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저출산 및 평균수명 증가로 인해 급격한 고령화가 예정되어 있는 한국의 노동생산성 저하에 대한 대안으로써 장애근로자의 재택근무 생산성 향상에 주목하였다. 노동인구 감소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30031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97-406(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저출산 및 평균수명 증가로 인해 급격한 고령화가 예정되어 있는 한국의 노동생산성 저하에 대한 대안으로써 장애근로자의 재택근무 생산성 향상에 주목하였다. 노동인구 감소와...
본 연구는 저출산 및 평균수명 증가로 인해 급격한 고령화가 예정되어 있는 한국의 노동생산성 저하에 대한 대안으로써 장애근로자의 재택근무 생산성 향상에 주목하였다. 노동인구 감소와 더불어 장애인 비율 증가로 인해 장애근로자들의 고용기회 증대 및 생산성 향상은 국가의 미래 경쟁력에 불가피한 선택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장애근로자들의 고용 기회 및 생산성 증진을 위해 재택근무 환경의 확대는 필수적이다. 장애근로자 재택근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인 직무 스트레스 완화에 자원을 투입할 필요성이 있다. 장애근로자의 직무 특성, 장애 특성별 직무 스트레스와 증후군들을 조사, 분류, 유형화하고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XR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치료제들을 사례 분석함으로써 근무 생산성을 저해하는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방지 및 완화할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elecommuting for disabled workers as an alternative to the decline in labor productivity in Korea, which is expected to rapidly age due to low birth rates and increased life expectancy. As the labor...
This study focused on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elecommuting for disabled workers as an alternative to the decline in labor productivity in Korea, which is expected to rapidly age due to low birth rates and increased life expectancy. As the labor force decreases and the proportion of disabled people increases, increasing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improving productivity for disabled workers is an inevitable choice for the futur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Expanding the telecommuting environment is essential to increase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productivity for disabled workers. It is necessary to invest resources in alleviating job stress, which is a factor that reduces the productivity of disabled workers working from home. By investigating, classifying, and categorizing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and syndromes of disabled workers by disability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cases of digital therapeutics utilizing XR technology currently being commercialize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digital therapeutics that prevent and alleviate job stress factors that impede work productivity.
지역생활권의 근린환경이 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I기반 비형식 학습에 참여하는 중국 대학생들의 행위 요인 분석: MOA이론을 중심으로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에 대한 비현실적 낙관 경향: 불안 수준과 심리적 거리감이 감염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