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배인철의 흑인시에 나타난 주제 의식 고찰 = A Study on Theme of African American Traits of Bae In-cheol"s po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783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인철은 한국 시문학사에서 오랫동안 함몰된 시인이다. 그의 전기적인 사항에 대한 정확한 정리는 물론 그의 작품 세계를 본격적으로 고찰한 논문이 없는 형편이다. 그 이유는 그가 불의의 사고로 28세에 세상을 뜬 데다가 작품 활동 기간이 짧아 현재까지 5편의 시작품만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가 일관되게 추구한 흑인시는 해방기의 시문학사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를 지닌다.
      배인철은 흑인시를 통해 미군정이 지배하던 해방기의 상황을 예리하게 간파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세계의 지배 세력으로 등장한 미국의 실체를 흑인 문제를 통해 통찰하고 극복을 추구한 것이다. 이와 같은 그의 세계 인식 혹은 시대 인식은 해방기의 시문학사에서 뚜렷한 특성을 갖는다.
      배인철은 단순히 소재 차원에서 흑인 문제를 선택하고 그려낸 것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를 추구했다. 흑인 노예들이나 식민지 시대를 겪은 조선 민중들 모두 약소민족의 처지라는 동질감을 가지고 연대적 투쟁을 추구한 것이다. 그와 같은 면은 “온世界에 戰線은 펄처있”(「人種線―黑人 쫀슨에게」)다, “온세계 弱小民族은 싸우고 있다”(「쪼ㆍ루이스에게」) 등으로 여실하게 나타나고 있다.
      번역하기

      배인철은 한국 시문학사에서 오랫동안 함몰된 시인이다. 그의 전기적인 사항에 대한 정확한 정리는 물론 그의 작품 세계를 본격적으로 고찰한 논문이 없는 형편이다. 그 이유는 그가 불의의...

      배인철은 한국 시문학사에서 오랫동안 함몰된 시인이다. 그의 전기적인 사항에 대한 정확한 정리는 물론 그의 작품 세계를 본격적으로 고찰한 논문이 없는 형편이다. 그 이유는 그가 불의의 사고로 28세에 세상을 뜬 데다가 작품 활동 기간이 짧아 현재까지 5편의 시작품만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가 일관되게 추구한 흑인시는 해방기의 시문학사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를 지닌다.
      배인철은 흑인시를 통해 미군정이 지배하던 해방기의 상황을 예리하게 간파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세계의 지배 세력으로 등장한 미국의 실체를 흑인 문제를 통해 통찰하고 극복을 추구한 것이다. 이와 같은 그의 세계 인식 혹은 시대 인식은 해방기의 시문학사에서 뚜렷한 특성을 갖는다.
      배인철은 단순히 소재 차원에서 흑인 문제를 선택하고 그려낸 것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를 추구했다. 흑인 노예들이나 식민지 시대를 겪은 조선 민중들 모두 약소민족의 처지라는 동질감을 가지고 연대적 투쟁을 추구한 것이다. 그와 같은 면은 “온世界에 戰線은 펄처있”(「人種線―黑人 쫀슨에게」)다, “온세계 弱小民族은 싸우고 있다”(「쪼ㆍ루이스에게」) 등으로 여실하게 나타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wareness of African American traits in Bae In-cheol’s Poems. Bae In-cheol wrote five pieces of African American poetry in liberation period. That period was just about three years, but it was an extraordinary and important period in modern history of Korea. In this period, Bae In-cheol tried to write new poetries with African American traits of poetry within Korean literature. He regarded African American poetry as a symbol of national situation.
      Bae In-cheol’s poems pursuit to accuse white men of criminal segregation and anti-American. His poems also pursuit to contribute for construction of nation state and absolute national liberation, which consists of people’s freedom, equality, subjectivity, and independence. Dealing with segregation and national identity, Bae In-cheol’s African American trait of poems aimed not only for sorrow, anger, sense of suffering, but also for the sense of solidarity among African American people and Koreans by pursuing various historical fact, images, and poetic languages like those of realist poets.
      Looking through his life and five pieces of African American poetry, we are able to infer that there are lots of passions for ideology. In liberation period, we can see that there were both leftism and rightism among the poets. The leftist poets devoted themselves to social problems, especially national liberation. Bae In-cheol emphasized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poets, particularly understanding well what was the situation of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is.
      From these points of view, we can analogize the meaning of Bae In-cheol’s poetry. He plays an important role to bridge the various opinions of realist poets within national liberation period through his own African American poetry. Eventually we understand how Bae In-cheol’s poetry showed bad images of America and the sharp awareness of the age unlikely other poets of those day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wareness of African American traits in Bae In-cheol’s Poems. Bae In-cheol wrote five pieces of African American poetry in liberation period. That period was just about three years, but it was an extraord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wareness of African American traits in Bae In-cheol’s Poems. Bae In-cheol wrote five pieces of African American poetry in liberation period. That period was just about three years, but it was an extraordinary and important period in modern history of Korea. In this period, Bae In-cheol tried to write new poetries with African American traits of poetry within Korean literature. He regarded African American poetry as a symbol of national situation.
      Bae In-cheol’s poems pursuit to accuse white men of criminal segregation and anti-American. His poems also pursuit to contribute for construction of nation state and absolute national liberation, which consists of people’s freedom, equality, subjectivity, and independence. Dealing with segregation and national identity, Bae In-cheol’s African American trait of poems aimed not only for sorrow, anger, sense of suffering, but also for the sense of solidarity among African American people and Koreans by pursuing various historical fact, images, and poetic languages like those of realist poets.
      Looking through his life and five pieces of African American poetry, we are able to infer that there are lots of passions for ideology. In liberation period, we can see that there were both leftism and rightism among the poets. The leftist poets devoted themselves to social problems, especially national liberation. Bae In-cheol emphasized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poets, particularly understanding well what was the situation of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is.
      From these points of view, we can analogize the meaning of Bae In-cheol’s poetry. He plays an important role to bridge the various opinions of realist poets within national liberation period through his own African American poetry. Eventually we understand how Bae In-cheol’s poetry showed bad images of America and the sharp awareness of the age unlikely other poets of those day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배인철의 흑인시에 나타난 주제 의식
      • Ⅲ.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배인철의 흑인시에 나타난 주제 의식
      • Ⅲ.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욱, "흑인시집 강한 사람들" 민교사 1949

      2 박현채, "해방전후사의 인식 2" 1985

      3 김윤식, "해방전후사의 인식 2" 1985

      4 최명표, "해방기 배인철의 흑인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1) : 467-489, 2009

      5 김정한,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6 르네 지라르, "폭력과 성스러움" 민음사 1995

      7 정진오, "책 읽는 인천, 문학 속 인천을 찾다·20-배인철의 흑인시"

      8 배인철, "쪼·루이스에게" 1947

      9 안막, "자랑" (1) : 1948

      10 경인일보 특별취재팀, "인천인물 100인" 다인아트 2009

      1 김종욱, "흑인시집 강한 사람들" 민교사 1949

      2 박현채, "해방전후사의 인식 2" 1985

      3 김윤식, "해방전후사의 인식 2" 1985

      4 최명표, "해방기 배인철의 흑인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1) : 467-489, 2009

      5 김정한,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6 르네 지라르, "폭력과 성스러움" 민음사 1995

      7 정진오, "책 읽는 인천, 문학 속 인천을 찾다·20-배인철의 흑인시"

      8 배인철, "쪼·루이스에게" 1947

      9 안막, "자랑" (1) : 1948

      10 경인일보 특별취재팀, "인천인물 100인" 다인아트 2009

      11 김상오, "우리는 모멸로써 그것을 돌려보낸다" (1) : 1948

      12 오장환, "병든 서울" 정음사 1946

      13 윤영천, "배인철의 흑인시와 인천" (여름) : 2007

      14 윤영천, "배인철의 흑인시 대하여" (봄) : 1989

      15 최재원, "미국의 흑백문제에 관한 연구" 1975

      16 이봉구, "명동백작" 일빛 2004

      17 김현경, "김수영 시인과 사람들" (여름) : 2014

      18 맹문재, "김병욱의 시에 나타난 세계 인식 고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387-412, 2013

      19 조선문학가동맹, "건설기의 조선 문학-제1회 전국 문학자대회 자료집 및 인명록" 온누리 1988

      20 조병화, "黑人部隊와 裵仁哲" 1963

      21 배인철, "黑人部隊" 1963

      22 배인철, "黑人女" 1947

      23 윤태웅, "故裵仁哲君에대해서" 4 (4): 1949

      24 "嫉妬의 銃彈 白晝에 男女를 殺傷"

      25 배인철, "奴隸海岸-SLAVE COAST"

      26 배인철, "1946년판 조선시집" 아문각 194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시학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Poetics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1 1.36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