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서론
- Ⅱ. 강화교섭을 둘러싼 정치 분쟁
- Ⅲ. 일본에 대한 책봉 결정
- Ⅳ. 조선의 고립과 돌파구의 모색
- Ⅴ. 결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52589
2014
Korean
임진전쟁 ; 임진왜란 ; 강화교섭 ; 송응창 ; 신종(만력제) ; 조선사절책봉 ; Imjin War ; Imjin Waeran ; Peace negotiation ; Song Yingchang ; Shenzong(Wanli) ; Joseon envoy ; Investiture of Toyotomi Hideyoshi
911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57-105(49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기타지마 만지, "한일 교류와 상극의 역사" 경인문화사 2010
2 박수철,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일조각 2006
3 김경태, "임진전쟁기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강화조건 연구" 조선시대사학회 (68) : 81-107, 2014
4 김경태, "임진전쟁기 강화교섭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5 김경태, "임진전쟁 초기의 군량 문제와 강화교섭 논의" 호서사학회 (70) : 37-72, 2014
6 韓明基, "임진왜란기 明·日의 협상에 관한 연구 ―명의 강화 집착과 조선과의 갈등을 중심으로" 98 : 2002
7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8 이계황, "임진왜란과 강화교섭 - 쓰시마번과 고니시 유키나가를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85-110, 2013
9 케네스 M. 스워프,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2007
10 최소자, "명청시대 중·한관계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7
1 기타지마 만지, "한일 교류와 상극의 역사" 경인문화사 2010
2 박수철,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일조각 2006
3 김경태, "임진전쟁기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강화조건 연구" 조선시대사학회 (68) : 81-107, 2014
4 김경태, "임진전쟁기 강화교섭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5 김경태, "임진전쟁 초기의 군량 문제와 강화교섭 논의" 호서사학회 (70) : 37-72, 2014
6 韓明基, "임진왜란기 明·日의 협상에 관한 연구 ―명의 강화 집착과 조선과의 갈등을 중심으로" 98 : 2002
7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8 이계황, "임진왜란과 강화교섭 - 쓰시마번과 고니시 유키나가를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85-110, 2013
9 케네스 M. 스워프, "임진왜란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2007
10 최소자, "명청시대 중·한관계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7
11 하우봉, "동아시아 국제전쟁으로서의 임진전쟁" 한일관계사학회 (39) : 331-368, 2011
12 김문자, "기억의 전쟁 현대 일본의 역사인식과 한일관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13 柳成龍, "국역 진사록" 서애선생 기념사업회 2001
14 柳成龍, "국역 근폭집" 서애선생 기념사업회 2001
15 跡部信, "豊臣政權の對外構想と秩序觀" 585 : 2011
16 "萬曆疏鈔(續修四庫全書 史部 詔令奏議類)"
17 中野等, "秀吉の軍令と大陸侵略" 吉川弘文館 2006
18 管寧, "秀吉の朝鮮侵略と許儀後" 298 : 1987
19 三木聰, "福建巡撫許孚遠の謀略 ―豊臣秀吉の 「征明」をめぐって―" 4 : 1996
20 "神宗實錄"
21 崔韶子, "明末·淸初社會의 照明" 한울 1990
22 李啓煌, "文禄·慶長の役と東アジア" 臨川書店 1997
23 金文子, "文祿·慶長期における日明和議交涉と朝鮮" お茶の水女子大學 1996
24 許孚遠, "敬和堂集 明經世文編 권400"
25 山本博文, "幕藩制の成立と近世の國制" 校倉書房 1990
26 小野和子, "山根幸夫敎授退休記念 明代史論叢" 汲古書院 1990
27 "宣祖實錄"
28 "宣祖修正實錄"
29 權重憲, "壬辰倭亂을 中心으로 한 三國(韓·中·日)의 外交關係" 慶熙大學校 大學院 3 : 1976
30 孫鍾聲, "壬辰倭亂時 對明外交 ―請兵外交를 중심으로―" 14 : 1990
31 崔永禧, "壬辰倭亂中의 對明事大에 대하여" 18 : 1964
32 韓明基, "壬辰倭亂 史料叢書-對明外交" 亞細亞文化社 2002
33 佐島顕子, "壬辰倭乱講和の破綻をめぐって" 4 : 1994
34 崔韶子, "壬辰亂時 明의 派兵에 대한 論考(一) ―派兵의 背景과 軍事活動에 대한 評價―" 11 : 1977
35 劉九成, "壬亂時 明兵의 來援考 ―朝鮮의 被害를 中心으로―" 20 : 1976
36 李載浩, "壬亂 義兵의 一考察" 35·36 : 1967
37 "四庫全書存目叢書"
38 柳承宙, "千寬宇先生還曆紀念 韓國史學論叢" 正音文化社 1985
39 岡野昌子, "中山八郞敎授頌壽記念 明淸史論叢" 燎原書店 1977
40 曺永祿, "中國近世政治史硏究 ―明代 科道官의 言官的 機能―" 지식산업사 1988
41 三木聰, "万曆封倭考(その2) ―万曆24年五月の九卿·科道會議をめぐって―" 113 : 2004
42 三木聰, "万曆封倭考(その1) ―万曆22年五月の「封貢」中止をめぐって―" 109 : 2004
43 차혜원, "丁酉再亂期 明朝의 派兵 決定과 ‘公議’ -<文興君控于錄>을 中心으로-" 중국사학회 (69) : 239-272, 2010
44 Kenneth M. Swope, "A Dragon's Head and a Serpent's Tail: Ming China and the First Great East Asian War"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592-1598, 2009
45 米谷均, "<全浙兵制考>『近報倭警』에서 본 日本情報" 한일관계사학회 (20) : 2004
46 米谷均, "8-17世紀の東アジア地域における人·物·情報の交流 : 海域と港市の形成, 民族·地域間の相互認識を中心に" 東京大學大學院人文社會系研究科 2004
47 김기봉, "1592년 전쟁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 - 문명사적 관점에서의 성찰 -" 한국사학사학회 (26) : 61-86, 2012
48 李相佰, "(震檀學會)韓國史 近世前期篇" 乙酉文化史 1962
49 方相鉉, "(水邨朴永錫敎授華甲紀念) 韓國史學論叢 上" 探求堂 1992
50 佐賀縣立名護屋城博物館, "(佐賀縣立名護屋城博物館·韓國國立晉州博物館學術交流記念 特別企劃展) 秀吉と文祿·慶長の役"
51 宋應昌, "(中國文獻珍本叢書)朝鮮史料匯編" 全國圖書館文獻 縮微復制中心 2004
52 한명기, "'난동', '정벌', '원조'를 넘어 -'임진왜란'을 부르는 동아시아 공통의 용어를 위하여" 83 : 2008
대구월촌지역 단양우씨 종계답 척매사건을 둘러싼 분쟁에 대하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5 | 1.15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1 | 1.16 | 2.615 | 0.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