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 행위에 대한 통합적 고찰 : 정서사건 이론을 기반으로 = An Integrative Review of Workplace Incivility Instigation among Healthcare workers:Based on Affective Events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53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 행위를 무례함 행위자 측면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의료현장의 무례함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정서사건이론(AET)을 기반으로 하여, 의료환경, 업무사건이나 상황, 무례함 행위자들의 기질, 정서반응, 업무태도, 행동의 6개의 범주로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방법: PubMED, CINAHL, PsycINFO, Web Of Science의 4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2년 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을 다룬 연구들을 검색하였다.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여 문제 명료화, 문헌검색 및 선정, 문헌 평가, 문헌 분석, 의미 기술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검색된 1,519의 논문 중 26편의 논문이 최종 자료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분석 결과, 교대 및 야간근무, 과도한 업무량, 수직적인 문화 등과 같은 의료환경에서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중대한 위해를 주는 상황 하에, 자기중심적이고 나르시시즘과 같은 기질, 분노와 같은 부정적 정서, 타인에 대한 적대적 판단과 같은 태도가 언어적․비언어적․은밀한 형태의 무례함 행동을 야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통합적 연구결과 도출된 무례함 행위 발생과 관련된 의료환경, 업무사건, 기질, 정서, 태도, 행동에 대한 지식체는 의료환경에서의 무례함을 이해하는데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료종사자간 무례함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무례함 행위자에 초점을 둔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 행위를 무례함 행위자 측면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의료현장의 무례함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정서사건이론(AET)을 기반으로 하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 행위를 무례함 행위자 측면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의료현장의 무례함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정서사건이론(AET)을 기반으로 하여, 의료환경, 업무사건이나 상황, 무례함 행위자들의 기질, 정서반응, 업무태도, 행동의 6개의 범주로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방법: PubMED, CINAHL, PsycINFO, Web Of Science의 4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2년 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의료종사자 간 무례함을 다룬 연구들을 검색하였다.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여 문제 명료화, 문헌검색 및 선정, 문헌 평가, 문헌 분석, 의미 기술 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검색된 1,519의 논문 중 26편의 논문이 최종 자료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분석 결과, 교대 및 야간근무, 과도한 업무량, 수직적인 문화 등과 같은 의료환경에서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중대한 위해를 주는 상황 하에, 자기중심적이고 나르시시즘과 같은 기질, 분노와 같은 부정적 정서, 타인에 대한 적대적 판단과 같은 태도가 언어적․비언어적․은밀한 형태의 무례함 행동을 야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통합적 연구결과 도출된 무례함 행위 발생과 관련된 의료환경, 업무사건, 기질, 정서, 태도, 행동에 대한 지식체는 의료환경에서의 무례함을 이해하는데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료종사자간 무례함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무례함 행위자에 초점을 둔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근주, "직장 내 괴롭힘 실태와 제도적 규율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119-130, 2017

      2 최은하 ; 김은경, "정서사건이론에 근거한 간호사의 이직의도 구조모형" 간호행정학회 27 (27): 399-409, 2021

      3 김인희, "대학 내 괴롭힘 : 판단기준과 구제방안 연구" 박영사 110-118, 2021

      4 서유정, "내 일생을 흔드는 학교 괴롭힘, 내 가정도 흔드는 직장 내 괴롭힘" 피와이메이트 9-10, 2022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6 김서인 ; 김숙영, "간호사가 경험하는 직장 내 무례함 구조모형: 괴롭힘으로의 진화" 간호행정학회 28 (28): 406-416, 2022

      7 Plimmer, G., "Workplace bullying as an organisational issue:Aligning climate and leadership" 36 (36): 202-227, 2022

      8 Dåderman AM, "Workplace bullies, not their victims, score high on the Dark Triad and Extraversion, and low on Agreeableness and Honesty-Humility" 5 (5): e02609-, 2019

      9 Meier LL, "Work Stressors and Partner Social Undermining : Comparing Negative Affect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as Mechanisms" 24 (24): 359-372, 2019

      10 Nielsen, M. B., "What we know, what we do not know, and what we should and could have known about workplace bullying: An overview of the literature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42 : 71-83, 2018

      1 김근주, "직장 내 괴롭힘 실태와 제도적 규율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119-130, 2017

      2 최은하 ; 김은경, "정서사건이론에 근거한 간호사의 이직의도 구조모형" 간호행정학회 27 (27): 399-409, 2021

      3 김인희, "대학 내 괴롭힘 : 판단기준과 구제방안 연구" 박영사 110-118, 2021

      4 서유정, "내 일생을 흔드는 학교 괴롭힘, 내 가정도 흔드는 직장 내 괴롭힘" 피와이메이트 9-10, 2022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6 김서인 ; 김숙영, "간호사가 경험하는 직장 내 무례함 구조모형: 괴롭힘으로의 진화" 간호행정학회 28 (28): 406-416, 2022

      7 Plimmer, G., "Workplace bullying as an organisational issue:Aligning climate and leadership" 36 (36): 202-227, 2022

      8 Dåderman AM, "Workplace bullies, not their victims, score high on the Dark Triad and Extraversion, and low on Agreeableness and Honesty-Humility" 5 (5): e02609-, 2019

      9 Meier LL, "Work Stressors and Partner Social Undermining : Comparing Negative Affect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as Mechanisms" 24 (24): 359-372, 2019

      10 Nielsen, M. B., "What we know, what we do not know, and what we should and could have known about workplace bullying: An overview of the literature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42 : 71-83, 2018

      11 Shorey, S., "Vicarious Trauma Experienced by Health Care Providers Involved in Traumatic Childbirths: A Meta-Synthesis" 23 (23): 1585-1598, 2022

      12 Hershcovis MS, "Towards a multi-foci approach to workplace aggression : A metaanalytic review of outcomes from different perpetrators" 31 (31): 24-44, 2010

      13 Andersson LM, "Tit for Tat? The Spiraling Effect of Incivility in the Workplace" 24 (24): 452-471, 1999

      14 Whittemore R, "The integrative review : updated methodology" 52 (52): 546-553, 2005

      15 Riskin A, "The impact of rudeness on medical team performance : A randomized trial" 136 (136): 487-495, 2015

      16 Guo, L., "The effect of exploitative leadership on knowledge hiding: a conservation of resources perspective" 42 (42): 83-98, 2021

      17 Roberts BW, "The Power of Personality : The Comparative Validity of Personality Traits, Socioeconomic Status, and Cognitive Ability for Predicting Important Life Outcomes" 2 (2): 313-345, 2007

      18 Leiter, M. P., "The Impact of Civility Interventions on Employee Social Behavior, Distress, and Attitudes" 96 (96): 1258-1274, 2011

      19 McGregor, D., "The Human side of enterprise" McGraw-Hill Kogakusha 1960

      20 Utako Sawada, "The Effects of the Civility, Respect, and Engagement in the Workplace (CREW) Program on Social Climate and Work Engagement in a Psychiatric Ward in Japan: A Pilot Study" MDPI AG 11 (11): 320-330, 2021

      21 Beverley A. Kirk, "The Effect of an Expressive-Writing Intervention for Employees on Emotional Self-Efficacy,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and Workplace Incivility" Wiley 41 (41): 179-195, 2011

      2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erminology"

      23 Demsky CA, "Shrugging It Off : Does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Aggression and Work-Family Conflict?" 19 (19): 195-205, 2014

      24 Johnson PR, "Rudeness at Work : Impulse over Restraint" 30 (30): 457-465, 2001

      25 Weiss HM,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An annual series of analytical essays and critical reviews. Vol 18" JAI Press 1996

      26 Condie S., "Registered nurses' lived experiences of peer to peer incivility in the workplace" ProQuest Dissertations Publishing 2016

      27 Caponecchia C, "Preventing workplace bullying : an evidence-based guide for managers and employees" Routledge 2011

      28 Lim S, "Personal and Workgroup Incivility : Impact on Work and Health Outcomes" 93 (93): 95-107, 2008

      29 Matthiesen SB, "Perpetrators and Targets of Bullying at Work : Role Stress and Individual Differences" 22 (22): 735-753, 2007

      30 Laschinger HKS, "New graduate nurses’ experiences of bullying and burnout in hospital settings : Bullying and burnout in new graduate nurses" 66 (66): 2732-2742, 2010

      31 Hanks ML, "New Nurses' Experiences in the Lateral Violence Zone: A Grounded Theory" ProQuest Dissertations Publishing 2017

      32 American Nurses Association, "New ANA position statement: Incivility, bullying, and workplace violence"

      33 Garcia, M. G., "Incorporating a Civility Program into a Healthcare System: Journey or Expedition?" 35 (35): 171-179, 2021

      34 Sharon A. McNamara, "Incivility in Nursing: Unsafe Nurse, Unsafe Patients" Wiley 95 (95): 535-540, 2012

      35 Anusiewicz, C. V., "How does workplace bullying influence nurses’abilities to provide patient care? A nurse perspective" 29 (29): 4148-4160, 2020

      36 Anusiewicz CV, "How does workplace bullying influence nurses’ abilities to provide patient care? A nurse perspective" 29 (29): 4148-4160, 2020

      37 Rossé, K. M., "Healing connections : recovery from workplace bullying" 2019

      38 Leiter MP, "Generational differences in distress, attitudes and incivility among nurses" 18 (18): 970-980, 2010

      39 Clark, C., "Fostering a Culture of Civility and Respect in Nursing" 10 (10): 44-52, 2019

      40 Stanley KM, "Erratum : Examining Lateral Violence in the Nursing Workforce(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2007)28 : 11)" 29 (29): 97-, 2008

      41 Taylor, R. A., "Enactors of horizontal violence: The pathological bully, the self-justified bully and the unprofessional co-worker" 73 (73): 3111-3118, 2017

      42 Fox S, "Employee health, coping and methodologies"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171-201, 2006

      43 Smith LM, "Effects of workplace incivility and empowerment on newly-graduated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18 (18): 1004-1015, 2010

      44 GlasØ L, "Do targets of workplace bullying portray a general victim personality profile?" 48 (48): 313-319, 2007

      45 Pabico, C., "Creating supportive environments and thriving in a volatile, uncertain, complex, and ambiguous world" 45 (45): 471-473, 2015

      46 Jenkins M, "Consequences of being accused of workplace bullying : an exploratory study" 4 (4): 33-47, 2011

      47 Longo J., "Cognitive rehearsal" 12 (12): 2018

      48 Zhu, W., "Childhood maltreatment and aggression: the mediating roles of hostile attribution bias and anger rumination" 162 : 110007-, 2021

      49 The Joanna Briggs Institute, "Checklist for analytical cross sectional studies, checklist for qualitative researchd" The Joanna Briggs Institute

      50 Stickle, T. R.,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ultiple Risk-Factor Models for Understanding Aggressive Behavior in Antisocial Youth" 33 (33): 515-529, 2009

      51 Vessey JA, "Bullying of Staff Registered Nurses in the Workplace :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Person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for the Transformation of Hostile to Healthy Workplace Environments" 25 (25): 299-306, 2009

      52 Pearson CM, "Assessing and Attacking Workplace Incivility" 29 (29): 23-, 2000

      53 Lutgen-Sandvik P, "Answering Five Key Questions About Workplace Bullying : How Communication Scholarship Provides Thought Leadership for Transforming Abuse at Work" 26 (26): 3-47, 2012

      54 Naeem M, "An eye for an eye : does subordinates’ negative workplace gossip lead to supervisor abuse?" 49 (49): 284-302, 2020

      55 Kizuki M,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bullying behaviours at work among workers in Japan" 77 (77): 9-14, 2020

      56 Boudrias V,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on the longitudinal consequences of workplace bullying and the mechanisms involved" 56 : 101508-, 2021

      57 Kim, JY, "A study on evaluation and development of therapeutic intervention of family violence : intervetion for family violence" 2 (2): 87-111,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