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자궁 적출술 방법 결정을 위한 복식과 질식 전 자궁 적출술의 비교 연구 = Hysterectomy : A comparative statistical study of abdominal versus vaginal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3616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궁 적출술은 부인과 영역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수술의 하나로 본 연구는 복식과 질식 전 자궁 적출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수술의 적응증, 특징, 환자의 예후를 비교하여 자궁 적출술의 ...

      자궁 적출술은 부인과 영역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는 수술의 하나로 본 연구는 복식과 질식 전 자궁 적출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수술의 적응증, 특징, 환자의 예후를 비교하여 자궁 적출술의 방법의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1994년 1월부터 1999년 1월까지 본원에서 양성 자궁질환으로 복식과 질식 전 자궁 적출술을 받은 환자 각각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연령, 분만력, 수술전 적응증, 적출된 자궁의 무게, 총 수술 시간, 출혈량, 합병증, 동반된 수술, 입원 기간을 비교 분석 하였다. 1. 수술전 적응증은 두 비교군 모두에서 자궁 근종이 가장 많았으며 자궁 경부 상피내암, 자궁 선증, 기타(부정 출혈, 부속기 종양)등이 있었다. 2. 환자의 연령, 분만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적출된 자궁의 무게는 복식이 질식 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질식에서 자궁의 무게가 280gm 이상인 경우도 18%(36/200)로 나타났다. 3. 총 수술 시간, 입원 기간, 출혈량에서 질식이 총 수술 시간과(P=0.002) 입원 기간이 짧고(P=0.000), 출혈량(P=0.000)도 의미있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수술 후 합병증은 질식 환자의 4%, 복식 환자의 7%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5. 과거 개복 수술력은 질식에서 18%(36/200), 복식에서 28.5%(57/200)의 환자가 수술력이 있었는데, 질식 전 자궁 적출술 환자중 과거 제왕 절개를 받은 환자에서 자궁이 전 복벽에 유착되어 개복 수술로 전환한 예가 있었고 97.2%(35/36)에서 성공적으로 질식 자궁 적출술이 이루어졌다. 6. 질식 전 자궁 적출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부속기 절제술을 함께 시행한 환자와 자궁 적출술만을 시행받은 환자의 총 수술시간, 출혈량, 합병증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환자의 자궁의 크기나 과거 수술력, 부속기 절제의 요구가 더 이상 질식 방법의 금기가 아니며 질식 전 자궁 적출술은 수술 시간과 입원 기간, 출혈량을 줄일 수 있는 안전한 수술로 앞으로 이러한 질식 전 자궁 적출술에 많은 관심과 수련으로 부인과 수술에서 더 많이 사용 되어 져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he most often perfomed major operation in gynecology is hysterectomy.Our purpose was to compare the indications, charateristics and outcomes of patients undergoing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total vaginal hysterectomy and to help t...

      Objectives : The most often perfomed major operation in gynecology is hysterectomy.Our purpose was to compare the indications, charateristics and outcomes of patients undergoing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total vaginal hysterectomy and to help to establish guidelines to determine the route of hysterectomy.Method : The hospital charts of 400 women who underwent elective inpatient hysterectomy at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4 to January 1999, were abstracted retro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regarding patients, age, parity, preoperative indications, the route of hysterectomy, uterine weight, 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he length of stay. The operative indications were benign uterine disease except from uterine prolapse. Bisection or combined morcellation were used in most cases to obtain reduction in uterine size.Result : Patients in whom the vaginal route was successful included 18% of those with uterine weights exceeding 280gm.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uterine weight, operative time, bleeding amount, the length of stay in two camparative group. 4% of vaginal hysterectomy and 7% of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has documented operative complications.Conclusion : Vaginal hysterectomy is safe operation with few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ithout notable blood loss. Vaginal hysterectomy allow one to shorten the operating time and allows early postoperative discharge of some patients from hospital. Skilled performance of vaginal hysterectomy is worth greater attention and should be used more often in gynecological stud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