of theat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as an audience and a learner in experience of theater and theater education.
      번역하기

      The amount of research on theater education is not large. The nature of dramatic literature has played a large role on that. Theater is literary and enjoyed as a performance.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conceptualized as linguistic, aesthetic, reprod...

      The amount of research on theater education is not large. The nature of dramatic literature has played a large role on that. Theater is literary and enjoyed as a performance.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conceptualized as linguistic, aesthetic, reproducibility, and indirectness as the essence of dramatic literature. Among them, the fact that the dramatic literature has reproducibility as a performance is a key element to establish the dramatic literature as a genre. Theater education is not only literary education but also educational achievement as it is used as educational method,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reproducibility of dramatic literature. Imitation and reproduction in dramatic literature are influenced by the presence and encounter of stage, audience, actor, and all the sensory experiences in betwe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learner's emotional experience in literary education. From the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literary experience can be classified as directed experience. In addition, sensory experience of the aud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ciousness in the dramatic literature. In theater education, simultaneous action of sensory experience and oriented experienc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tudy of theat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as an audience and a learner in experience of theater and theater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석,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살펴 본극문학 교육의 실태 - 국어 교사와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9) : 155-182, 2015

      2 木田元, "현상학사전" b 2011

      3 양해림, "현상학과의 대화" 서광사 2003

      4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한길사 2014

      5 김영필, "현대철학 : 후설에서 들뢰즈까지" 울산대학교출판부 2002

      6 Landgrebe, L., "현대철학" 서광사 1989

      7 조만호, "한국가면극의 창조적 복원 연구 Ⅱ —‘第三場 社黨舞’를 중심으로—" 영주어문학회 21 : 293-312, 2011

      8 김태호, "체험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그림책의 상상적 경험" 한국문학교육학회 (46) : 135-157, 2015

      9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철학사전" 중원문화 2012

      10 이보람, "중․고등학교 현대극 교육의 현황과 과제-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15 : 209-241, 2014

      1 김남석,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살펴 본극문학 교육의 실태 - 국어 교사와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9) : 155-182, 2015

      2 木田元, "현상학사전" b 2011

      3 양해림, "현상학과의 대화" 서광사 2003

      4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 연구 :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한길사 2014

      5 김영필, "현대철학 : 후설에서 들뢰즈까지" 울산대학교출판부 2002

      6 Landgrebe, L., "현대철학" 서광사 1989

      7 조만호, "한국가면극의 창조적 복원 연구 Ⅱ —‘第三場 社黨舞’를 중심으로—" 영주어문학회 21 : 293-312, 2011

      8 김태호, "체험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그림책의 상상적 경험" 한국문학교육학회 (46) : 135-157, 2015

      9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철학사전" 중원문화 2012

      10 이보람, "중․고등학교 현대극 교육의 현황과 과제-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15 : 209-241, 2014

      11 김성수, "영화 활용 글쓰기·문학 교육의 이상과 현실(1)" 영주어문학회 17 : 147-173, 2009

      12 민병욱, "연극의 이해" 삼영사 2006

      13 Ubersfeld, A., "연극기호학" 문학과지성사 1988

      14 崔允禎, "연극 놀이의 교육적 효용성 연구" 慶星大學校 大學院 1995

      15 Ihde, D., "소리의 현상학" 예전사 2006

      16 이미원, "문화인류학적 접근방법" 4 : 37-47, 1992

      17 김대행,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8 최지현, "문학교육심리학" 역락 2014

      19 김창원, "문학 평가의 방법 연구 - 문학 경험 평가를 위한 시론(試論) -" 한국어교육학회 (130) : 205-234, 2009

      20 윤여탁,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21 Asmuth, B., "드라마분석론" 서문당 2000

      22 배대용, "낙관적 설명양식을 적용한 교육연극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3 정재찬, "국어교육현상에 관한 교육사회학적 접근-질적 연구 방법론을 중심으로" 12 : 51-91, 2001

      24 한귀은, "국어과에서의 희곡과 연극 교육의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30) : 65-89, 2009

      25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26 정성희, "교육연극의 이해" 연극과인간 2006

      27 민병욱,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 연극과인간 2000

      28 이지은, "교육연극 기반 국어과 통합 수업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9 Dewye, J.,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03

      30 "http://www.aep-arts.org"

      31 O`toole, J., "When advocacy meets opportunity…what`s the reality?-Establishing drama in the curriculum" Routledge 185-193, 2015

      32 Gustave J. Weltsek, "The local and Global State of Theater Education Research and Policy" 115 : 63-71, 2014

      33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Seoul agenda: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2010

      34 Moustake, 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1994

      35 김영석, "2016년 동계 연구방법론 워크숍 : 현상학적 연구 Ⅰ"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36 김창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Ⅰ․Ⅱ-국어과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6-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Journal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 The Association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7 0.9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