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현성록〉은 여성 가장 양부인의 유교적 제가와 훈육아래 성장한 소현성이 효를 최우선 가치로 여기고 실행하며 가문을 안정시키는 내용의 이념지향적 작품이다. 이는 17세기 중후반 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449004
2016
-
가부장 ; 여성가장 ; 〈소현성록〉 ; 교육방식 ; 이념 ; 욕망 ; patriarch ; female breadwinner ; Sohyunseongrok ; way of education ; ideology ; desire
810
KCI등재
학술저널
39-65(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소현성록〉은 여성 가장 양부인의 유교적 제가와 훈육아래 성장한 소현성이 효를 최우선 가치로 여기고 실행하며 가문을 안정시키는 내용의 이념지향적 작품이다. 이는 17세기 중후반 가...
〈소현성록〉은 여성 가장 양부인의 유교적 제가와 훈육아래 성장한 소현성이 효를 최우선 가치로 여기고 실행하며 가문을 안정시키는 내용의 이념지향적 작품이다. 이는 17세기 중후반 가부장제가 강화되는 사회적 배경 속에서 사대부가 여성들의 리더십이 작품 속에 구현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훈육 과정에서 양부인은 가문의 안정을 위해 다소 강압적이고 권위적인 리더십을 보여주는데, 이는 아들에게 자신의 욕망을 투사하고 절대적 순종을 강요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성인군자 소현성은 과거에서 부정을 저지르고 아내들에게 폭력적인 언행을 행사하는 문제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소현성의 모습은 예학 논쟁의 과정에서 서인들이 추구하는 ‘효’ 중심의 예설이 반영된 것이면서, 이념지향성이 내포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를 드러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소현성록〉은 17세기 중후반의 과도기적 시대상황 속에서 이념지향적 서술태도, 현실적 욕망과 문제의식이 이원적으로 표출되고 있는 작품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hyunseongrok is an ideology oriented work with the story that Sohyunseong, who grew up in the Confucian atmosphere and discipline under the female breadwinner, Lady Yang, takes filial duty as the foremost value and practices it, and stabilizes his f...
Sohyunseongrok is an ideology oriented work with the story that Sohyunseong, who grew up in the Confucian atmosphere and discipline under the female breadwinner, Lady Yang, takes filial duty as the foremost value and practices it, and stabilizes his family. During the process of upbringing, Lady Yang shows a rather coercive and authoritative leadership, which is understood as projecting her own desire to her son and forcing absolute obedience. As a result of that, Sohyunseong sometimes shows problematic behaviors such as cheating in national exam and displaying abusive remarks or behavior to his wives. This means that this work reflects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mid-late 17th century and contains both the Confucian ideological orientation and realistic desires. In the meantime, in supplementary copy,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Lady Yang and Sohyunseong change, which results from the awareness of a problem about imperfect leadership in the main copy, and these can be understood 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opy and supplementary copy.
목차 (Table of Contents)
고구려 왕후 우씨 서사에 나타난 ‘주체되기’와 리더십의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