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근화, "현대시에 나타난 ‘북방’과 조선적 서정성의 확립 -백석과 이용악 시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2) : 279-303, 2010
2 엄경희,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의 장소성에 대한 시학적(詩學的) 탐구" 국어국문학회 (186) : 399-440, 2019
3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민음사 2014
4 차성환,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유토피아 충동과 노스탤지어 연구―1930년대 후반기의 백석과 이용악 시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84) : 599-638, 2019
5 슈테판 귄첼, "토폴로지: 문화학과 매체학에서 공간 연구" 에코리브르 2010
6 송석랑, "토포스의 해석학; 현상학과 예술: 하이데거의 ‘장소’론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8 (38): 117-157, 2017
7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8 서도식, "존재의 토폴로지-M. 하이데거의 공간 이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221-250, 2010
9 고형진, "정본 백석 시집" 문학동네 291-309, 2007
10 백석, "정본 백석 시집" 문학동네 2007
1 이근화, "현대시에 나타난 ‘북방’과 조선적 서정성의 확립 -백석과 이용악 시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2) : 279-303, 2010
2 엄경희,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의 장소성에 대한 시학적(詩學的) 탐구" 국어국문학회 (186) : 399-440, 2019
3 미셸 푸코, "헤테로토피아" 민음사 2014
4 차성환,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유토피아 충동과 노스탤지어 연구―1930년대 후반기의 백석과 이용악 시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84) : 599-638, 2019
5 슈테판 귄첼, "토폴로지: 문화학과 매체학에서 공간 연구" 에코리브르 2010
6 송석랑, "토포스의 해석학; 현상학과 예술: 하이데거의 ‘장소’론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8 (38): 117-157, 2017
7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8 서도식, "존재의 토폴로지-M. 하이데거의 공간 이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1 (21): 221-250, 2010
9 고형진, "정본 백석 시집" 문학동네 291-309, 2007
10 백석, "정본 백석 시집" 문학동네 2007
11 에드워드 랄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2 이용악, "이용악전집" 소명출판 2015
13 이현승, "이용악 시 연구의 제문제와 극복 방안"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247-268, 2014
14 파스칼 키냐르, "심연들" 문학과지성사 2010
15 김도희, "식민지 자본과 시의 디아스포라적 양상 연구-백석, 오장환, 이용악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19-28, 2017
16 김홍중, "성찰적 노스탤지어: 생존주의적 근대성과 중민의 꿈" 한국이론사회학회 (27) : 33-76, 2015
17 이경희, "상실과 회복, 그 도정에서의 시적 언술-백석, 이용악의 작품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4) : 231-254, 2005
18 이숭원, "백석의 시와 거주 공간의 관련 양상" 한국시학회 (9) : 8-, 2003
19 이경수, "백석의 기행시편에 나타난 장소의 심상지리" 민족문화연구원 (53) : 359-399, 2010
20 손미영, "백석시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0) : 245-277, 2012
21 강연호, "백석·이용악 시의 귀향모티프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0 (10): 369-393, 2006
22 서덕민, "백석·이용악 시에 나타난 마술적 상상력" 인문학연구소 11 (11): 189-208, 2010
23 소래섭, "백석 시와 음식의 아우라" 한국근대문학회 (16) : 275-300, 2007
24 차성환, "박용철 시에 나타난 노스탤지어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64) : 187-213, 2017
25 김광기, "멜랑콜리, 노스탤지어, 그리고 고향" 한국이론사회학회 (23) : 173-203, 2013
26 김경훈, "디아스포라의 삶의 공간과 정서 - 백석, 이용악, 윤동주의 경우" 국제비교한국학회 17 (17): 9-39, 2009
27 박찬국,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동녘 2004
28 가스통 바슐라르, "대지 그리고 휴식의 몽상" 문학동네 2002
29 소영현, "근대의 노스탤지어, 사회의 자기조절 - 이농/탈향 시대의 빈곤과 하위자의 몸" 한국문학연구소 (47) : 355-398, 2014
30 송석랑, "귀향'의 시간, '유랑'의 시간 -하이데거와 메를로 뽕띠의 '존재론적 주체論'의 토대-" 한국동서철학회 (46) : 159-195, 2007
31 앙리 르페브르,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32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1995
33 고봉준, "고향의 발견 - 1930년대 후반시와 ‘고향’ -" 중앙어문학회 43 : 313-336, 2010
34 다이앤 애커먼, "감각의 박물학" 작가정신 2004
35 가스통 바슐라르, "空間의 詩學" 민음사 1990
36 양재혁, "‘기억의 장소’ 또는 노스탤지어 서사" 수선사학회 (64) : 441-472, 2018
37 이경수, "1930년대 후반부 시에 나타난 ‘가난’의 의미" 한국문학연구학회 (32) : 153-180, 2007
38 방연정, "1930 년대 시적 공간의 현실적 의미–백석, 이용악, 이찬의 시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7 (7): 57-90,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