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SCIE

      메포르민사용에 의한 유산산증(Lactic Acidosis) 1예 = A Case of Metformin-associated Lactic Acido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52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76-year-old female admitted with nausea, anorexia, vague abdominal pain, and malaise. Her past medical history included an 15-year history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She had been taking metformin, glipizid, and amlodipine for past 2 years. One week previously, she underwent gastroscopy to evaluate epigastic pain, and she was diagnosed Helicobacter pylori positive duodenal ulcer, for which she was treated with amoxicillin, clarithromycin, and omeprazole. At admission, laboratory test revealed lactic acidosis (pH 7.23, bicarbonate 8.3 mEq/L, and lactate 5.51 mmol/L) and acute renal failure with a serum creatinine of 7.4 mg/dL. We diagnosed meformin-associated lactic acidosis and the patient made a complete recovery following therapy with bicarbonate-based hemodialysis and supportive care. It is the first report of metformin-associated lactic acidosis in Korea.
      번역하기

      A 76-year-old female admitted with nausea, anorexia, vague abdominal pain, and malaise. Her past medical history included an 15-year history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She had been taking metformin, glipizid, and amlodipine for past...

      A 76-year-old female admitted with nausea, anorexia, vague abdominal pain, and malaise. Her past medical history included an 15-year history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She had been taking metformin, glipizid, and amlodipine for past 2 years. One week previously, she underwent gastroscopy to evaluate epigastic pain, and she was diagnosed Helicobacter pylori positive duodenal ulcer, for which she was treated with amoxicillin, clarithromycin, and omeprazole. At admission, laboratory test revealed lactic acidosis (pH 7.23, bicarbonate 8.3 mEq/L, and lactate 5.51 mmol/L) and acute renal failure with a serum creatinine of 7.4 mg/dL. We diagnosed meformin-associated lactic acidosis and the patient made a complete recovery following therapy with bicarbonate-based hemodialysis and supportive care. It is the first report of metformin-associated lactic acidosis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메포르민은 바이구아나이드 계통의 경구 혈당강하제로써 제2형 당뇨병의 치료제로 널리 쓰이고 있다. Sulfonyurea 계와는 달리 인슐린 분비 촉진이나,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 없이 혈당을 낮추며, 저혈당의 부작용 또한 드물다. 이런 메포르민의 드문 부작용 중의 하나로 유산산증이 있다. 메포르민은 근육과 장내에서 당산화를 방해하여 유산의 생성을 유도한다. 혈중유산은 대부분 간으로 흡수되어 당신생에 이용되거나, 일부는 신장을 통해 제거된다. 흡수된 메포르민의 대부분이 신장을 통하여 배설되므로 신기능이 저하되어 혈중 메포르민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거나, 조직 저산소증을 유발하는 질환들이 병발해 혐기성 당대사가 증가하게 되어 유산의 생성이 증가하게 되거나, 증가한 유산이 간 흡수를 통해 당신생에 적절히 이용되지 못하게 되는 간질환이 동반되면 혈중유산의 생성과 처리에 불균형이 생겨 유산산증이 발생하게 된다. 메포르민사용과 관련하여 유산산증이 발생하면 그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것이 없다. 본 증례에서는 메포르민 복용으로 당조절이 잘되던 제2형 당뇨병환자가 신전성 급성 신부전증이 병발한 상태에서 메포르민을 계속 복용하던 중 대사성산증으로 내원하여 측정한 혈중 유산농도가 현저히 높았던 유산산증을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메포르민은 바이구아나이드 계통의 경구 혈당강하제로써 제2형 당뇨병의 치료제로 널리 쓰이고 있다. Sulfonyurea 계와는 달리 인슐린 분비 촉진이나,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 없이 혈당을 낮추...

      메포르민은 바이구아나이드 계통의 경구 혈당강하제로써 제2형 당뇨병의 치료제로 널리 쓰이고 있다. Sulfonyurea 계와는 달리 인슐린 분비 촉진이나,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 없이 혈당을 낮추며, 저혈당의 부작용 또한 드물다. 이런 메포르민의 드문 부작용 중의 하나로 유산산증이 있다. 메포르민은 근육과 장내에서 당산화를 방해하여 유산의 생성을 유도한다. 혈중유산은 대부분 간으로 흡수되어 당신생에 이용되거나, 일부는 신장을 통해 제거된다. 흡수된 메포르민의 대부분이 신장을 통하여 배설되므로 신기능이 저하되어 혈중 메포르민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거나, 조직 저산소증을 유발하는 질환들이 병발해 혐기성 당대사가 증가하게 되어 유산의 생성이 증가하게 되거나, 증가한 유산이 간 흡수를 통해 당신생에 적절히 이용되지 못하게 되는 간질환이 동반되면 혈중유산의 생성과 처리에 불균형이 생겨 유산산증이 발생하게 된다. 메포르민사용과 관련하여 유산산증이 발생하면 그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것이 없다. 본 증례에서는 메포르민 복용으로 당조절이 잘되던 제2형 당뇨병환자가 신전성 급성 신부전증이 병발한 상태에서 메포르민을 계속 복용하던 중 대사성산증으로 내원하여 측정한 혈중 유산농도가 현저히 높았던 유산산증을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he hyperlactatemic effect of biguanides:a comparison between phenformin and metformin during a 6-month treatment" 11 : 45-49, 1989

      2 "The cellular bisis of conventional and experimental pharmacotherapies for circulatory shock" 2 : 115-127, 1994

      3 "Principles & practice of medical intensive care" 1993

      4 "Metformin-associated lactic acidosis" 20 : 267-272, 2001

      5 "Metformin" 334 (334): 574-579, 1996

      6 "Metabolic effects of metformin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333 : 550-554, 1995

      7 "Lactic acidosis update for critical care clinicians" 12 : 15-19, 2001

      8 "Hemodialysis in the treatment of lactic acidosis in diabetic treated by metformin:a study of metformin elimination" 27 : 285-288, 1989

      9 "Efficacy of metformin in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The Multicenter Metformin Study Group" 333 : 541-549, 1995

      10 "Biguanides and NIDDM" 15 : 755-772, 1992

      1 "The hyperlactatemic effect of biguanides:a comparison between phenformin and metformin during a 6-month treatment" 11 : 45-49, 1989

      2 "The cellular bisis of conventional and experimental pharmacotherapies for circulatory shock" 2 : 115-127, 1994

      3 "Principles & practice of medical intensive care" 1993

      4 "Metformin-associated lactic acidosis" 20 : 267-272, 2001

      5 "Metformin" 334 (334): 574-579, 1996

      6 "Metabolic effects of metformin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333 : 550-554, 1995

      7 "Lactic acidosis update for critical care clinicians" 12 : 15-19, 2001

      8 "Hemodialysis in the treatment of lactic acidosis in diabetic treated by metformin:a study of metformin elimination" 27 : 285-288, 1989

      9 "Efficacy of metformin in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The Multicenter Metformin Study Group" 333 : 541-549, 1995

      10 "Biguanides and NIDDM" 15 : 755-772, 1992

      11 "Biguanide- associated lactic acidosis: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152 : 2333-2336,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 0.42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