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삼균주의ㆍ「대한민국 건국강령」과 임시정부 절대옹호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88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41년 들어 중경의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일제가 머지않아 패망하리라 예견하고 해방 후의 민족국가건설의 방략을 구체화하였다. 이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무부장 겸 선전위원회 주임위원이었던 조소앙이 삼균주의에 바탕을 두고 기초ㆍ작성한 문안을 여러 차례 독회ㆍ심의하여 11월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제정ㆍ공포하였다.
      1945년 8ㆍ15해방 뒤 임시정부는 귀국을 앞두고, 9월 3일 14개 항의 「임시정부 당면정책」을 공포하였는데, 「건국강령」에 근거를 두어 한민족이 당면한 현단계의 성격을 규정하고 당면한 정책을 제시하였다. 이어 1946년 2월 임시정부는 「당면정책」에 따라 비상정치회의를 소집하고, 이를 확대하여 비상국민회의를 결성하였다. 이로써 중경임시정부를 정식정부가 수립되기 전의 과도정부로 선포하고 인정받으려 하였다.
      「건국강령」은 삼균주의ㆍ「건국강령」의 실천주체인 한국독립당의 一黨政治와 임시정부의 법통성ㆍ영도권을 필연론으로 전제하였다. 「건국강령」이 내세운 ‘임시정부의 영도권’은, 「건국강령」을 공포한 이후, 무엇보다도 해방정국의 국가건설운동의 과정에서 긍정이든 부정이든 커다란 영향력과 파장을 일으켰다. 「건국강령」의 노선은 좌익과 대립ㆍ충돌하였으며, 중간파와 마찰을 빚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민족통합’의 대의에 방점을 두고, 「건국강령」의 구조와 내용 전체를 이미 충분히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삼균주의의 실천론으로서 「건국강령」이 차지하는 비중은, 삼균주의를 실천하는 두 주체인 黨과 政의 일체화, 즉 한국독립당의 일당통치와 임시정부의 영도권을 전제할 때 비로소 제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음을 강조하려 하였다. 삼균주의ㆍ임시정부ㆍ「건국강령」의 삼자는 밀접한 고리를 맺고 있었다. 삼균주의는 임시정부라는 외형과 권위를 입어 「건국강령」으로 구체화하였고, 「건국강령」은 삼균주의에 근거를 두어 임시정부의 영도권을 주장ㆍ확립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臨時政府 絶對擁護論이 「건국강령」에 구체화되는 논리를, 삼균주의의 발전 과정과 관련시켜서 서술하였다.
      번역하기

      1941년 들어 중경의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일제가 머지않아 패망하리라 예견하고 해방 후의 민족국가건설의 방략을 구체화하였다. 이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무부장 겸 선전위원회 주임위원...

      1941년 들어 중경의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일제가 머지않아 패망하리라 예견하고 해방 후의 민족국가건설의 방략을 구체화하였다. 이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무부장 겸 선전위원회 주임위원이었던 조소앙이 삼균주의에 바탕을 두고 기초ㆍ작성한 문안을 여러 차례 독회ㆍ심의하여 11월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제정ㆍ공포하였다.
      1945년 8ㆍ15해방 뒤 임시정부는 귀국을 앞두고, 9월 3일 14개 항의 「임시정부 당면정책」을 공포하였는데, 「건국강령」에 근거를 두어 한민족이 당면한 현단계의 성격을 규정하고 당면한 정책을 제시하였다. 이어 1946년 2월 임시정부는 「당면정책」에 따라 비상정치회의를 소집하고, 이를 확대하여 비상국민회의를 결성하였다. 이로써 중경임시정부를 정식정부가 수립되기 전의 과도정부로 선포하고 인정받으려 하였다.
      「건국강령」은 삼균주의ㆍ「건국강령」의 실천주체인 한국독립당의 一黨政治와 임시정부의 법통성ㆍ영도권을 필연론으로 전제하였다. 「건국강령」이 내세운 ‘임시정부의 영도권’은, 「건국강령」을 공포한 이후, 무엇보다도 해방정국의 국가건설운동의 과정에서 긍정이든 부정이든 커다란 영향력과 파장을 일으켰다. 「건국강령」의 노선은 좌익과 대립ㆍ충돌하였으며, 중간파와 마찰을 빚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민족통합’의 대의에 방점을 두고, 「건국강령」의 구조와 내용 전체를 이미 충분히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삼균주의의 실천론으로서 「건국강령」이 차지하는 비중은, 삼균주의를 실천하는 두 주체인 黨과 政의 일체화, 즉 한국독립당의 일당통치와 임시정부의 영도권을 전제할 때 비로소 제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음을 강조하려 하였다. 삼균주의ㆍ임시정부ㆍ「건국강령」의 삼자는 밀접한 고리를 맺고 있었다. 삼균주의는 임시정부라는 외형과 권위를 입어 「건국강령」으로 구체화하였고, 「건국강령」은 삼균주의에 근거를 두어 임시정부의 영도권을 주장ㆍ확립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臨時政府 絶對擁護論이 「건국강령」에 구체화되는 논리를, 삼균주의의 발전 과정과 관련시켜서 서술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鄭泰秀, "臨時政府의 建國綱領이 韓國敎育法制에 미친 影響-韓國敎育法의 正統性의 論證을 中心으로" 서울敎育大學 20 : 1987

      2 장원륭, "항일전쟁 시기, 한중 건국강령의 비교, In 중국항일전쟁과 한국독립운동" 시대의 창 2005

      3 김기승, "조소앙이 꿈꾼 세계­육성교에서 삼균주의까지" 지영사 2003

      4 조동걸, "임시정부의 建國綱領, In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80주년 기념논문집(하)" 國家報勳處 1999

      5 조동걸, "임시정부의 建國綱領, In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80주년 기념논문집(하)" 國家報勳處 1999

      6 김인식, "광복 전후 국가건설론" 독립기념관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8

      7 申 宇 澈, "건국강령(1941. 10. 28) 연구‘조소앙 헌법사상’의 헌법사적 의미를 되새기며" 중앙법학회 10 (10): 63-98, 2008

      8 盧景彩, "韓國獨立黨 硏究" 신서원 1996

      9 國史編纂委員會, "韓國獨立運動史(資料3, 臨政篇Ⅲ)" 探求堂 1973

      10 國史編纂委員會, "韓國獨立運動史(資料2, 臨政篇Ⅱ)" 探求堂 1971

      1 鄭泰秀, "臨時政府의 建國綱領이 韓國敎育法制에 미친 影響-韓國敎育法의 正統性의 論證을 中心으로" 서울敎育大學 20 : 1987

      2 장원륭, "항일전쟁 시기, 한중 건국강령의 비교, In 중국항일전쟁과 한국독립운동" 시대의 창 2005

      3 김기승, "조소앙이 꿈꾼 세계­육성교에서 삼균주의까지" 지영사 2003

      4 조동걸, "임시정부의 建國綱領, In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80주년 기념논문집(하)" 國家報勳處 1999

      5 조동걸, "임시정부의 建國綱領, In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80주년 기념논문집(하)" 國家報勳處 1999

      6 김인식, "광복 전후 국가건설론" 독립기념관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2008

      7 申 宇 澈, "건국강령(1941. 10. 28) 연구‘조소앙 헌법사상’의 헌법사적 의미를 되새기며" 중앙법학회 10 (10): 63-98, 2008

      8 盧景彩, "韓國獨立黨 硏究" 신서원 1996

      9 國史編纂委員會, "韓國獨立運動史(資料3, 臨政篇Ⅲ)" 探求堂 1973

      10 國史編纂委員會, "韓國獨立運動史(資料2, 臨政篇Ⅱ)" 探求堂 1971

      11 黃苗嬉, "重慶臨時政府의 建國構想, In 竹堂李炫熙敎授華甲紀念韓國史學論叢" 東方圖書株式會社 1997

      12 韓詩俊, "趙素昻硏究" 檀國大學校 史學會 18 : 1984

      13 韓國臨時政府宣傳委員會, "趙一文 譯註, 韓國獨立運動文類" 建國大學校 出版部 1976

      14 國史編纂委員會, "資料大韓民國史1" 探求堂 1968

      15 三均學會, "素昻先生文集上ㆍ下" 횃불사 1979

      16 金鎬逸, "大韓民國臨時政府의 敎育思想-建國綱領에 나타난 三均主義를 中心으로-, In 韓國史論-大韓民國臨時政府10" 國史編纂委員會 1981

      17 孫世一, "大韓民國臨時政府의 政治指導體系, In 韓國近代史論Ⅱ" 知識産業社 1977

      18 韓詩俊, "大韓民國臨時政府의 光復후 民族國家 建設論-大韓民國建國綱領을 중심으로"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 : 1989

      19 李喆珪, "大韓民國臨時政府議政院文書" 大韓民國國會圖書館 1974

      20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大韓民國臨時政府公報"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