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내 구성원의 갈등유형을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으로 구분하고, 그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이 직무소진의 하위변수인 정서적 소진, 냉소적 태도, 개인성취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06813
2016
-
관계갈등 ; 과업갈등 ; 직무소진 ; 직무자율성 ; 리더십 ; Relationship Conflict ; Task Conflict ; Job Burnout ; job Autonomy ; leadership
324
KCI등재
학술저널
57-82(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집단 내 구성원의 갈등유형을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으로 구분하고, 그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이 직무소진의 하위변수인 정서적 소진, 냉소적 태도, 개인성취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집단 내 구성원의 갈등유형을 관계갈등과 과업갈등으로 구분하고, 그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이 직무소진의 하위변수인 정서적 소진, 냉소적 태도, 개인성취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직무자율성을 조절변수로 집단 내 갈등유형이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를 같이 확인하여 보았다. 연구목적을 갈등유형에 따른 갈등의 높은 지각은 직무소진의 수준을 높일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직무자율성의 변수는 갈등관계에 대한 직무소진의 영향에 있어 긍적적인 효과를 기대할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갈등유형과 직무소진의 영향은 집단 내 구성원들의 갈등유형에 따라 갈등관계의 지각을 높게 인식 할수록 직무소진의 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대와 다르게 조절변수인 직무자율성은 집단내 조직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높은 수준의 갈등에 대해서 조절효과가 정(+)의 영향을 가지면서 종속변수인 직무소진을 더욱 확대시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시사해주고 있다. 첫째, 구성원들이 높은 지각의 갈등을 경험하고 있을 때 직무자율성의 부여는 구성원들의 직무소진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구성원들의 직무소진을 줄이기 위해서는 선행적인 갈등관리의 해결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높은 지각의 갈등이 해소되었을 때, 부여된 직무자율성의 효과가 직무소진 감소에 기여하리라 예상된다는 점이다.
이의 연구결과는 갈등상황을 겪고 있는 조직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하며, 특히 기업은 효과적인 조직관리를 위해리더가 갈등유형을 선행적으로 관리하는 리더십의 역량을 개발함으로써 갈등유형에 따른 갈등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면, 기업의 지속적인 경영활동을 보장하는 경영 요소가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for a study on an effect of conflict's types on Job Burnout. This study is aimed at verifying if job autonomy is effective in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s types and Job Burnout as controling variable. The summary of conclusion is as...
This article is for a study on an effect of conflict's types on Job Burnout. This study is aimed at verifying if job autonomy is effective in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s types and Job Burnout as controling variable. The summary of conclusion is as follows. The higher the member feel conflict in the Intragroup, the more the standard of Job Burnout increase. It is verified that controling effect of job autonomy on conflict influences to cynical attitude in Job Burnout. So the member's attitude on the conflict has an effect Job Burnout. And if conflict as preceding variable isn't got rid of, autonomy can't adjust Job Burnout. Although Regulatory effect of job autonomy occur, Job Burnout increase. Thus when organization is administered in a business, conflict is the one of key factor resolved by priorit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A study on conflict's types with diverse variable is expended. So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gresses preceding variable on conflict's types. Second, if conflict is continuous, negative effect is repetitively made. Conflict is the key factor to be solved even duty's conflict of proper standard. In the future research, I desire to progress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s types and Job Burnout with using various controling variable. Also I hope that an Empirical study o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receding variable and positive dependent variable is expended and segmentalize conflict's types. This research provide usful information to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when it is in the conflict situation. Especially, to realized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leader has to manage and understand the casue of the conflict and it might be the business factor of the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세월호 참사로 야기된 위기 극복을 위한 세종대왕 소통리더십
셀프리더십과 고객지향적 행동 및 직무소진 관계에서 사회적 기술의 조절효과
How Does Leadership Sharing Promote Collective Orientations among Team Members?
SYMLOG평가에서 MEL(Most Effective Leader)좌표 선정에 관한 논의
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한국외국어대학교 설규상리더십론
단국대학교 박재춘현대사회와 리더십
안양대학교 박소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