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의 현장 적용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 및 학생의 인식 =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on the implementation of core ideas and science key competencies and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050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the basis of a second-year monitor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how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d the effectiveness of adapting core ideas and science key competencies. Data was collected by a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In results, first, the teachers positively evaluated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core ideas and science key competencies, but pointed out lack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instructional supports and lack of clarity and concreteness in the definitions of science key competencies. Since such limited understanding could be barriers to properly implement the major changes in schools, it would be more necessary to clearly communicate with teachers on the emphases of the curriculum. In addition, some teachers tended to misunderstand core ideas as a decrease in the amount of learning. The teachers suggested that science textbooks should clearly address core ideas and science key competencies.
      번역하기

      On the basis of a second-year monitor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how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d the effectiveness of adapting core ideas and science key competencies. Data was...

      On the basis of a second-year monitor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how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d the effectiveness of adapting core ideas and science key competencies. Data was collected by a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In results, first, the teachers positively evaluated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core ideas and science key competencies, but pointed out lack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instructional supports and lack of clarity and concreteness in the definitions of science key competencies. Since such limited understanding could be barriers to properly implement the major changes in schools, it would be more necessary to clearly communicate with teachers on the emphases of the curriculum. In addition, some teachers tended to misunderstand core ideas as a decrease in the amount of learning. The teachers suggested that science textbooks should clearly address core ideas and science key competenc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9년도에 현장 적용 2년차를 맞이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모니터링 연구의 일환으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주요 요소인 핵심개념과 과학과 교과역량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탐색하였다. 교사들은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요소와 변화 방향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면서도,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재상, 주요 초점 등에 대한 연수, 홍보, 교수학습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과학교사들은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을 강조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였으나, 과학과 교과역량 각각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아직까지 과학 수업에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각 역량의 의미가 현장수업과 연계되어 제대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각 역량이 의미가 교사들에게 명확히 전달될 필요가 있다. 교사들은 핵심개념의 적용을 학습량 감소와 연계하여 이해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향후 우리나라도 과학 교과서에 핵심개념과 개념과의 연계를 명시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2019년도에 현장 적용 2년차를 맞이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모니터링 연구의 일환으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주요 요소인 핵심개념과 과학과 교...

      본 연구에서는 2019년도에 현장 적용 2년차를 맞이하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모니터링 연구의 일환으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주요 요소인 핵심개념과 과학과 교과역량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탐색하였다. 교사들은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요소와 변화 방향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면서도,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재상, 주요 초점 등에 대한 연수, 홍보, 교수학습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과학교사들은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을 강조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였으나, 과학과 교과역량 각각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아직까지 과학 수업에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따라서 각 역량의 의미가 현장수업과 연계되어 제대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각 역량이 의미가 교사들에게 명확히 전달될 필요가 있다. 교사들은 핵심개념의 적용을 학습량 감소와 연계하여 이해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향후 우리나라도 과학 교과서에 핵심개념과 개념과의 연계를 명시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덕순, "핵심개념의 이해 증진을 위한 해외 중학교 과학교과서 내용 및 디자인 분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1 (21): 150-158, 2018

      2 황규호, "일반역량 교육 논의의 쟁점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247-271, 2017

      3 김미영, "우리나라, 싱가포르, 대만의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498-518, 2010

      4 이주연, "역량기반 교육과정 연구학교 교원의 경험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20, 2018

      5 한혜정, "교육 목적으로서 ‘일반 능력’ 설정에 대한 논의 고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관계에 주는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18, 2016

      6 Erin Sperling, "“More Than Particle Theory”: Citizenship Through School Scienc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0 (10): 255-266, 2010

      7 H. Park, "Study on the Monitor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2015 Science National Curriculum" KOFAC 2019

      8 J. Song, "Reconstruction of an Integration of Humanities & Social Studies Science Curriculum"

      9 M. B. Miles,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Sage 1994

      10 "Partnership for the 21st Century Skills [P21]. (2009). 21st Century Skills Science Map"

      1 김덕순, "핵심개념의 이해 증진을 위한 해외 중학교 과학교과서 내용 및 디자인 분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1 (21): 150-158, 2018

      2 황규호, "일반역량 교육 논의의 쟁점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247-271, 2017

      3 김미영, "우리나라, 싱가포르, 대만의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498-518, 2010

      4 이주연, "역량기반 교육과정 연구학교 교원의 경험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20, 2018

      5 한혜정, "교육 목적으로서 ‘일반 능력’ 설정에 대한 논의 고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관계에 주는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18, 2016

      6 Erin Sperling, "“More Than Particle Theory”: Citizenship Through School Scienc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0 (10): 255-266, 2010

      7 H. Park, "Study on the Monitor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2015 Science National Curriculum" KOFAC 2019

      8 J. Song, "Reconstruction of an Integration of Humanities & Social Studies Science Curriculum"

      9 M. B. Miles,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Sage 1994

      10 "Partnership for the 21st Century Skills [P21]. (2009). 21st Century Skills Science Map"

      11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3

      12 Jesper Sjöström, "Humanizing Chemistry Education: From Simple Contextualization to Multifaceted Problematization" American Chemical Society (ACS) 91 (91): 1125-1131, 2014

      13 J. Song, "Development of Korean Science Education Standards(KSES)for the Next Generation" KOFAC 2018

      14 K. Lee, "Designing a National Curriculum to Cultivate Key Competencies for Future Society" KICE 2012

      15 Organization for Economic and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2003

      16 정영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이해에 관한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11-237, 2019

      17 이광우,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이슈 고찰: 인간상, 교육 목표, 교과 역량과의 관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67-94, 2017

      18 하민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과학과 핵심역량 조사 문항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495-504, 2018

      19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