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종교를 경험하는 것은 매우 다양한 양상에서 비롯되므로 한 두 가지의 카테고리로 설명하기란 쉽지 않지만 한가지 공통이 있다면 인간은 항상 성(聖)과 속(俗)을 구분하며 가능한 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이 종교를 경험하는 것은 매우 다양한 양상에서 비롯되므로 한 두 가지의 카테고리로 설명하기란 쉽지 않지만 한가지 공통이 있다면 인간은 항상 성(聖)과 속(俗)을 구분하며 가능한 한 ...
인간이 종교를 경험하는 것은 매우 다양한 양상에서 비롯되므로 한 두 가지의 카테고리로 설명하기란 쉽지 않지만 한가지 공통이 있다면 인간은 항상 성(聖)과 속(俗)을 구분하며 가능한 한 성과 가까이 있고자 한다는 것, 인간조건의 한계를 느끼고 막연하지만 구원을 갈망한 다는 것이다. 종교적 공간 또한 이러한 이유에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곳은 종교인들에게 육신과 정신을 속에서 성으로 정화시키는 유일한 장소였다.
일상적인 생활상을 초월한 특정영역과 관련되는 종교건축에서는 종교적 경험의 요구가 미적 경험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종교건축을 해석하는 일은 건축의 물리적인 분석에 부가하여 종교적 사유체계와 경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종교적 서사구조는 신에게로 다가가는 단계를 공간으로 규정지으며 공간의 위계를 표현한다.
종교개혁 이후 프로테스탄트의 출현은 성도간의 교재를 통한 공동체구현을 목표로 하였고 그로 인해 선교의 중요도가 커지면서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가까워졌다. 이에 따라 교회건축도 변화하였고 성스러운 공간으로 여겨지던 교회에 속 적인 것들이 투입되었다. 속 적인 것의 투입은 절대적인 성스러움의 공간까지 투입되어 공간의 위계가 사라지고 속을 성스러움으로 변화시킴이 아닌 성스러움의 공간을 속으로 변화시키는 현상을 보인다.
교회건축이 구축해야 할 성스러운 공간의 위계와 공동체라는 프로테스탄트 이념의 아이러니에 대한 해결을 위해 Narrative Structure를 삽입한다. 교회건축의 공간 구성은 Narrative Structure를 중심으로 구성됨으로서 공간의 진행에 따른 의미와 공간적 위계를 갖게 된다. 성과 속의 두 Narrative Structure를 대상지에 교차시킴으로 각각의 Garden을 생성시키고 성과 속의 충돌영역을 지정한다.
Narrative Structure로 구성되는 성과 속의 공간은 밝음과 어둠, 느림과 빠름의 공간으로 상반된 성격을 갖게 되며 성과 속의 충돌시 생기는 건축적 효과로 속의 공간에 성의 공간으로 인한 빛을 유입시켜 채광하게 함으로서 속의 공간을 성화시키는 효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Narrative Structure를 삽입하여 성과 속의 관계를 재설정하고 공간의 비균질성과 프로테스탄트의 공동체적 교리간의 아이러니를 해결하여 Nrrative Structure로 인한 건축의 가능성을 확인해본다. 성과 속의 충돌 범위와 충돌시 발생하는 건축적 효과를 실험하며 과정중에서 나타나는 성과 속의 분리와 교류에 대해 고찰하고 서사적 공간을 연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at human beings experience religion into one or two categories since various aspects cause it. However, one of the common features is that human beings have always distinguished sacred from profane and try to stay close to...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at human beings experience religion into one or two categories since various aspects cause it. However, one of the common features is that human beings have always distinguished sacred from profane and try to stay close to the sacred. That is to say, they feel their limit although it is quite vague; however, they desire for salvation. A religious place is valued for such reasons and it is the only place for religious people to purify their bodies and spirits, to move from the profane to the sacred.
In religious architecture, the requirement of religious experience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at of artistic experience. This religious experience is closely related to a certain area within the architecture, in which the experiences of normal daily life are surpas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thought system and the idea of religious experience along with a rigorous analysis of architecture in order to interpret religious architectures_. This narrative structure prescribes the steps to God and expresses the rank of the spaces.
With the appearance of the Protestants after the Reformation, new doctrine set a purpose of the embodiment of community through associating it with the sacred. Therefore, the architecture of thechurch was changed and the profane was slipped into the church, previously treated as a sacred place. The profane was brought into the space of the absolute sacred so that there was no longer any hierarchy of space. Eventually, it had the result of changing the sacred spaces into profane spaces, but not vice versa.
The Narrative Structure was conceived to solve the irony of the Protestant concept of the community and establish a ranking system of sacred space within the church architecture.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church architecture formed mainly alo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it obtained meaning and spatial rankings_ according to the spatial progression. It focused on the areas of collision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and produced a garden for each by cross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into the designated place.
The spaces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formed with the Narrative Structure were characterized by their opposite features such as brightness and darkness, slowness and fastness. They present the effect of the sacred on earthly space by light, with the light formed by the insertion of the sacred place into the profane space, produc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sacredand the profane.
This study uses the concept of Narrative Structure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and to solve the irony between Protestant religious doctrines_ and the inequality of the space within the church. Therefore, it confirms the possibility of an architecture created by a Narrative Structure. It experiments with the architectural effect and the range of possibilities when the sacred and profane collide and in the process it investigates the interchange and separation of the sacred and profane, creating the narrative space.
Mies van der Rohe의 근대건축에 관한 연구
루돌프 슈타이너 건축의 인지학(Anthroposophy)적 특성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