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치성각화성낭종 (Odontogenic Keratocyst)환자의 치험례 = ODONTOGENIC KERATOCYST OF A FEMALE CHILD, A CASE RE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172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치성각화성낭종(Odontogenic keratocyst. OKC)은 치체(dental lamina)로부터 발생하는데,모든 악골 낭의 5~17% 정도를 차지하며 낭의 내부는 이장상피로부터 유래한 점액성이나 치즈양 물질인 케라틴(keratin)으로 채워져 있다. 치성낭 중 가장 높은 재발률을 보인다는 것이 이 낭의 중요한 특정이다. 간혹 기저층에서 인접 결체조직 벽으로 돌기가 증식하기도 하며 결체조직 벽 내에 존재하는 치성 상피조직 섬의 증식이 위성 소낭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들 소낭들이 치성각화성낭종의 높은 재발률의 원인으로 여겨진다.
      치성각화성낭종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견되나, 20대와 30대에서 호발한다. 남성에서 다소 호발하며 하악,특히 제3대구치와 하악지 부위에서 자주 발생한다. 대개 피질골의 팽융에 의해 처음 발견되며 매복치와 관련되어 있고 일반적으로는 증상이 없지만 동통과 감염이 나타날 수도 있다. 흡인시 걸쭉한 노란 치즈양 물질인 케라틴이 관찰되며 특히 재발이 잘 된다.
      치성 각화낭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병소가 피질골의 팽창을 많이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악골의 내면을 따라 성장한다는 것이다. 치성각화성낭종화낭은 인접 치아를 변위시키고 흡수사킬 수 있으나 함치성낭보다는 정도가 심하지 않다. 하악관을 하방으로 변위시키기도 하며 상악 병소의 경우는 상악동을 침범해서 상악동 전체를 차지하기도 한다.
      본 증례는 7세 10개월 된 여아의 하악 우측 제2유구치 부위에 발생한 치성각화성낭종에 대한 증례로써 전신마취하 낭종적출술을 시행하였다. 낭종에 포함된 제1.2유구치,유견치 및 제1소구치 치배를 발거하였으며,현재 공간유지장치를 장착후 주기적으로 내원중이다.
      번역하기

      치성각화성낭종(Odontogenic keratocyst. OKC)은 치체(dental lamina)로부터 발생하는데,모든 악골 낭의 5~17% 정도를 차지하며 낭의 내부는 이장상피로부터 유래한 점액성이나 치즈양 물질인 케라틴(ker...

      치성각화성낭종(Odontogenic keratocyst. OKC)은 치체(dental lamina)로부터 발생하는데,모든 악골 낭의 5~17% 정도를 차지하며 낭의 내부는 이장상피로부터 유래한 점액성이나 치즈양 물질인 케라틴(keratin)으로 채워져 있다. 치성낭 중 가장 높은 재발률을 보인다는 것이 이 낭의 중요한 특정이다. 간혹 기저층에서 인접 결체조직 벽으로 돌기가 증식하기도 하며 결체조직 벽 내에 존재하는 치성 상피조직 섬의 증식이 위성 소낭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들 소낭들이 치성각화성낭종의 높은 재발률의 원인으로 여겨진다.
      치성각화성낭종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견되나, 20대와 30대에서 호발한다. 남성에서 다소 호발하며 하악,특히 제3대구치와 하악지 부위에서 자주 발생한다. 대개 피질골의 팽융에 의해 처음 발견되며 매복치와 관련되어 있고 일반적으로는 증상이 없지만 동통과 감염이 나타날 수도 있다. 흡인시 걸쭉한 노란 치즈양 물질인 케라틴이 관찰되며 특히 재발이 잘 된다.
      치성 각화낭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병소가 피질골의 팽창을 많이 유발시키지 않으면서 악골의 내면을 따라 성장한다는 것이다. 치성각화성낭종화낭은 인접 치아를 변위시키고 흡수사킬 수 있으나 함치성낭보다는 정도가 심하지 않다. 하악관을 하방으로 변위시키기도 하며 상악 병소의 경우는 상악동을 침범해서 상악동 전체를 차지하기도 한다.
      본 증례는 7세 10개월 된 여아의 하악 우측 제2유구치 부위에 발생한 치성각화성낭종에 대한 증례로써 전신마취하 낭종적출술을 시행하였다. 낭종에 포함된 제1.2유구치,유견치 및 제1소구치 치배를 발거하였으며,현재 공간유지장치를 장착후 주기적으로 내원중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dontogenic keratocyst is classified as a developmental odontogenic cyst and is believed to arise from cell rests of the dental lamina. It accounts for 3% to 11% of all jaw cysts and they occur twice as often in the mandible as in the maxilla. Histologically, the cysts are lined by stratified, keratinizing, squamous epithelium. Daugther cysts or microcysts are often observed microscopically. The recurrence rate has been reported variously, but is known by its high recurrence rate.
      These lesions are more common in males than in females, occur over a wide age range and are typically diagnosed during the 2nd and 3rd decade. The diagnosis depends on the cyst's microscopic features and is independent of its location and radiographic appearances. This cyst is a radiolucent lesion that is often multiloculated, has a smooth or scalloped border. The cyst is characteristically located in the body and ramus of the mandible, and often occurs in conjunction with an impacted tooth.
      This case report describes an odontogenic keratocyst on the lower right molar area of an 8-year-old girl. The cyst was removed under the general anaesthesia, and is being checked regularly for any recurrences.
      번역하기

      Odontogenic keratocyst is classified as a developmental odontogenic cyst and is believed to arise from cell rests of the dental lamina. It accounts for 3% to 11% of all jaw cysts and they occur twice as often in the mandible as in the maxilla. Histolo...

      Odontogenic keratocyst is classified as a developmental odontogenic cyst and is believed to arise from cell rests of the dental lamina. It accounts for 3% to 11% of all jaw cysts and they occur twice as often in the mandible as in the maxilla. Histologically, the cysts are lined by stratified, keratinizing, squamous epithelium. Daugther cysts or microcysts are often observed microscopically. The recurrence rate has been reported variously, but is known by its high recurrence rate.
      These lesions are more common in males than in females, occur over a wide age range and are typically diagnosed during the 2nd and 3rd decade. The diagnosis depends on the cyst's microscopic features and is independent of its location and radiographic appearances. This cyst is a radiolucent lesion that is often multiloculated, has a smooth or scalloped border. The cyst is characteristically located in the body and ramus of the mandible, and often occurs in conjunction with an impacted tooth.
      This case report describes an odontogenic keratocyst on the lower right molar area of an 8-year-old girl. The cyst was removed under the general anaesthesia, and is being checked regularly for any recur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arker P, "Treatment of large odontogenic keraocyts by decompression and later cystectomy. A long-term follow-up and a histologic study of 23 cases" 82 : 122-131, 1996

      2 Gardner DG, "The treatment of ameloblastoma based on patholgic and anatomic principles" 46 : 251-259, 1980

      3 Garlock JA, "The odontogenic keratocyst" 85 : 452-456, 1998

      4 Voorsmit RACA, "The incredible keratocyst: a new approach to treatment" 40 : 621-624, 1985

      5 Van der Linden FP,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dentition" 53 : 17-31, 1985

      6 Bradley PF, "The cryosurgery of bone. An experimental and clinical assessment" 13 : 111-127, 1975

      7 Blanas N, "Systemic review of the treatment and prognosis of the odontogenic keratocyst" 90 : 553-558, 2000

      8 Pindborg JJ, "Studies on odontogenic cyst epithelium 2: clinical and roentgenological aspects of odontogenic keratocysts" 58 : 283-294, 1963

      9 Scharffetter K, "Proliferation kinetics-study of the grwoth of keratocysts" 17 : 226-233, 1989

      10 Philipsen HP, "Om Keratocyster I kaeberbe" 60 : 963-980, 1956

      1 Marker P, "Treatment of large odontogenic keraocyts by decompression and later cystectomy. A long-term follow-up and a histologic study of 23 cases" 82 : 122-131, 1996

      2 Gardner DG, "The treatment of ameloblastoma based on patholgic and anatomic principles" 46 : 251-259, 1980

      3 Garlock JA, "The odontogenic keratocyst" 85 : 452-456, 1998

      4 Voorsmit RACA, "The incredible keratocyst: a new approach to treatment" 40 : 621-624, 1985

      5 Van der Linden FP,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dentition" 53 : 17-31, 1985

      6 Bradley PF, "The cryosurgery of bone. An experimental and clinical assessment" 13 : 111-127, 1975

      7 Blanas N, "Systemic review of the treatment and prognosis of the odontogenic keratocyst" 90 : 553-558, 2000

      8 Pindborg JJ, "Studies on odontogenic cyst epithelium 2: clinical and roentgenological aspects of odontogenic keratocysts" 58 : 283-294, 1963

      9 Scharffetter K, "Proliferation kinetics-study of the grwoth of keratocysts" 17 : 226-233, 1989

      10 Philipsen HP, "Om Keratocyster I kaeberbe" 60 : 963-980, 1956

      11 Zachariades N, "Odontogenic keratocysts: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port of 16 cases" 43 : 177-182, 1985

      12 Kondell PA, "Odontogenic keratocysts: a follow-up study of 29 cases" 12 : 57-62, 1988

      13 Myoung H, "Odontogenic keratocyst: Review of 256 cases for recurrence and clinicopatholigic parameters" 91 : 328-333, 2001

      14 Chow HT, "Odontogenic keratocyst : A clinical experience in Singapore" 86 : 573-577, 1998

      15 Yoshiura K, "Morphologic analysis of odontogenic cysts with computed tomography" 83 : 712-718, 1997

      16 Irvine GH, "Mandibular keratocyts: surgical management" 23 : 204-209, 1985

      17 Ljubenovic M, "Gorlin- Goltz syndrome" 16 : 166-169, 2007

      18 Main DMG, "Epithelial jaw cyst: 10 years of he WHO classification" 14 : 1-7, 1985

      19 Payne TF, "An analysis of the clinical and histologic parameters of OKC" 33 : 536-546, 1972

      20 Woolgar JA, "A comparative study of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recurrent and non-recurrent odontogenic keratocysts" 16 : 124-128, 1987

      21 Woolgar JA, "A comaparative study of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features of recurrent and non-recurrent odontogenic keratocysts" 16 : 124-128, 1987

      22 Morgan TA, "A Restrospective Review of Treatment of the Odontogenic Keratocyst" 63 : 635-639,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5 0.39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