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세기 서울 우대의 가곡집, 『가곡원류』 = Poetry collection of the 19th century Seoul Woodae, Gagokwonry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942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concentrated on the formation processe and influence of Gagokwonryu(歌曲源流) that had made in Seoul Woodae area in the 19th century.
      As a result, it found out two facts as follows.
      First, Gagokwonryu was compiled by systematically collecting following three different types of song among songs that was transmitted in Woodae area. ① Every song of Jieum(Kun)(知音 乾)(in the early 19th century) ② Songs of compilers and contemporaries ③ Old songs of Famous writers. These have the similarities which are 'the world of elegance'.
      Second, Gagokwonryu was transmitted to lyrics of Gagokseon(歌曲選)(compiled by Choi Nam-sun) and Jeongseon Choeon Gagok(精選朝鮮歌曲)(compiled by Lee Hae-cho) of the early 20th century Printed Poetry collections. Only some songs about passion between male and female was excluded. This is the reality of 'Sijo' which became national litera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번역하기

      This thesis concentrated on the formation processe and influence of Gagokwonryu(歌曲源流) that had made in Seoul Woodae area in the 19th century. As a result, it found out two facts as follows. First, Gagokwonryu was compiled by systematically col...

      This thesis concentrated on the formation processe and influence of Gagokwonryu(歌曲源流) that had made in Seoul Woodae area in the 19th century.
      As a result, it found out two facts as follows.
      First, Gagokwonryu was compiled by systematically collecting following three different types of song among songs that was transmitted in Woodae area. ① Every song of Jieum(Kun)(知音 乾)(in the early 19th century) ② Songs of compilers and contemporaries ③ Old songs of Famous writers. These have the similarities which are 'the world of elegance'.
      Second, Gagokwonryu was transmitted to lyrics of Gagokseon(歌曲選)(compiled by Choi Nam-sun) and Jeongseon Choeon Gagok(精選朝鮮歌曲)(compiled by Lee Hae-cho) of the early 20th century Printed Poetry collections. Only some songs about passion between male and female was excluded. This is the reality of 'Sijo' which became national litera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세기 서울 우대지역’에서 만들어진 『가곡원류』의 형성 과정과 이후 영향력을 다루었다. 그 결과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가곡원류』는 우대 지역에서 전승되어 오던 노래들 중에서 다음의 세 종류 노래들을 조직적으로 수집하여 편찬했다. ① 『지음(건)』(19세기 전반)의 모든 작품들, ② 편찬자와 동시대인들의 작품들, ③ 옛 노래들 중에서 유명한 작가 작품들. 이들 작품은 ‘雅趣의 세계’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둘째, 『가곡원류』는 20세기 초 활자본 가집들 중에서 『가곡선』(최남선 편), 『정선조선가곡』(이해조 편)의 가사에 그대로 전해졌다. 다만 남녀간 애욕을 다룬 일부 작품들이 제외되었을 뿐이다. 이것이 20세기 초 국민문학이 된 ‘시조’의 실체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19세기 서울 우대지역’에서 만들어진 『가곡원류』의 형성 과정과 이후 영향력을 다루었다. 그 결과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가곡원류』는 우대 지역에서 전승...

      이 글은 ‘19세기 서울 우대지역’에서 만들어진 『가곡원류』의 형성 과정과 이후 영향력을 다루었다. 그 결과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가곡원류』는 우대 지역에서 전승되어 오던 노래들 중에서 다음의 세 종류 노래들을 조직적으로 수집하여 편찬했다. ① 『지음(건)』(19세기 전반)의 모든 작품들, ② 편찬자와 동시대인들의 작품들, ③ 옛 노래들 중에서 유명한 작가 작품들. 이들 작품은 ‘雅趣의 세계’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둘째, 『가곡원류』는 20세기 초 활자본 가집들 중에서 『가곡선』(최남선 편), 『정선조선가곡』(이해조 편)의 가사에 그대로 전해졌다. 다만 남녀간 애욕을 다룬 일부 작품들이 제외되었을 뿐이다. 이것이 20세기 초 국민문학이 된 ‘시조’의 실체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경숙, "「가곡원류」 여창사설 확대의 의미" 국립국악원 14 : 191-,

      2 김봉희, "한국개화기서적문화연구" 이대출판부 284-, 1999

      3 최남선, "조선국민문학으로의 시조" (16) : 2-7, 1926

      4 이창희, "정선조선가곡" 다운샘 30-, 2002

      5 심재완, "시조의 문헌적 연구" 세종문화사 65-, 1972

      6 최남선, "시조 태반으로서의 조선 민성과 민속" (17) : 2-7, 1926

      7 신경숙, "근대 초기 가곡 교습 - 초기 조선정악전습소를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47) : 213-244, 2007

      8 강관식, "규장각 자비대령화원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9 김태균, "가곡창 가집 『대동풍아』 연구" 성균관대 2008

      10 오종각, "가곡원류의 새로운 이본인 『지음』 연구" 단국대 국어국문학과 15 : 303-325,

      1 신경숙, "「가곡원류」 여창사설 확대의 의미" 국립국악원 14 : 191-,

      2 김봉희, "한국개화기서적문화연구" 이대출판부 284-, 1999

      3 최남선, "조선국민문학으로의 시조" (16) : 2-7, 1926

      4 이창희, "정선조선가곡" 다운샘 30-, 2002

      5 심재완, "시조의 문헌적 연구" 세종문화사 65-, 1972

      6 최남선, "시조 태반으로서의 조선 민성과 민속" (17) : 2-7, 1926

      7 신경숙, "근대 초기 가곡 교습 - 초기 조선정악전습소를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47) : 213-244, 2007

      8 강관식, "규장각 자비대령화원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9 김태균, "가곡창 가집 『대동풍아』 연구" 성균관대 2008

      10 오종각, "가곡원류의 새로운 이본인 『지음』 연구" 단국대 국어국문학과 15 : 303-325,

      11 신경숙, "中大葉 · 慢大葉과 臺歌" 한국시조학회 (29) : 173-174, 2008

      12 황인완, "『가곡원류』의 이본 계열 연구" 고려대 2007

      13 윤설희, "20세기 초 가집 『정선조선가곡』 연구" 성균관대 2008

      14 신경숙, "19세기 가집의 전개" 계명문화사 105-113,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1-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KCI등재
      2017-10-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sociation KCI등재
      2017-10-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3 2.124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