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고령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 연구: 중년기와 고령기의 비교 =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Middle to Old Ag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Comparison of Middle Age and Old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372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of middle aged and elderly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 people with intelle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of middle aged and elderly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 : This study used raw data of 2017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Of the 6,549 subjects in the raw data, 180 subjects were analyzed middle to old age adult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ependent variables were age(155 middle age, 25 old age), independent variable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variables including unmet medical need were chronic disease, depression experience. ADL consisted of 12 subdomain of basic ADL and 8 subdomain of instrumental AD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ndependent t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sult : Elderly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eeded help more than middle age people in telephone use, shopping, preparing meals, housework, laundry, using transportation in baisc ADL, and telephone use, shopping, preparing meals, housework, laundry, using transportation in instrumental ADL(p<.05).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ging-friendly industries related to health care and promotion for ADL improvement of elderly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중년과 고령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을 비교하고 일반적 특성과 일상생활 사이의 상관관 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원시자료를 ...

      목적 : 본 연구는 중년과 고령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을 비교하고 일반적 특성과 일상생활 사이의 상관관 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대상자는 총 인원 6,549명 중 지적 장애인이며, 중⋅고령층인 자 180명이었다. 종속변수는 연령집단(중년 155명, 노년 25명)이고 독립변 수는 일반적 특성, 미충족 의료를 포함한 건강관련 변수는 만성질환 여부, 우울 경험 여부, 미충족 의 료 여부로 설정하였다. 일상생활은 기본적 일상생활 12개 영역과 수단적 일상생활 8개 영역으로 구성 하였다. 통계분석은 독립 t검정과 피어슨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 고령 지적장애인은 기본적 일상생활에서 누운상태에서 자세바꾸기, 옮겨앉기, 앉은자세 유지, 보행, 배변, 그리고 수단적 일상생활에서 전화사용, 물건사기, 식사준비, 청소, 빨래하기, 대중교통이용에서 중년 지적장애인에 비해 더 많은 도움이 필요하였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지적장애 노인의 일상생활 향상을 위해 고령 장애인의 건강관리 및 증진과 관련한 고령친화산업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식, "한국지적장애 학술연구 동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16, 2011

      2 김홍근, "한국인의 기억기능: 연령, 교육수준, 성별과의 관련성" 한국임상심리학회 34 (34): 125-145, 2015

      3 김진호, "지적장애학생들의 자립과 성인생활에 필요한 기능적 생활기술 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23-42, 2012

      4 이수정, "지적장애 학생 및 성인의 기능적 생활기술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129-156, 2018

      5 김영준,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491-516, 2010

      6 이소연, "지역사회작업치료 서비스 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 광주광역시 내 보건소 및 보건지소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19 (19): 77-89, 2011

      7 김정석, "중고령 장애인의 우울 영향요인 연구 : 중년기와 고령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54) : 77-96, 2017

      8 김진구, "저소득층의 의료 이용과 욕구 미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5-33, 2008

      9 강소라, "장애인의 언어장애 유무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특성, 수단적 일상생활,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의 차이" 대한통합의학회 7 (7): 37-45, 2019

      10 김태형, "신체활동 참여 노인 및 비노인 장애인의 운동지속수행 예측 모형: 기본적 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 21 (21): 483-498, 2012

      1 박정식, "한국지적장애 학술연구 동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16, 2011

      2 김홍근, "한국인의 기억기능: 연령, 교육수준, 성별과의 관련성" 한국임상심리학회 34 (34): 125-145, 2015

      3 김진호, "지적장애학생들의 자립과 성인생활에 필요한 기능적 생활기술 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23-42, 2012

      4 이수정, "지적장애 학생 및 성인의 기능적 생활기술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129-156, 2018

      5 김영준,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491-516, 2010

      6 이소연, "지역사회작업치료 서비스 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 광주광역시 내 보건소 및 보건지소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19 (19): 77-89, 2011

      7 김정석, "중고령 장애인의 우울 영향요인 연구 : 중년기와 고령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54) : 77-96, 2017

      8 김진구, "저소득층의 의료 이용과 욕구 미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7) : 5-33, 2008

      9 강소라, "장애인의 언어장애 유무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특성, 수단적 일상생활,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의 차이" 대한통합의학회 7 (7): 37-45, 2019

      10 김태형, "신체활동 참여 노인 및 비노인 장애인의 운동지속수행 예측 모형: 기본적 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 21 (21): 483-498, 2012

      11 문종훈, "성인기 지적장애인과 주부양자의 특성, 사회적지지, 가족기능, 재활의 필요성 사이에 관련성" 대한통합의학회 6 (6): 171-182, 2018

      12 박선아,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능력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0 (20): 107-128, 2009

      13 전지혜,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지방자치단체 유사조례 간의 연계성과 자치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367-402, 2018

      14 김수현, "노화에 대한 기대수준이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37 (37): 932-940, 2007

      15 최인규, "고령친화 요양산업 활성화 정책의 인과구조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519-525, 2017

      16 김미옥, "거주시설 성인 지적장애인의 일상에 관한 연구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한 일상생활활동과 상호작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17-342, 2010

      17 Melville, C. A., "The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obesity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8 (8): 223-230, 2007

      18 Maulik, P. K., "Prevalence of intellectual disability : a meta-analysis of population-based studies" 32 (32): 419-436, 2011

      19 Nelson, M. E.,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in older adults : recommendation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116 (116): 1094-1105, 2007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 2014"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21 "NEWS"

      22 Buchner, D. M., "Evidence for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Leg Strength and Gait Speed" 25 (25): 386-391, 1996

      23 De Ligt, J., "Diagnostic Exome equencing in Person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y" 367 (367): 1921-1929, 2012

      24 이은희, "CO-OP 적용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과제수행력 변화: 사례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 (10): 351-360, 2016

      25 Bruckner, J., "Assessing the risk of falls in elder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19 (19): 206-211, 2003

      26 Fried, L. P., "A social model for health promotion for an aging population : initial evidence on the Experience Corps model" 81 (81): 64-78,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09-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영문명 :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 Korean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