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사용법의 학습에서 학습방법, 학습스케줄, 및 과제난이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학습방법 (언어적, 경험적), 두 가지 학습 스케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6276
-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사용법의 학습에서 학습방법, 학습스케줄, 및 과제난이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학습방법 (언어적, 경험적), 두 가지 학습 스케줄 (...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사용법의 학습에서 학습방법, 학습스케줄, 및 과제난이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학습방법 (언어적, 경험적), 두 가지 학습 스케줄 (덩이진, 간격 학습), 및 두 가지 과제난이도 (쉬움, 어려움)의 조건에서 참가자들이 윈도우 무비메이커를 사용하여 간단한 사진과 동영상을 편집하는 기술을 학습하게 하였다. 실험결과, 경험적 학습에서 참가자들이 언어적 학습에서보다 더 빠르게 과제를 수행하였는데, 이는 과제난이도에 따라 그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쉬운 과제에서는 두 학습방법의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어려운 과제의 경우 언어적 학습에서 수행속도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이러한 경향이 과제난이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폭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매우 어려운 과제난이도를 추가하여 실험 한 후, 앞선 실험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기대와 달리, 과제난이도가 더욱 어려워지더라도 경험적 학습의 이점이 증가하지는 않았는데, 이는 이미 앞선 실험에서 사용한 학습과제가 충분히 어려웠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두 실험에서 공통적으로 학습방법과 학습스케줄의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간격학습에서 실험적 조작이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마지막 실험에서 학습시행간의 간격을 늘렸음에도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아, 간격학습의 효과는 소프트웨어 학습에서 언어적 혹은 경험적 학습에서 동일하게 발생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tested the effects of learning method, learning schedule, and task difficulty in the learning of software usage. To this end, we used two types of learning method (verbal, experiential), two types of learning schedule (massed, spa...
In this research, we tested the effects of learning method, learning schedule, and task difficulty in the learning of software usage. To this end, we used two types of learning method (verbal, experiential), two types of learning schedule (massed, spaced), and two levels of task difficulty (easy, medium) in order to have subjects to learn how to edit pictures and movie clips using Windows movie mak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bjects are faster in the experiential learning condition than in the verbal condition, but this difference interacted with task difficulty. That is, when the task was easy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verbal vs. experiential learning but the difference pronounced when the task became difficult. To test whether this pattern of interaction becomes greater with even more difficult task, we added another very difficult condition and then compared with results with the previous one. Contrary to the prediction, the benefit of experiential learning did not increase as task difficulty becomes greater; this result may have arisen because the medium task difficulty was already difficulty to our subjects. In both experiments, we failed to obtain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method and learning schedule, a result which may have arisen due to insuffic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