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SCIE

      성인 원발성 초점성 사구체 경화증의 예후인자 = Prognostic Factor for Adult Primary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52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 Primary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 is a cause of nephrotic syndrome in adult. Although primary FSGS has been known to be refractory to treatment, recent studies reveal higher remission rate and better prognosis.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som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paramenters are significant to prognosis. But, confirmative prognostic indices remain to be defined. In order to further clarify the prognostic factors for therapeutic response and risk factors for progression to chronic renal failure (CRF),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rimary adult FSGS patients. Methods : Forty-adult patients diagnosed as primary FSGS between 1991 to 2002 were enrolled.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parameters of all patinents at the time of renal biopsy. In addition, the therapeutic responses to immunosuppressants and the renal survival were analyzed. Results : At the time of renal biopsy, 26 patients (65%) had proteinuria of the nephrotic range and 14 patients (35%) had proteinuria of the non-nephrotic range. The serum creatinine level was higher in nephrotic-ranged patients than that in non nephroticranged patients (p<0.05). The other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wenty-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immunosuppressants and 15 patients (55.6%) responded to the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or histopathological variables between the responders and the non-responders. High serum creatinine level at diagnosis and responsiveness to treatment appeared to be significant as risk factors for progression to CRF (p<0.05). The paticnts treated with immunosuppressants had longer survival period, compared with those without treatment. And the responders had significantly longer survival period compared with the non-responders (p<0.05). Conclusion : The patients with initial impairment of renal function or poor response to therapy may have worse prognosis, and the intense treatment with regular follow-up of renal function should be recommended for these patients. (Korean J Nephrol 2004;23(1)36-45)
      번역하기

      Background : Primary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 is a cause of nephrotic syndrome in adult. Although primary FSGS has been known to be refractory to treatment, recent studies reveal higher remission rate and better prognosis. And it has ...

      Background : Primary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FSGS) is a cause of nephrotic syndrome in adult. Although primary FSGS has been known to be refractory to treatment, recent studies reveal higher remission rate and better prognosis.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som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paramenters are significant to prognosis. But, confirmative prognostic indices remain to be defined. In order to further clarify the prognostic factors for therapeutic response and risk factors for progression to chronic renal failure (CRF),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rimary adult FSGS patients. Methods : Forty-adult patients diagnosed as primary FSGS between 1991 to 2002 were enrolled.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parameters of all patinents at the time of renal biopsy. In addition, the therapeutic responses to immunosuppressants and the renal survival were analyzed. Results : At the time of renal biopsy, 26 patients (65%) had proteinuria of the nephrotic range and 14 patients (35%) had proteinuria of the non-nephrotic range. The serum creatinine level was higher in nephrotic-ranged patients than that in non nephroticranged patients (p<0.05). The other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Twenty-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immunosuppressants and 15 patients (55.6%) responded to the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or histopathological variables between the responders and the non-responders. High serum creatinine level at diagnosis and responsiveness to treatment appeared to be significant as risk factors for progression to CRF (p<0.05). The paticnts treated with immunosuppressants had longer survival period, compared with those without treatment. And the responders had significantly longer survival period compared with the non-responders (p<0.05). Conclusion : The patients with initial impairment of renal function or poor response to therapy may have worse prognosis, and the intense treatment with regular follow-up of renal function should be recommended for these patients. (Korean J Nephrol 2004;23(1)36-45)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 경 : 성인 원발성 초점성 분절형 사구체 경화증은 성인 신증후군의 한 원인으로 과거에는 치료에 대한 반응이 적은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에는 치료의 관해율과 예후가 향상되고 일부 임상 및 병리 지표들은 예후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일관되게 보고된 예후 인자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치료 반응에 대한 예측인자와 신부전의 진행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부터 2002년까지 연세의료원에서 일차성 초점성 분절형 사구체 경화증으로 진단받은 성인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진단시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지표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신생검시 환자 26명 (65%)에서 신증후역의 단백뇨가 있었으며, 14명 (35%)에서 비신증후역의 단백뇨가 있었다. 신증후역의 단백뇨 환자군이 비신증후역의 단백뇨 환자군보다 혈청 크레아티닌치가 높았으며 (p<0.05), 혈청 알부민과 총 콜레스테롤치를 제외하고 두 군간에 기타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지표의 차이는 없었다. 27명에게 면역억제 치료를 하였으며 15명 (55.6%)에서 반응이 있었고, 치료 반응군과 무반응군 간에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지표의 차이는 없었다. 추적관찰 기간동안 정상 신기능을 유지한 군과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한 군을 비교하였을 때 진단시 혈청 크레아티닌치의 증가와 치료에 대한 반응 유무가 의미있는 예후인자로 분석되었다 (p<0.05). 신 생존분석시 치료군이 치료하지 않은 군보다 생존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고 (p>0.05), 치료 반응군은 무반응군보다 의미있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P<0.05). 결 론 : 진단시 혈청 크레아티닌치의 증가 소견이 있거나 치료에 반응이 없는 환자들은 불량한 예후를 보일 수 있으므로 보다 집중적인 치료와 주기적인 신기능의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배 경 : 성인 원발성 초점성 분절형 사구체 경화증은 성인 신증후군의 한 원인으로 과거에는 치료에 대한 반응이 적은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에는 치료의 관해율과 예후가 향상되고 일부...

      배 경 : 성인 원발성 초점성 분절형 사구체 경화증은 성인 신증후군의 한 원인으로 과거에는 치료에 대한 반응이 적은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에는 치료의 관해율과 예후가 향상되고 일부 임상 및 병리 지표들은 예후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일관되게 보고된 예후 인자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치료 반응에 대한 예측인자와 신부전의 진행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부터 2002년까지 연세의료원에서 일차성 초점성 분절형 사구체 경화증으로 진단받은 성인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진단시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지표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신생검시 환자 26명 (65%)에서 신증후역의 단백뇨가 있었으며, 14명 (35%)에서 비신증후역의 단백뇨가 있었다. 신증후역의 단백뇨 환자군이 비신증후역의 단백뇨 환자군보다 혈청 크레아티닌치가 높았으며 (p<0.05), 혈청 알부민과 총 콜레스테롤치를 제외하고 두 군간에 기타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지표의 차이는 없었다. 27명에게 면역억제 치료를 하였으며 15명 (55.6%)에서 반응이 있었고, 치료 반응군과 무반응군 간에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 지표의 차이는 없었다. 추적관찰 기간동안 정상 신기능을 유지한 군과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한 군을 비교하였을 때 진단시 혈청 크레아티닌치의 증가와 치료에 대한 반응 유무가 의미있는 예후인자로 분석되었다 (p<0.05). 신 생존분석시 치료군이 치료하지 않은 군보다 생존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고 (p>0.05), 치료 반응군은 무반응군보다 의미있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P<0.05). 결 론 : 진단시 혈청 크레아티닌치의 증가 소견이 있거나 치료에 반응이 없는 환자들은 불량한 예후를 보일 수 있으므로 보다 집중적인 치료와 주기적인 신기능의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 0.42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