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성어 교육방안 제안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화자의 ‘웃음’ 의성어 인식 비교 = Comparison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anguage Foreign Learners' Consciousness about Onomatopoeic Words for Suggesting Its Desirabl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Focusing on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41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ghly developed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one of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in Korean language which hardly appear so often in other languages. Accordingly, these words in Korean language are very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learn. However, nearly every Korean textbooks do not thes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so specifically. This can cause many Korean learners to unaware of one of the most vivid and peculiar Korean expressions.
      This study tries to explore how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can be taught for foreigners as the first step in studies of desirable educations for onomatopoeic and mimetic Korean words since laughing onomatopoeic words are greatly often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in daily life. For this objective, first, how onomatopoeic words are suggested in main ten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examined. Then, in order to figure out desirable education way, not only Korean learners' consciousness but also Korean natives' ones are looked through and compared each other. Based on results of these examination,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education.
      Firstly, there seems to exist such a big gap between Korean natives and Korean learners in understanding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especially on its producer's age and sex, speaking situation, laughing impression, sincerity of laughing, and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aughing. This phenomenon concludes these three differentiative features are stressed when instructing laughing onomatopoeic words.
      Secondly, enormous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learners in understanding of each laughing onomatopoeic words are examined. This shows us that general comparison between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after the instruction of each. Also, this can be understood as a convincing evidence that onomatopoeic words in group are to be treated in Korean textbooks in an explicit way.
      Thirdly, Korean learners are likely not to be so conscious of vowel harmony in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Therefore contrasts between bright vowels and dark vowels in production of onomatopoeic laughing words are necessary to learn.
      Lastly, realistic materials which are used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can be encouraged in order to raise learners' interests and motivations.
      번역하기

      Highly developed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one of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in Korean language which hardly appear so often in other languages. Accordingly, these words in Korean language are very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learn...

      Highly developed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are one of the outstanding characteristics in Korean language which hardly appear so often in other languages. Accordingly, these words in Korean language are very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learn. However, nearly every Korean textbooks do not these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so specifically. This can cause many Korean learners to unaware of one of the most vivid and peculiar Korean expressions.
      This study tries to explore how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can be taught for foreigners as the first step in studies of desirable educations for onomatopoeic and mimetic Korean words since laughing onomatopoeic words are greatly often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in daily life. For this objective, first, how onomatopoeic words are suggested in main ten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examined. Then, in order to figure out desirable education way, not only Korean learners' consciousness but also Korean natives' ones are looked through and compared each other. Based on results of these examination,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education.
      Firstly, there seems to exist such a big gap between Korean natives and Korean learners in understanding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especially on its producer's age and sex, speaking situation, laughing impression, sincerity of laughing, and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laughing. This phenomenon concludes these three differentiative features are stressed when instructing laughing onomatopoeic words.
      Secondly, enormous differences according to each learners in understanding of each laughing onomatopoeic words are examined. This shows us that general comparison between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after the instruction of each. Also, this can be understood as a convincing evidence that onomatopoeic words in group are to be treated in Korean textbooks in an explicit way.
      Thirdly, Korean learners are likely not to be so conscious of vowel harmony in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Therefore contrasts between bright vowels and dark vowels in production of onomatopoeic laughing words are necessary to learn.
      Lastly, realistic materials which are used laughing-related onomatopoeic words can be encouraged in order to raise learners' interests and motiv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정, "한국어교육에서의 의성어·의태어 지도" 언어정보연구원 33 : 135-156, 2014

      2 강경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 연구"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김중섭,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성어 의태어 교육방법 연구"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4 : 177-193, 2001

      4 신승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단계별 의성어·의태어 목록 선정과 교육 방안 연구 : 반복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심혜령, "한국어 학습의 궁극적 목적 달성을 위한 어휘력 제고 방안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5 : 101-127, 2010

      6 高음嵐,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방안 연구 : 외국인 학습자 중심으로" 대불대학교 대학원 2010

      7 한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동양북스 2015

      8 조현용, "한국어 어휘의 특징과 어휘교육" 10 (10): 265-281, 1999

      9 박영순,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7-188, 2003

      10 장언청,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중 의태어 대비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1 김수정, "한국어교육에서의 의성어·의태어 지도" 언어정보연구원 33 : 135-156, 2014

      2 강경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 연구"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김중섭,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성어 의태어 교육방법 연구"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4 : 177-193, 2001

      4 신승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단계별 의성어·의태어 목록 선정과 교육 방안 연구 : 반복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심혜령, "한국어 학습의 궁극적 목적 달성을 위한 어휘력 제고 방안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5 : 101-127, 2010

      6 高음嵐,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방안 연구 : 외국인 학습자 중심으로" 대불대학교 대학원 2010

      7 한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동양북스 2015

      8 조현용, "한국어 어휘의 특징과 어휘교육" 10 (10): 265-281, 1999

      9 박영순,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7-188, 2003

      10 장언청,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중 의태어 대비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11 박미자, "한국어 교육을 위한 수준별 의성어·의태어 목록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12 박동근, "한국어 교육에서 흉내말 교육에 대한 연구사적 분석" 한국문법교육학회 17 : 67-96, 2012

      13 민현식,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 3 (3): 137-180, 2006

      14 張學蓮,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15 왕슈에,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 내용과 방법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16 王美子,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성·의태어에 대한 고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17 王亞前,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음성상징어의 분류"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1

      18 동치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중 의성어·의태어 대조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19 왕뢰, "중국인 고급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위한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20 이란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의태어 교육 방법"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2

      21 배현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수법 연구" 이중언어학회 (31) : 97-122, 2006

      22 이영은,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23 고경태, "반복 합성 의성·의태 부사의 말뭉치 빈도 연구 -한국어 학습용 4음절의 반복 합성 부사 선정을 위한 시론" 우리어문학회 (35) : 137-160, 2009

      24 방성원, "문법 교육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187-211, 2011

      25 김종수, "독일어 의성어의 특징과 감정 표현"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63 (63): 53-75, 2015

      26 안유진,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법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7 이경은, "Cartoon 한국어 의성어 의태어" 한글파크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6-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Journal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 The Association of Yeongju Language &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7 0.9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