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현주,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단양군의 산림 탄소저장량 추정 - 지상부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16-33, 2012
2 김현옥, "초등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본 서울시 도시녹지 현황 분석 및 고찰 - 원격탐사 방법을 이용한 식생분류 -" 한국조경학회 40 (40): 8-18, 2012
3 김경민, "임상도와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림탄소저장량 추정 방법 비교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31 (31): 449-459, 2015
4 정재훈,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상부 산림바이오매스 탄소량 추정- k-Nearest Neighbor 및 Regression Tree Analysis 방법의 비교 분석 -" 대한원격탐사학회 30 (30): 651-664, 2014
5 조현길, "수변구역 조성녹지의 탄소저감 효과 및 증진방안" 한국조경학회 43 (43): 16-24, 2015
6 김경순, "서울의 두 도시 근린공원에서 평가된 탄소수지" 한국하천호수학회 49 (49): 51-61, 2016
7 조웅현, "서울시 도시녹지의 대기정화효과"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5 (5): 51-60, 2002
8 손영모, "서울시 가로수의 재적식 개발 및 탄소저장량 평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50 (50): 95-104, 2016
9 김성훈, "산림의 CO2 흡수량 평가를 위한 통계 및 공간자료의 활용성 검토- 안산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7 (27): 124-138, 2018
10 박석철, "도시생물다양성 지수(CBI) 중 생태네트워크 산정을 위한 도시생태현황지도 및 토지피복지도 활용 가능성 연구" 한국조경학회 44 (44): 73-83, 2016
1 박현주,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단양군의 산림 탄소저장량 추정 - 지상부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16-33, 2012
2 김현옥, "초등학교 주변을 중심으로 본 서울시 도시녹지 현황 분석 및 고찰 - 원격탐사 방법을 이용한 식생분류 -" 한국조경학회 40 (40): 8-18, 2012
3 김경민, "임상도와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림탄소저장량 추정 방법 비교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31 (31): 449-459, 2015
4 정재훈,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상부 산림바이오매스 탄소량 추정- k-Nearest Neighbor 및 Regression Tree Analysis 방법의 비교 분석 -" 대한원격탐사학회 30 (30): 651-664, 2014
5 조현길, "수변구역 조성녹지의 탄소저감 효과 및 증진방안" 한국조경학회 43 (43): 16-24, 2015
6 김경순, "서울의 두 도시 근린공원에서 평가된 탄소수지" 한국하천호수학회 49 (49): 51-61, 2016
7 조웅현, "서울시 도시녹지의 대기정화효과"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5 (5): 51-60, 2002
8 손영모, "서울시 가로수의 재적식 개발 및 탄소저장량 평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50 (50): 95-104, 2016
9 김성훈, "산림의 CO2 흡수량 평가를 위한 통계 및 공간자료의 활용성 검토- 안산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7 (27): 124-138, 2018
10 박석철, "도시생물다양성 지수(CBI) 중 생태네트워크 산정을 위한 도시생태현황지도 및 토지피복지도 활용 가능성 연구" 한국조경학회 44 (44): 73-83, 2016
11 조현길, "도시녹지의 대기환경개선 효과 - 서울시 중구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 31 (31): 83-90, 2003
12 한미경, "도시공원 식재유형별 탄소저장량, 연간 탄소흡수량 및 토양호흡량 비교 - 천안시 두정공원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8 (28): 142-149, 2014
13 이우성, "도시공간의 통합적 녹지환경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17 (17): 15-31, 2014
14 박효석, "도시 그린인프라 확충에 따른 탄소저감 증진효과 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7 (27): 1-23, 2014
15 이정희, "다시기 Landsat TM 영상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산림탄소저장량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8 (18): 81-99, 2015
16 서연옥,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활용한 리기다소나무림의 탄소 저장량에 대한 공간분포도 작성: 무주군의 사례로" 한국산림과학회 106 (106): 258-266, 2017
17 김경민, "국가산림자원조사 DB와 임상도를 이용한 산림탄소저장량 공간분포 추정방법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 17 (17): 69-85, 2014
18 "https://www.nsdi.go.kr"
19 "https://www.map.ngii.go.kr"
20 "https://www.geofocus.kr"
21 "https://www.egis.me.go.kr"
22 Johannes Schreyer, "Using Airborne LiDAR and QuickBird Data for Modelling Urban Tree Carbon Storage and Its Distribution—A Case Study of Berlin" MDPI AG 6 (6): 10636-10655, 2014
23 Jennifer R. Wolch, "Urban green space,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justice: The challenge of making cities ‘just green enough’" Elsevier BV 125 : 234-244, 2014
24 Korea Forest Service, "Urban forest basic plan(revised)" 2013
25 정승규, "Urban Tree Canopy Classification Using Remote Sensing" 인간식물환경학회 19 (19): 1-7, 2016
26 Korea Forest Service, "Urban Forest Statistics" 2014
27 Korea Forest Service, "Urban Forest Statistics" 2016
28 David J. Nowak, "Tree and forest effects on air quality and human health in the United States" Elsevier BV 193 : 119-129, 2014
29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The Lungs of the City, Urban Forests" 2016
30 Park MW, "Study on the estimated carbon uptake of the city street trees and increase carbon uptake by improving species" Hoseo University 2015
31 Jo HK, "Role of Atmospheric Purification by Trees in Urban Ecosystem -In the Case of Yongin-" 29 (29): 38-45, 2001
32 Kim C., "Research on Carbon Sequestration of Urban Park -In the Case of Nadry Park in Pangyo-" Kyungwon University 2011
33 Park EJ., "Quantification of $CO_2$ Uptake by Urban Trees and Greenspace Management for C Sequestration" 2009
34 C.L. Brack, "Pollution mitigation and carbon sequestration by an urban forest" Elsevier BV 116 : S195-S200, 2002
3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id & Long-Term Promotion Planning of Biotope Mapping" 2013
36 Jang YJ, "Legal Improvements for Cre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 27 (27): 100-100, 2017
37 김기태, "KOMPSAT-2호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지역 탄소저장량 추정" 대한공간정보학회 19 (19): 49-54, 2011
38 Alex Y. Lo, "How climate change perception is reshaping attitudes towards the functional benefits of urban trees and green space: Lessons from Hong Kong" Elsevier BV 23 : 74-83, 2017
39 Ministry of Environmental, "Guidelines for Construction of Land Cover Map" 2013
40 Ministry of Environmental, "Guidelines for Construction of Biotope Map" 2013
41 IPCC,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Chapter 3.6 Settlements"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2003
42 Zhu Z, "Forest density mapping in the lower 48 states: a regression procedur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Southern Forest Experiment Station 1994
43 Brennan M, "Dublin Tree Canopy Study" 2017
44 David J. Nowak,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by urban trees in the USA" Elsevier BV 116 (116): 381-389, 2002
45 David J. Nowak,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by trees in urban and community areas of the United States" Elsevier BV 178 : 229-236, 2013
46 Jo HK, "Carbon Uptake and Emissions in Urban Landscape and the Role of Urban Greenspace for Several Cities in Kangwon Province" 27 (27): 39-53, 1999
47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Carbon Friendly Urban Forest" 2012
48 T Elmqvist, "Benefits of restoring ecosystem services in urban areas" Elsevier BV 14 : 101-108, 2015
49 Ansan-si, "Basic Plan for Urban Forest Creation and Management" 2015
50 Kim HJ, "An Analysis of the Amounts of Carbon Dioxide Emission and Absorption of Urban Neighborhood Park Considering the Life Cycle of Plants and Facilities -In the case of Seoul-" Hanyang University 2016
51 E. Gregory McPherson, "A new approach to quantify and map carbon stored, sequestered and emissions avoided by urban forests" Elsevier BV 120 : 70-84, 2013
52 Hwang JW,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arbon Dioxide Sequestration of Urban Park -The Case Study of Seoul Forest Park-" Hanyang University 2012
53 Ministry of Environmental, "3rd Establishment of Basic Plan for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2016-2025)" 2015
54 Korea Forest Service, "1st Forest Carbon Sink Enhancement Plan"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