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百濟 王 · 侯制의 도입과 운영에 대한 試論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25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王 · 侯制의 도입 시점
      • Ⅲ. 王 · 侯制의 도입 배경
      • Ⅳ. 王 · 侯制의 운영 체계와 정치적 의미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王 · 侯制의 도입 시점
      • Ⅲ. 王 · 侯制의 도입 배경
      • Ⅳ. 王 · 侯制의 운영 체계와 정치적 의미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梁書"

      2 서영일, "한성 백제의 교통로 상실과 웅진천도" 서울역사편찬원 (72) : 41-76, 2008

      3 "풍납토성 백제초기 초석 건물지의 실체를 밝혀내다"

      4 정재윤, "특집 : 백제의 대외교류 ; 웅진시대(熊津時代) 백제(百濟)와 왜(倭)의 관계(關係)에 대한 예비적(豫備的) 고찰(考察) -『일본서기(日本書紀)』를 중심으로-" 백제문화연구소 (37) : 55-76, 2007

      5 양종국, "특집 : 백제의 대외교류 ; 웅진시대 백제와 중국" 백제문화연구소 (37) : 77-102, 2007

      6 정재윤, "웅진시대 백제 정치사의 전개와 그 특성" 西江大學校 2000

      7 張甫榮, "북위초기 정권의 성격과 통치방식의 변화 - 이중적 통치지배 방식과 관련하여" 11 : 2004

      8 이경복, "백제의 태안반도 진출과 서산 부장리 세력"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 : 5-37, 2009

      9 韓國上古史學會, "백제의 지방통치" 학연문화사 1998

      10 배재영, "백제의 부여 인식" 백제문화연구소 2 (2): 131-172, 2009

      1 "梁書"

      2 서영일, "한성 백제의 교통로 상실과 웅진천도" 서울역사편찬원 (72) : 41-76, 2008

      3 "풍납토성 백제초기 초석 건물지의 실체를 밝혀내다"

      4 정재윤, "특집 : 백제의 대외교류 ; 웅진시대(熊津時代) 백제(百濟)와 왜(倭)의 관계(關係)에 대한 예비적(豫備的) 고찰(考察) -『일본서기(日本書紀)』를 중심으로-" 백제문화연구소 (37) : 55-76, 2007

      5 양종국, "특집 : 백제의 대외교류 ; 웅진시대 백제와 중국" 백제문화연구소 (37) : 77-102, 2007

      6 정재윤, "웅진시대 백제 정치사의 전개와 그 특성" 西江大學校 2000

      7 張甫榮, "북위초기 정권의 성격과 통치방식의 변화 - 이중적 통치지배 방식과 관련하여" 11 : 2004

      8 이경복, "백제의 태안반도 진출과 서산 부장리 세력"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 : 5-37, 2009

      9 韓國上古史學會, "백제의 지방통치" 학연문화사 1998

      10 배재영, "백제의 부여 인식" 백제문화연구소 2 (2): 131-172, 2009

      11 車勇杰, "백제의 祭天祀地와 정치체제의 변화" 11 : 1978

      12 文安植, "백제의 王·侯制 施行과 地方統治方式의 變化" 27 : 2006

      13 文東錫, "백제 지배세력 연구" 혜안 2007

      14 김기섭, "백제 동성왕의 즉위와 정국 변화" 한국상고사학회 50 (50): 5-21, 2005

      15 정동준, "백제 담로제(檐魯制)의 역사적 위상에 대한 시론" 한국역사연구회 (79) : 189-229, 2011

      16 백길남, "백제 개로왕대 중국식 관작의 활용과 그 정치적 의의" 延世大學校 2008

      17 문안식, "고흥 길두리고분 출토 金銅冠과 백제의 王·侯制" 한국상고사학회 55 (55): 33-52, 2007

      18 문안식, "개로왕의 왕권강화와 국정운영의 변화에대하여-개로왕의 전제왕권 지향과 좌절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78) : 37-77, 2005

      19 兪元載, "魏虜의 百濟侵入 記事" 23 : 1992

      20 "魏書"

      21 李公範, "魏晉南北朝史" 지식산업사 2003

      22 조윤재, "高敞出土銅印考" 한국고고학회 (71) : 102-129, 2009

      23 千寬宇, "馬韓諸國의 位置試論" 9 : 1979

      24 李基白, "韓國史講座 1 - 古代篇" 一潮閣 1982

      25 李丙燾,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85

      26 박진숙, "長壽王代 高句麗의 對北魏外交와 百濟" 한국고대사학회 36 : 195-230, 2004

      27 박세이, "長壽王代 北燕民 刷還에 대한 一檢討" 백산학회 (86) : 119-149, 2010

      28 李周鉉, "軍府體制로 본 魏晉南北朝史" 38 : 1998

      29 金庠基, "百濟의 遼西經略에 對하여" 3 : 1967

      30 盧重國, "百濟의 食邑制에 대한 일고찰" 23 : 2000

      31 盧重國, "百濟의 貴族家門 硏究 - 木劦(木)氏 세력을 중심으로" 48 : 1994

      32 노중국, "百濟의 王·侯號, 將軍號制와 그 運營" 백제연구소 (55) : 225-250, 2012

      33 李南奭, "百濟의 橫穴式石室墳 受容樣相에 대하여" 16 : 1999

      34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百濟의 中央과 地方"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97

      35 盧重國, "百濟王室의 南遷과 支配勢力의 變遷" 4 : 1978

      36 정치영, "百濟漢城期瓦當의 形成과 系統" 한국상고사학회 64 (64): 93-122, 2009

      37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百濟文化史大系 硏究叢書"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38 盧重國, "百濟政治史硏究 - 國家形成과 支配體制의 變遷을 中心으로" 一潮閣 1988

      39 梁起錫, "百濟專制王權成立過程硏究" 檀國大學校 1990

      40 姜鐘薰, "百濟大陸進出說의 諸問題" 14 : 1992

      41 今西龍, "百濟史硏究" 近澤書店 1934

      42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百濟史上의 戰爭"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99

      43 坂元義種, "百濟史の硏究" 塙書房 1978

      44 李鎔彬, "百濟 蓋鹵王의 卽位와 政治變革" 4 : 1992

      45 文東錫, "百濟 腆支王·蓋鹵王代 王族의 擡頭와 王權强化" 24 : 2006

      46 兪元載, "百濟 湯井城 硏究" 3 : 1992

      47 김병남, "百濟 東城王代의 대외 진출과 영역의 확대" 22 : 2003

      48 南亨宗, "百濟 東城王代 支配勢力의 動向과 王權의 安定" 3 : 1993

      49 朴眞淑, "百濟 東城王代 對外政策의 變化" 32 : 2000

      50 李明揆, "百濟 對外關係에 관한 一試論" 37 : 1983

      51 金英心, "百濟 地方統治體制 연구 : 5-7세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7

      52 朴賢淑, "百濟 地方統治體制 연구" 高麗大學校 1997

      53 李鎔彬, "百濟 地方統治制度 硏究 - 檐魯制를 中心으로" 서경 2002

      54 최인선, "熊津時期 百濟기와의 特徵과 成立過程 - 연화문와당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사학회 (35) : 75-96, 2011

      55 梁起錫, "熊津時代의 百濟 支配層 硏究" 14 : 1980

      56 李基白, "熊津時代 百濟의 貴族勢力" 9 : 1978

      57 李根雨, "熊津時代 百濟의 南方境域에 대하여" 27 : 1997

      58 姜孟山, "熊津時代 百濟와 中國과의 關係" 25 : 1997

      59 鄭載潤, "熊津·泗沘時代 百濟의 地方統治體制" 10 : 1992

      60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漢城百濟史"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8

      61 李道學, "漢城末·熊津時代 百濟王位繼承과 王權의 性格" 50·51 : 1985

      62 鄭載潤, "東城王의 卽位와 政局 運營" 20 : 2000

      63 "日本書紀"

      64 "宋書"

      65 金翰奎, "古代東亞細亞幕府體制硏究" 一潮閣 1997

      66 坂元義種, "古代東アジアの日本と朝鮮" 吉川弘文館 1978

      67 李道學, "古代國家의 成長과 交通路" 74 : 1997

      68 "南齊書"

      69 船木勝馬, "北魏封建制における州郡縣の設置について" 24 : 1970

      70 權五榮, "初期百濟의 成長過程에 관한 一考察" 15 : 1986

      71 岡田英弘, "倭國 - 東アジア世界の中で" 中央公論社 1977

      72 末松保和, "任那興亡史" 吉川弘文館 1956

      73 延敏洙, "五世紀後半 百濟와 倭國 - 昆支의 행적과 東聖王의 卽位事情을 중심으로" 13 : 1994

      74 梁起錫, "五世紀 百濟의 ‘王’·‘侯’·‘太守’制에 對하여" 38 : 1984

      75 宮崎市定, "九品官人法の硏究 - 科擧前史" 同朋舍 1977

      76 李基東, "中國史書에 보이는 百濟王 牟都에 대하여" 62 : 1974

      77 金鍾完, "中國南北朝硏究 - 朝貢·交聘關係를 中心으로" 一潮閣 1995

      78 최진열, "中國 周邊國이 수용한 ‘王’의 이미지 ― 北朝의 異姓王 濫封과 百濟新羅의 複數王출현현상의 비교사적 이해 ―" 중국고중세사학회 (17) : 173-225, 2007

      79 池培善, "中世東北亞史硏究 - 慕容王國史" 一潮閣 1986

      80 池培善, "中世 中國史 硏究 - 慕容燕과 北燕史"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81 "三國志"

      82 "三國史記"

      83 金英心, "6~7세기 百濟의 地方統治體制 - 地方官을 중심으로" 11 : 1997

      84 문동석, "5~6세기 백제의 지배세력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55) : 173-210, 2005

      85 金英心, "5~6세기 百濟의 地方統治體制" 22 : 1990

      86 盧泰敦, "5~6世紀 東아시아의 國際情勢와 高句麗의 對外關係" 44 : 1984

      87 盧重國, "4~5세기 백제의 성장·발전과 삼국의 각축 - 개로왕 국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66 : 2005

      88 盧重國, "4~5世紀 百濟의 政治運營" 6 : 1994

      89 文東錫, "4~5世紀 百濟 政治體制의 變動" 9 :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2.615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