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곽영순,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학중점학교의 특성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525-534, 2019
2 곽영순,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학교육 선도학교 특성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8 (38): 317-330, 2019
3 강훈식, "초등학생의 통합 창의성, 과학 유머 창의성,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관계"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8 (38): 191-202, 2019
4 강훈식,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 요인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9 (39): 183-203, 2020
5 권현영,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에 대한 실태 및 효과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27 (27): 153-172, 2016
6 윤서정,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학영재 학생의 행동 특성이 일반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9 (39): 353-368, 2020
7 양현정,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의 자유탐구 산출물 특성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9 (39): 243-254, 2020
8 서혜애, "초등 과학영재수업의 교수,학습실태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3 (23): 219-227, 2004
9 유미현, "창의융합형 과학실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긍정경험 및 리더십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4 (14): 321-336, 2020
10 한문현, "참여 촉진하기 - 초등학생들의 긍정적 정서 구성을 돕는 과학 전담 교사의 실천적 지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8 (38): 244-262, 2019
1 곽영순,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학중점학교의 특성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525-534, 2019
2 곽영순,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학교육 선도학교 특성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8 (38): 317-330, 2019
3 강훈식, "초등학생의 통합 창의성, 과학 유머 창의성,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의 관계"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8 (38): 191-202, 2019
4 강훈식,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 요인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9 (39): 183-203, 2020
5 권현영, "초등학교 과학과 자유탐구에 대한 실태 및 효과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27 (27): 153-172, 2016
6 윤서정,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학영재 학생의 행동 특성이 일반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9 (39): 353-368, 2020
7 양현정, "초등 과학영재학생들의 자유탐구 산출물 특성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9 (39): 243-254, 2020
8 서혜애, "초등 과학영재수업의 교수,학습실태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3 (23): 219-227, 2004
9 유미현, "창의융합형 과학실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긍정경험 및 리더십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4 (14): 321-336, 2020
10 한문현, "참여 촉진하기 - 초등학생들의 긍정적 정서 구성을 돕는 과학 전담 교사의 실천적 지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8 (38): 244-262, 2019
11 곽영순,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 특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135-142, 2017
12 이갑정,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24 (24): 45-56, 2020
13 김용성,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과학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49-79, 2019
14 유은정, "미래학교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과학긍정경험과 과학 학습자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지구과학회 41 (41): 176-193, 2020
15 임채성, "뇌 기능에 기초한 과학 교수학습 : 뇌기능과 학교 과학의 정의적, 심채적, 인지적 영역의 연계적 통합 모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 (24): 86-101, 2005
16 이희경, "긍정심리학적 인간이해와 변화" 인간학연구소 (13) : 16-43, 2007
17 문주영,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과학 “지구와 달” 단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42 (42): 214-229, 2018
18 박종원,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활동자료의 개발과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310-327, 2013
19 이봉우,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775-785, 2017
20 강훈식, "과학선도학교 사업이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및 관련 교육과정 요소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279-293, 2019
21 신영준,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335-346, 2017
22 김희경, "과학 긍정경험 구성 변인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507-521, 2017
23 곽영순, "고등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및평가 개선 방안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과학교육학회 40 (40): 337-346, 2020
24 이여빈,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적용한 ‘사이언스 레벨 업’ 과학 수업이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 47 (47): 97-106, 2019
25 Ministry of Education, "The 4th comprehensive plan for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2018
2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curriculum"
27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09
28 Kim, Y.,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Ⅰ: Bricoleur" Academy Press 2012
29 Fredrickson, B. L., "Positivity: Groundbreaking research reveals how to embrace the hidden strength of positive emotions, overcome negativity, and thrive" Crown Publishers 2009
30 Ku, J.,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 An in-depth analysis of PISA 2015 results" KICE 2017
31 Seo, Y., "Mom’s Brain Education raising children to be gifted" Donga M & B 2014
32 Lee, S., "Latest introduction to gifted education" Hakjisa 2019
33 Duckworth, A., "Grit :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Scribner 2016
34 Worrell, F. C., "Gifted students" 70 : 551-576, 2019
35 Ministry of Education, "General plans for science education"
36 Kim, T., "Comparative study on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between gfted and non-gifted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20
37 Seligman, M. E. P.,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Free Press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