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주당운동시간과 관련된 변화단계, 운동 자기-도식 그리고 운동지속의사 = College Students` Stage of Change, Exercise Self-Schemata,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Related to Weekly Exercise Ti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67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 학년,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지속의사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을 확인하고, 남·녀 대학생의 주당운동시간에 운동변화단계, 운동 자기-도식 그리�...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 학년,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지속의사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을 확인하고, 남·녀 대학생의 주당운동시간에 운동변화단계, 운동 자기-도식 그리고 운동지속의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4명(남자 197명, 여자 207명)에게 설문지를 실시하고, SPSS 18.0와 AMOS 18.0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변량분석, 신뢰도분석, 타당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과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 지속의사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적 회귀분석결과, 남성의 경우 주당운동시간을 예측하는 설명량은 43.6%이며, 여성의 경우는 37.8%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요인은 다소 차이가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데 운동 자기-도식의 형성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차를 고려한 중재 전략이나 프로그램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exercise self-schemata,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nd weekly exercise time by exercise stage of change, grade and sex, and to explore influence exercise stage of change, exercise self-...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exercise self-schemata,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nd weekly exercise time by exercise stage of change, grade and sex, and to explore influence exercise stage of change, exercise self-schemata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on weekly exercise time. For this research, it was accomplished 404 questionnaires (male 197, female 207) and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indicated that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self-schemata,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nd weekly exercise time on exercise stage of change(p<.05). In addition,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on weekly exercise time for male(R2 = .436) and female((R2 = .378).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exercise self-schemata for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and suggests that future study should be focused on intervention strategies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 or progra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장호, "청소년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성별, 학년, 성적과 자아실현 및 학교생활만족과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9) : 399-407, 2010

      2 김영호, "청소년 운동행동의 변화단계,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 단계적 변화론 모형의 적용"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3 (13): 1-19, 2002

      3 김원현, "주당 운동참여 빈도와 일회 운동시 소요시간이 비만,혈중지질 및 신장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21) : 471-480, 2004

      4 박정원, "일 대학 대학생의비만도와 체중조절 방법에 관한 연구" 13 : 5-13, 2004

      5 김병준, "운동심리학 : 이해와 활용" 무지개사 2006

      6 박인경, "운동 자기-도식의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3 (23): 41-55, 2012

      7 박인경, "운동 자기-도식의 본질에 관한 경험적 탐색" 한국체육학회 50 (50): 235-247, 2011

      8 엄한주, "심리검사지 개발 및 분석에 관한 고찰.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스포츠심리학 연구법" 보경문화사 1996

      9 탁진국, "심리검사 :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7

      10 정영미, "비만도에 따른 여대생의 건강습관, 체성분 및 신체상 비교"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87-102, 2005

      1 최장호, "청소년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성별, 학년, 성적과 자아실현 및 학교생활만족과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9) : 399-407, 2010

      2 김영호, "청소년 운동행동의 변화단계,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 단계적 변화론 모형의 적용"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3 (13): 1-19, 2002

      3 김원현, "주당 운동참여 빈도와 일회 운동시 소요시간이 비만,혈중지질 및 신장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21) : 471-480, 2004

      4 박정원, "일 대학 대학생의비만도와 체중조절 방법에 관한 연구" 13 : 5-13, 2004

      5 김병준, "운동심리학 : 이해와 활용" 무지개사 2006

      6 박인경, "운동 자기-도식의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3 (23): 41-55, 2012

      7 박인경, "운동 자기-도식의 본질에 관한 경험적 탐색" 한국체육학회 50 (50): 235-247, 2011

      8 엄한주, "심리검사지 개발 및 분석에 관한 고찰.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스포츠심리학 연구법" 보경문화사 1996

      9 탁진국, "심리검사 :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2007

      10 정영미, "비만도에 따른 여대생의 건강습관, 체성분 및 신체상 비교"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87-102, 2005

      11 장진우, "리듬운동 참가자의 운동환경만족이 외모관리행동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1 (31): 5-5, 2007

      12 이은영, "대학생의 운동행동변화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변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13 김세형, "대학생의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자아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Rasch모형 적용"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4 (14): 69-82, 2012

      14 서희진, "대학생의 운동욕구와 교양체육만족 및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16 (16): 7-110, 2003

      15 류은정, "대학생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이행"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18 (18): 49-60, 2001

      16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6. 0" 법문사 2007

      17 김영희,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학회 16 : 285-303, 2002

      18 Swann, W. B., "When our kdentities are mistaken : Reaffirming self-conceptions through social interaction" 43 : 59-66, 1982

      19 Dzewaltowski, D. A., "Toward a model of exercise motivation" 11 : 251-269, 1989

      20 Markus, H., "The self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In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the self"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41-70, 1982

      21 Banting, L. K., "The role of implicit and explicit components of exerciser self-schema in the prediction of exercise behaviour" 10 : 80-86, 2009

      22 Fox, K. R., "The physical self-perception profile :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11 : 408-430, 1989

      23 Kendzierski, D., "Test, Revision, and Cross-Valida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Self-Definition Model" 31 : 484-504, 2009

      24 Markus, H., "Self-schemata and processing information about the self" 35 : 63-78, 1977

      25 Kendzierski, D., "Self-schemata and exercise" 9 : 45-59, 1988

      26 Marcus, B. H., "Self-efficacy and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change" 63 : 60-66, 1992

      27 Rudolph, D. L., "Self-efficacy and salivary cortical responses to acute exercise in physically active and less active adults" 17 : 206-213, 1995

      28 Kendzierski, D., "Schema theory: An information preocessing focus, In Advance in exercise adherence" Human Kinetics 133-155, 1994

      29 Estabrooks, P., "Relationships among self-schemas, intention, and exercise behavior" 19 : 156-168, 1997

      30 Nasby, W., "Private self-consciousness, articulation of the self-schema, and recognition memory of trait adjectives" 49 : 704-709, 1985

      31 Kendzierski, D., "Physical activity self-definitions : Correlates and perceived criteria" 20 : 176-193, 1988

      32 Dzewaltowski, D. A.,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 Social cognitive theory versus the theories of reasoned action and planned behavior" 12 : 388-405, 1990

      33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mericans"

      34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and Ageing, "National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dults"

      35 Cumming, J., "Investig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imagery, leisure-time exercise behavior, and self-efficacy" 20 : 184-198, 2008

      36 Rhodes, R. E., "Investigation multiple components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control: An examin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exercise domain" 42 : 129-146, 2003

      37 Williams, D. M., "Exercise, Affect, and Adherence : An Integrated Model and a Case for Self-Paced Exercise" 30 : 471-496, 2008

      38 Kendzierski, D., "Exercise self-schemata : cognitive and behavioral correlate" 9 : 69-82, 1990

      39 Ekkekakis, P., "Exercise does not feel the same when you are overweight : The impact of self-selected and imposed intensity on affect and exertion" 30 : 652-660, 2006

      40 Sallis, J. F.,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and interventions in youth" 24 : s248-s257, 1992

      41 Cardinal, B. J., "Construct Validity of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12 : 68-74, 1997

      42 Capernter, S. R., "Complex interactions in lake communities" Springer-Verlaag 1988

      43 Boyd, M. P., "Cognitive-affective and behavioral correlates of self-schemata in sport" 22 : 288-302, 1999

      44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Canada' physical activity guide to health active living"

      45 Corte, C., "Body-Weight Self-Schema : Determinant of Mood and Behavior in Women With an Eating Disorder" 35 : 1698-1718, 2005

      46 Yin, Z., "Behavioral and cognitive correlates of exercise self-schemata" 134 : 269-282, 2000

      47 Leslie, E., "Age-related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levels of young adults" 33 : 255-258, 2001

      48 Rhodes, R. E., "A multicomponent model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11 : 119-137, 2006

      49 Ross-Stewart, L., "A Narrative Review of the Relationships among Imagery, Exercise, and Self-Efficacy" 5 : 1-29, 2010

      50 문화실, "20대 여성의 운동행동변화단계별 탈운동동기의 차이" 한국여성체육학회 26 (26): 191-201, 2012

      51 보건복지부, "2011 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2 1.58 1.732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