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의 한국강점에 대한 일본 언론의 동향 -일본 잡지 『太陽』ㆍ『日本及日本人』ㆍ『中央公論』을 중심으로- = A Tendency of Japanese Public Opinion in contrast to Korean Annex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9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ecognition about Korean Annex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demonstrated in the Magazine 『太陽』,『日本及日本人』,『中央公論』. These Magazines are representing Japanes Press in maiji peri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ecognition about Korean Annex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demonstrated in the Magazine 『太陽』,『日本及日本人』,『中央公論』.
      These Magazines are representing Japanes Press in maiji period. Especially these Magazines are all-around magazines. They asked more powerful control to korean resistsnces against Japan & Japanese and insist immediate Korean Annex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lso, these Magazines claimed that the ‘legitimacy’, ‘Justification’, even though Korean Annex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by force is ‘Inevitabile’. It was based on contempt for Korea & Koreans. And these Magazines distorted Korean History, especially the ancient history, and asserted that the Korea & Korean have no experience of Independence in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05년 일본은 러일 전쟁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전후 악화된 재정 상태와 국제관계를 고려하여 급진적인 한국 병합책에 신중한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즉, 적어도 협약이라는 형식을 갖춤으로...

      1905년 일본은 러일 전쟁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전후 악화된 재정 상태와 국제관계를 고려하여 급진적인 한국 병합책에 신중한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즉, 적어도 협약이라는 형식을 갖춤으로써 합법적으로 한국을 병합했다는 모양새를 갖추어 강제 병합의 원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해 놓고, 자연스런 병탄의 결실을 맺도록 하는 일이었다.
      또한 일본 국내의 일간지 및 종합계간지 등 언론을 총동원하고, 한국 내 민족 언론을 통제함으로써 일본의 한국 병합이 합법적이고 더 나아가 시혜적이라는 이미지를 창출해 내는 것, 한국의 과거사를 왜곡하여 이미 고대부터 한국이 일본의 속국 내지 영향력 내에 있었음을 주장하고 유포하는 것, 한국민을 자립할 수 없는 노예적 속성을 가진 미숙아로 왜곡하는 것 등 강제 병합을 합법화시키기 위한 추상적인 역사, 문화적 식민화가 전개되었다. 이 문화적 식민화의 장은 일본의 언론계에서 활동하던 문필가, 신문기자와 역사 및 각 분야의 전문 학자를 동원하여 개인저술의 역사서, 신문 및 잡지 기고문, 소설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이 중에서도 그 파급 효과가 가장 컸던 것은 메이지明治시기 일본의 대중적 여론을 주도해 나간 일본의 대표적 일간지들과 종합잡지, 한국 내 일본인 언론 등이었다.
      이 같은 문화적 식민화를 주도한 대표적 일본 내 종합잡지가 『太陽』,『日本及日本人』,『中央公論』 등이다. 물론 한국 내 일본인 잡지 『朝鮮』 역시 같은 역할을 담당하였었다. 본 고찰에서는 일본 내 종합잡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3개의 잡지 가운데 『太陽』이 가장 한국관계 기사를 많이 실고 있다. 그러나 이 3개 잡지의 기고자들이 같은 인물인 경우가 많아 그 논조가 매우 비슷하다.
      이들 잡지의 기고문들은 주로 일본 내에서 대표적인 학자, 기업가, 정치가의 글들로 이들의 글은 그대로 식민정책 입안에 적극 반영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 자체가 식민정책을 입안하고, 실행에 옮긴 장본인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太陽』,『日本及日本人』,『中央公論』 등의 대한식민정책 및 병합론에 대한 분석은 당시 일본 제국주의의 병합론과 일치한다고도 볼 수 있다. 물론 일본 내 가장 유력했던 계간지들로서 민간인들에 대한 파급효과 역시 컸다.
      이들 잡지들은 이토 히로부미의 통감정치가 즉각적 병합을 하지 않고, 한국을 보호국화 하려 한다고 비난하였고, 병합의 시기 및 방법에 있어서도 직접적인 즉각 병합을 주장하였다. 또한 한국 병합을 전후하여 병합의 정당성과 합법성, 필연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한국의 역사가 고대부터 이미 일본의 지배를 받은 경험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한국은 독립한 적이 없는 나라라고 왜곡하였다. 더 나아가 민족성에 대한 폄하를 지속적으로 게재하여 일본의 한국 병합은 오히려 한국민을 근대 국가로 이끄는 특혜였다고 까지 주장하고 있다. 병합 이후에는 구체적인 식민통치 방식으로 동화를 주장하고 있는데, 그것은 표면적인 동화를 내건 실질적인 차별의 식민통치책이었다. 일본의 종합잡지들은 이러한 논지 전개면에서 투고자 및 인터뷰 주체가 동일인인 경우가 많았고, 또한 잡지들의 논조 자체도 한국병합을 정당화하기 위한 정책적 선전의 성격을 띠어 대동소이하게 모두 한국병합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山邊健太郞, "한일병합사" 범우사 1982

      2 이태진, "한국병합조약인가, 한일합방조약인가?" 역사문제연구소 (75) : 280-285, 2006

      3 이태진, "한국병합의 불법성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4 이태진, "한국병합과 현대:역사적 국제법적 재검토" 태학사 2009

      5 운노 후쿠쥬, "한국 병합사 연구" 논형 2008

      6 한명근, "통감부 시기 일제의 침략론 - 병합론을 중심으로" 국사편찬위원회 90 : 2000

      7 정재정, "일제의 한국 강점의 역사적 성격" 한국사연구회 114 : 2001

      8 호사카 유우지, "일본제국주의의 민족동화정책 분석" 재이앤씨 2002

      9 이태진, "일본의 대한제국 국권 침탈과 조약 강제 : 한국병합 불성립을 논함 , 한국사시민강좌 19집" 일조각 1996

      10 강동진, "일본 언론계의 한국관" 일지사 1982

      1 山邊健太郞, "한일병합사" 범우사 1982

      2 이태진, "한국병합조약인가, 한일합방조약인가?" 역사문제연구소 (75) : 280-285, 2006

      3 이태진, "한국병합의 불법성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4 이태진, "한국병합과 현대:역사적 국제법적 재검토" 태학사 2009

      5 운노 후쿠쥬, "한국 병합사 연구" 논형 2008

      6 한명근, "통감부 시기 일제의 침략론 - 병합론을 중심으로" 국사편찬위원회 90 : 2000

      7 정재정, "일제의 한국 강점의 역사적 성격" 한국사연구회 114 : 2001

      8 호사카 유우지, "일본제국주의의 민족동화정책 분석" 재이앤씨 2002

      9 이태진, "일본의 대한제국 국권 침탈과 조약 강제 : 한국병합 불성립을 논함 , 한국사시민강좌 19집" 일조각 1996

      10 강동진, "일본 언론계의 한국관" 일지사 1982

      11 강동진, "일본 언론계와 朝鮮: 1910~1945" 지식산업사 1987

      12 이상찬, "을사조약과 병합조약은 성립하지 않았다" 역사문제연구소 31 : 1995

      13 황미주, "근대 일본잡지를 통해 본 일본인의 한국인식" 대한일어일문학회 (34) : 253-266, 2007

      14 朝鮮總督府, "韓國倂合眞末書, 韓國倂合の趣旨, 韓國之倂合と國史" 龍溪書舍 1995

      15 田中隆一, "韓國倂合と天皇恩赦大權" 日本歷史學會 602 : 1998

      16 荒木和博, "韓國で出版された日韓倂合を祝福する本の衝擊" サンケイ新聞社 358 : 2002

      17 琴秉洞, "雜誌にみる近代日本の朝鮮認識" 綠陰書房 1999

      18 나가미네 시게토시, "雜誌と讀者の近代" 日本エデイタスケル출판부 1997

      19 鈴木正節, "雜誌 太陽 と國民文化の形成" 思文閣 2001

      20 里上龍平, "近代日本の朝鮮認識 , 近代日本のアジア認識" 綠陰書房 1996

      21 釋尾春芿, "朝鮮倂合史" 朝鮮及滿洲社 1926

      22 小松綠, "朝鮮倂合之裏面" 中外新論社 1920

      23 조선총독부, "朝鮮の保護及び倂合" 龍溪書舍 1918

      24 中島智枝子, "日韓倂合をめぐる綜合雜誌の論調について- 日本及日本人 , 太陽 , 中央公論 をとおして-" 部落解放硏究所 3 : 1974

      25 荒木和博, "日韓倂合の再評價なくして韓國の未來はない" 現代コリア硏究所 422 : 2002

      26 政敎社, "日本及日本人" 政敎社

      27 鹿野政直, "太陽 -主として明治期における-" 岩波書店 1961

      28 博文館, "太陽" 博文館

      29 鈴木正節, "博文館 太陽 の硏究" アジア經濟硏究所 1979

      30 琴秉洞, "乙巳保護條約の强制調印と問題點 , 日韓協約と韓國倂合" 明石書店 1995

      31 中央公論社, "中央公論" 中央公論社

      32 김익한, "1910년 전후 산현, 이등계의 대한정책기조와 종교정책" 한국사연구회 114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