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OVID-19 바이러스 유행 및 대응책이 중소도시에서의 수돗물 소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Impact of Coronavirus (COVID-19) Outbreak and Countermeasures on Water Consumption in the Small-Medium Sized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58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how the COVID-19 pandemic spread and prevention actions are affecting water consumption pattern in the domestic small-medium sized city. Also, the main contribution is the assessment of water consumption during a pandemic, proving information for management of water supply system in order to be resilient in challenging situation for the community.
      Methods : In this study, data on the water consumption by administrative subdivisions and uses were obtained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0. The water consumption can be divided into the uses for household, office, business and public bath. Data were analyzed in a time series from 2018 to December 2020 in 35 administrative subdivisions.
      Results and Discussion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sumption pattern of tap water by use in domestic J_city, the consumption of household water tends to increase slightly, but it is found that the trend of change in office, business and public bath water is not significant.
      Conclusion : It can be seen that the consumption of households in 2020 is slightly higher than in 2018 and 2019, and the consumption of water for business, business and public baths has decreased. Probably, as homework and non-face-to-face classes of students increase, consumption of household water increases and consumption of business and business water decreases.
      번역하기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how the COVID-19 pandemic spread and prevention actions are affecting water consumption pattern in the domestic small-medium sized city. Also, the main contribution is the assessment of water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how the COVID-19 pandemic spread and prevention actions are affecting water consumption pattern in the domestic small-medium sized city. Also, the main contribution is the assessment of water consumption during a pandemic, proving information for management of water supply system in order to be resilient in challenging situation for the community.
      Methods : In this study, data on the water consumption by administrative subdivisions and uses were obtained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0. The water consumption can be divided into the uses for household, office, business and public bath. Data were analyzed in a time series from 2018 to December 2020 in 35 administrative subdivisions.
      Results and Discussion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sumption pattern of tap water by use in domestic J_city, the consumption of household water tends to increase slightly, but it is found that the trend of change in office, business and public bath water is not significant.
      Conclusion : It can be seen that the consumption of households in 2020 is slightly higher than in 2018 and 2019, and the consumption of water for business, business and public baths has decreased. Probably, as homework and non-face-to-face classes of students increase, consumption of household water increases and consumption of business and business water decrea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 약 300,000명 정도 국내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야기된 시민들의 행동 및 생활의 변화가 수돗물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8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행정동별, 용도별, 시민들의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입수하였다. 수돗물의 용도는 가정용(household), 업무용(office), 영업용(business) 및 대중탕용(public bath)으로 구분하고 있다. 월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읍 및 면단위로 35개의 행정소구역의 2018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데이터를시계열로 분석하였다.
      결과 및 토의: 연구 대상인 국내 J_도시의 용도별 수돗물 소비패턴을 분석한 결과 가정용 용수의 사용량은 미세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업무용, 영업용 및 대중탕 용수는 변화 추이가 크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가정용은 2020년의 소비량이 2018년과 2019년에 비해 약간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나머지 업무용, 영업용및 대중탕용수는 소비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재택근무와 학생들의 비대면 수업이 증가하면서 가정용수의 소비는 증가하고 업무용 및 영업용수의 소비는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 약 300,000명 정도 국내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야기된 시민들의 행동 및 생활의 변화가 수돗물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 약 300,000명 정도 국내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야기된 시민들의 행동 및 생활의 변화가 수돗물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8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행정동별, 용도별, 시민들의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입수하였다. 수돗물의 용도는 가정용(household), 업무용(office), 영업용(business) 및 대중탕용(public bath)으로 구분하고 있다. 월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읍 및 면단위로 35개의 행정소구역의 2018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데이터를시계열로 분석하였다.
      결과 및 토의: 연구 대상인 국내 J_도시의 용도별 수돗물 소비패턴을 분석한 결과 가정용 용수의 사용량은 미세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업무용, 영업용 및 대중탕 용수는 변화 추이가 크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가정용은 2020년의 소비량이 2018년과 2019년에 비해 약간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나머지 업무용, 영업용및 대중탕용수는 소비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재택근무와 학생들의 비대면 수업이 증가하면서 가정용수의 소비는 증가하고 업무용 및 영업용수의 소비는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 T. F. Lau, "Widespread public misconception in the early phase of the H1N1influenza epidemic" 59 (59): 122-127, 2009

      2 S. B. Sorenson, "Safe access to safe water in low income countries: water fetching in current times" 72 (72): 1522-1526, 2011

      3 Y. Wei, "Promoting inclusive water governance and forecasting the structure of water consumption based on compositional data: a case study of Beijing" 634 : 407-416, 2018

      4 Q. Wang, "Moving to economic growth without water demand growth : a decomposition analysis of decoupling from economic growth and water use in 31provinces of China" 726 : 138362-, 2020

      5 A. Kalbusch, "Impact of coronavirus (COVID-19)spread-prevention actions on urban water consumption" 163 : 105098-, 2020

      6 M. Brauer, "Global access to handwashing: implications for COVID-19controling low-income countries" 125 (125): 057005-, 2020

      7 A. Tobias, "Evaluation of the lockdowns for the SARS-CoV-2 epidemic in Italy and Spain after one month follow up" 725 : 138539-, 2020

      8 A. Cortegiani,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chloroquine for the treatment of COVID-19" 57 : 279-283, 2020

      9 J. Sarkis, "A brave new world: lessons from the COVID-19 pandemic for transitioning to sustainable supply and production" 159 : 104894-, 2020

      1 J. T. F. Lau, "Widespread public misconception in the early phase of the H1N1influenza epidemic" 59 (59): 122-127, 2009

      2 S. B. Sorenson, "Safe access to safe water in low income countries: water fetching in current times" 72 (72): 1522-1526, 2011

      3 Y. Wei, "Promoting inclusive water governance and forecasting the structure of water consumption based on compositional data: a case study of Beijing" 634 : 407-416, 2018

      4 Q. Wang, "Moving to economic growth without water demand growth : a decomposition analysis of decoupling from economic growth and water use in 31provinces of China" 726 : 138362-, 2020

      5 A. Kalbusch, "Impact of coronavirus (COVID-19)spread-prevention actions on urban water consumption" 163 : 105098-, 2020

      6 M. Brauer, "Global access to handwashing: implications for COVID-19controling low-income countries" 125 (125): 057005-, 2020

      7 A. Tobias, "Evaluation of the lockdowns for the SARS-CoV-2 epidemic in Italy and Spain after one month follow up" 725 : 138539-, 2020

      8 A. Cortegiani,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chloroquine for the treatment of COVID-19" 57 : 279-283, 2020

      9 J. Sarkis, "A brave new world: lessons from the COVID-19 pandemic for transitioning to sustainable supply and production" 159 : 104894-,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0.604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