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계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의 화소 고찰 = A Study of 'Bonds-Escape-Revenge' Motif in World Folklo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609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bonds-escape-revenge’ motif in world Folklore, focusing on the Oezzok’s Tricks in Joseon Donghwa Daegip.
      In Oezzok’s Tricks, A protagonist is in a bag and it’s hanging from a tree,[bonds] A protagonist let the passerby go into the bag instead of him and escape,[escape] and trick his master into drowning.[revenge] This ‘bonds-escape-revenge’ motif appeared not only in stories from Korea but also from Mongolia, Russia, and Germany. Thus, this study looks into the stories of other countries that contain the ‘bonds-escape-revenge’ motif in our narrative, and the expression patterns and meanings of these motif are considered and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Bonds motif meant death and rebirth[Korea·Mongolia], death[Russia·Germany], escape motif implied replacement of life force[Korea·Mongolia·Russia·Germany], and revenge motif signified a victory of status fight[Korea], a victory of wealth fight[Mongolia·Russia·Germany].
      By comparing the meanings of the ‘bonds-escape-revenge’ motif in each of these countries’ st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variability of mythical motif, fixability of center motif, people directivity of concluding motif, and the possibility of spreading Asian tales to Europ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bonds-escape-revenge’ motif in world Folklore, focusing on the Oezzok’s Tricks in Joseon Donghwa Daegip. In Oezzok’s Tricks, A protagonist is in a bag and it’s hanging from a tree,[bonds] A protagonist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bonds-escape-revenge’ motif in world Folklore, focusing on the Oezzok’s Tricks in Joseon Donghwa Daegip.
      In Oezzok’s Tricks, A protagonist is in a bag and it’s hanging from a tree,[bonds] A protagonist let the passerby go into the bag instead of him and escape,[escape] and trick his master into drowning.[revenge] This ‘bonds-escape-revenge’ motif appeared not only in stories from Korea but also from Mongolia, Russia, and Germany. Thus, this study looks into the stories of other countries that contain the ‘bonds-escape-revenge’ motif in our narrative, and the expression patterns and meanings of these motif are considered and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Bonds motif meant death and rebirth[Korea·Mongolia], death[Russia·Germany], escape motif implied replacement of life force[Korea·Mongolia·Russia·Germany], and revenge motif signified a victory of status fight[Korea], a victory of wealth fight[Mongolia·Russia·Germany].
      By comparing the meanings of the ‘bonds-escape-revenge’ motif in each of these countries’ st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variability of mythical motif, fixability of center motif, people directivity of concluding motif, and the possibility of spreading Asian tales to Euro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조선동화대집』의 <외쪽의 꾀>를 중심으로 세계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 화소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외쪽의 꾀>에서 주인공은 자루에 넣어져 나무에 매달리고,[속박] 주인공은 지나가던 사람을 대신 자루에 들어가게 하여 탈출하고,[탈출] 그리고는 적대자를 속여 물에 들어가게 하여 죽게 만든다.[복수] 이러한 ‘속박-탈출-복수’ 화소는 한국뿐 아니라 몽골, 러시아, 독일 등의 이야기에도 나타났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 화소가 들어있는 다른 나라의 이야기를 살펴보고, 이 화소의 발현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고 비교했다.
      이를 위해 우선 ‘속박-탈출-복수’ 화소가 들어있는 한국, 몽골, 러시아, 독일 등 4편의 설화를 살펴, ‘속박-탈출-복수’의 화소가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고찰했다. 그다음, 각 나라의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의 화소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조사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다양하게 나타난 ‘속박-탈출-복수’ 화소의 비교를 통해, 각 나라별로 해당 화소가 어떤 특징이 있는가를 밝혔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속박 화소는 죽음과 재생[한국·몽골], 죽음[러시아·독일]을 나타냈고, 탈출 화소는 생명력의 대체[한국·몽골·러시아·독일]를 뜻했고, 복수 화소는 신분 대립의 승리[한국], 재산 대립의 승리를 의미했다[몽골·러시아·독일].
      이러한 각 나라의 이야기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 화소의 의미를 비교하여, 신화적 화소의 변용성, 중심 화소의 고정성, 결말 화소의 향유층 지향성, 아시아 설화의 유럽 전파 가능성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고의 목적은 『조선동화대집』의 <외쪽의 꾀>를 중심으로 세계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 화소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외쪽의 꾀>에서 주인공은 자루에 넣어져 나무에 매...

      본고의 목적은 『조선동화대집』의 <외쪽의 꾀>를 중심으로 세계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 화소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외쪽의 꾀>에서 주인공은 자루에 넣어져 나무에 매달리고,[속박] 주인공은 지나가던 사람을 대신 자루에 들어가게 하여 탈출하고,[탈출] 그리고는 적대자를 속여 물에 들어가게 하여 죽게 만든다.[복수] 이러한 ‘속박-탈출-복수’ 화소는 한국뿐 아니라 몽골, 러시아, 독일 등의 이야기에도 나타났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 화소가 들어있는 다른 나라의 이야기를 살펴보고, 이 화소의 발현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고 비교했다.
      이를 위해 우선 ‘속박-탈출-복수’ 화소가 들어있는 한국, 몽골, 러시아, 독일 등 4편의 설화를 살펴, ‘속박-탈출-복수’의 화소가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고찰했다. 그다음, 각 나라의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의 화소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조사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다양하게 나타난 ‘속박-탈출-복수’ 화소의 비교를 통해, 각 나라별로 해당 화소가 어떤 특징이 있는가를 밝혔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속박 화소는 죽음과 재생[한국·몽골], 죽음[러시아·독일]을 나타냈고, 탈출 화소는 생명력의 대체[한국·몽골·러시아·독일]를 뜻했고, 복수 화소는 신분 대립의 승리[한국], 재산 대립의 승리를 의미했다[몽골·러시아·독일].
      이러한 각 나라의 이야기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 화소의 의미를 비교하여, 신화적 화소의 변용성, 중심 화소의 고정성, 결말 화소의 향유층 지향성, 아시아 설화의 유럽 전파 가능성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화경, "한국설화의 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7

      2 나수호, "한국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 연구 : 방학중·정만서·김선달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3 최인학, "한국설화론" 형설출판사 1991

      4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2" 두산동아 2006

      5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동아출판사 1992

      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2006

      7 김태곤, "한국무가집, Ⅲ" 원광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978

      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 민속의 세계, 4"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9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10 신원기, "조선동화대집의 <외쪽의 꾀>에 나타난 몽골 설화의 화소(話素) 고찰" 한국문학회 (85) : 135-179, 2020

      1 김화경, "한국설화의 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1987

      2 나수호, "한국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 연구 : 방학중·정만서·김선달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3 최인학, "한국설화론" 형설출판사 1991

      4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2" 두산동아 2006

      5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동아출판사 1992

      6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2006

      7 김태곤, "한국무가집, Ⅲ" 원광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978

      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 민속의 세계, 4"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9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월인 2000

      10 신원기, "조선동화대집의 <외쪽의 꾀>에 나타난 몽골 설화의 화소(話素) 고찰" 한국문학회 (85) : 135-179, 2020

      11 신원기, "조선동화대집에 나타난 "외쪽의 꾀"의 대비적 고찰- "자글대 이야기"와 "어복손전"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회 (79) : 137-196, 2018

      12 신원기, "조선동화대집과 설화교육" 보고사 2017

      13 현용준, "제주도 무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14 이윤기, "이윤기의 그리스로마 신화, 3" 웅진 지식하우스 2007

      15 Grousset, René.,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사계절 2002

      16 Sophocles, "오이디푸스왕" 범우사 1993

      17 이부영, "아니마와 아니무스" 한길사 2001

      18 정수일, "실크로드 사전" 창비 2013

      19 왕 빈, "신화학입문" 금란출판사 1980

      20 신동흔, "스토리텔링 원론" 아카넷 2019

      21 조철수, "수메르 신화" 서해문집 2003

      22 Cooper, J. C., "세계문화상징사전" 까치 1994

      23 한국사연구회,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上" 지식산업사 2017

      24 일연, "삼국유사" 한길사 2014

      25 신동흔, "살아 있는 우리 신화" 한겨레신문사 2005

      26 안인희, "북유럽 신화, 1" 웅진 지식하우스 2019

      27 김열규, "민담학개론" 일조각 1989

      28 Pöge-Alder, Kathrin, "민담, 그 이론과 해석" 유로서적 2009

      29 이승훈, "문학상징사전" 고려원 1996

      30 박환영, "몽골의 유목문화와 민속 읽기" 민속원 2005

      31 Tserensodnom, D., "몽골의 설화" 문학과지성사 2007

      32 장장식, "몽골민속기행" 자우출판사 2002

      33 Tserensodnom, D., "몽골 민간 신화" 대원사 2001

      34 신현덕, "몽골" 휘슬러 2005

      35 D.마이달, "몽고문화사" 동문선 1991

      36 Dumas, Alexandre., "몬테크리스토 백작,1" 민음사 2002

      37 Afanas’ev, A. N., "러시아 민화집" 현대지성사 2000

      38 이덕형, "러시아 문화예술의 천년" 생각의 나무 2009

      39 동아출판사 백과사전부, "동아 원색세계대백과사전, 21" 동아출판사 1983

      40 김 면, "독일민속학" 민속원 2012

      41 그림 형제, "그림형제 동화전집" 현대지성 2015

      42 그림 형제, "그림 형제 민담집" 현암사 2012

      43 그림 형제, "그림 동화집, 2" 펭귄클래식 코리아 2017

      44 그림 형제, "그림 동화집, 1" 펭귄클래식 코리아 2017

      45 조희웅, "說話學綱要" 새문사 1989

      46 차인석, "現象學이란 무엇인가" 심설당 37-58, 1990

      47 장덕순, "口碑文學槪說" 일조각 1971

      48 신연우, "‘상전 속인 하인’ 설화의 사회성과 신화성" 한국민속학회 37 : 109-128, 2003

      49 신원기, "‘꾀쟁이 하인’ 설화의 동화화 양상과 문학교육적 함의 - 『조선동화대집』에 실린 <외쪽의 꾀>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교육학회 (69) : 227-291, 2020

      50 Stith Thompson, "The Folktale" Dryden Press 1946

      51 Stith Thompson, "THE TYPES OF THE FOLKTALE" Indiana University 1973

      52 Stith Thompson, "Motif-Index of Folk-Literature Ⅳ" Indiana University Press 1960

      53 Jacob Grimm, "Deutsche Märchen gesammelt durch die Brüder Grimm"

      54 J. E. Cirlot, "A dictionary of symbols" Routledge & Kegan Paul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