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토아미노펜의 전약인 프로파세타몰의 진통 효과 및 안정성을 하복부 절개술을 받은 부인과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모르핀 통증 자가 조절(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에 대한 영향을 조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723171
1997
Korean
514.24
학술저널
105-112(8쪽)
※ KISS의 원문 서비스 중단에 따라, 학술지명을 클릭하여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아세토아미노펜의 전약인 프로파세타몰의 진통 효과 및 안정성을 하복부 절개술을 받은 부인과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모르핀 통증 자가 조절(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에 대한 영향을 조사...
아세토아미노펜의 전약인 프로파세타몰의 진통 효과 및 안정성을 하복부 절개술을 받은 부인과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모르핀 통증 자가 조절(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이중 맹검과 무작위로 모르핀 PCA를 시행하는 부인과 수술 환자 각 20명을 추출하여, 프로파세타몰 2 g(1 g의 아세토아미노펜)과 위약을 회복실에서부터 매 6기간마다 각각 투여하였다. 다음 24시간 동안 PCA 기계에 자동으로 기록된 모르핀의 사용량과 요구량을 기록하였다. 통증 점수는 시각 통증 등급(0= 통증이 전혀 없음, 10= 극심한 통증)을 이용하여, 술후 30분, 1시간, 2시간, 그 후 매4시간마다 24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연구 기간 중 약효와 부작용 등은 심 혈관계의 변화, 환자의 만족도, 부작용의 종류와 빈도, 진정 점수 등을 위와 같은 시간에 기록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24시간 동안의 모르핀 소모량은 프로파세타몰 군에서 의의 있게 감소하였다. 시간당 모르핀 투여량에 대한 분석에서 술후 4시간 후부터 그 사용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군간의 통증 점수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위약 군에서 80%, 프로파세타몰 군에서 85%의 환자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오심의 빈도는 프로파세타몰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게 낮았다. 다른 부작용의 빈도는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프로파세타몰은 부인과적 수술 후 통증 관리를 위해 모르핀 PCA와 같이 투여하여 약 37%의 모르핀 사용 절감 효과가 있었으며, 따라서 술 후에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하고 안전한 정주용 비스테로이드성, 비마약성 소염 진통제라고 할 수 있겠다.
펜타닐-다이아제팜-판큐로니움으로 마취유도 후 기관내 삽관에 따른 혈압, 심박수 및 심전도의 변화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TIVA)
Awareness during General Anesthe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