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공직윤리제도의 제도적 중층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958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 입장에서 공직윤리제도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공직윤 리는 정부신뢰, 정부경쟁력 강화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공직윤리 제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공직윤리제도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한다는 관점에서 이 연구의 의미가 있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공직윤리제도는 Thelen(2003)의 논의 처럼, 어떤 역사적 사건에 의한 단절적 균형(punctuated equilibrium)을 경험했다고 하기 보다는 기존의 제도를 수렴하고 견고화 하면서도, 내재되어 있는 비리나 부패를 바로잡기 위한 새로운 제도를 생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도적 중층성(institutional layering)의 형태로 변화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공직윤리제도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고위관료들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금품 수수, 향응 등 비리와 부패 뿐만 아니라 6~7급 등 중·하위직의 비리와 부패 비율도 지속적으로 높은 상황에서 공직윤리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결국 공직윤리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제도를 통해 공직윤리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 및 기반을 정립하는 것 역시 필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개인적 차원에서 공직윤리를 확보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직윤리제도는 공직자로서의 바람직한 행동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예방적인 성격으로 제도화되어야 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공직자 스스로의 윤리성을 함양시켜야 할 뿐 아니라, 합리적인 보수체계 혹은 인센티브도 함께 제공되어야 할것이다. 마지막으로 국민들의 공직에 대한 많은 관심과 투명한 정․관계 협력을 통해 이러한 관행이 사라질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 입장에서 공직윤리제도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공직윤 리는 정부신뢰, 정부경쟁력 강화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공직윤...

      이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 입장에서 공직윤리제도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공직윤 리는 정부신뢰, 정부경쟁력 강화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공직윤리 제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공직윤리제도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한다는 관점에서 이 연구의 의미가 있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공직윤리제도는 Thelen(2003)의 논의 처럼, 어떤 역사적 사건에 의한 단절적 균형(punctuated equilibrium)을 경험했다고 하기 보다는 기존의 제도를 수렴하고 견고화 하면서도, 내재되어 있는 비리나 부패를 바로잡기 위한 새로운 제도를 생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도적 중층성(institutional layering)의 형태로 변화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공직윤리제도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고위관료들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금품 수수, 향응 등 비리와 부패 뿐만 아니라 6~7급 등 중·하위직의 비리와 부패 비율도 지속적으로 높은 상황에서 공직윤리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결국 공직윤리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제도를 통해 공직윤리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 및 기반을 정립하는 것 역시 필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개인적 차원에서 공직윤리를 확보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직윤리제도는 공직자로서의 바람직한 행동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예방적인 성격으로 제도화되어야 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공직자 스스로의 윤리성을 함양시켜야 할 뿐 아니라, 합리적인 보수체계 혹은 인센티브도 함께 제공되어야 할것이다. 마지막으로 국민들의 공직에 대한 많은 관심과 투명한 정․관계 협력을 통해 이러한 관행이 사라질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분석틀
      • Ⅳ. 우리나라 행정개혁에 따른 공직윤리제도의 변화 분석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논의
      • Ⅲ. 분석틀
      • Ⅳ. 우리나라 행정개혁에 따른 공직윤리제도의 변화 분석
      •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정, "환경변화에 따른 직무감찰체계 개선방안" 감사원 감사연구원 2012

      2 전수일, "행정윤리의 분석시각: 개념과 효과" 2001

      3 오석홍, "행정개혁의 목표상태" 28 (28): 1994

      4 김운태, "행정개혁론" 법문사 1994

      5 최창수, "행정개혁, 절반의 성공: 신제도주의 동형화 관점에서의 사례분석" 서울행정학회 19 (19): 1-23, 2008

      6 신윤창, "한국정부의 행정개혁에 관한 탐색적 연구" 7 (7): 2009

      7 홍현선, "한국의 행정발전과정과 반부패시책" (171) : 2010

      8 이신행, "한국의 사회 운동과 정치 변동: 87년 6월 항쟁과 90년대 한국의 사회운동" 민음사 1997

      9 양현모, "한국과 중국의 행정개혁 비교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999

      10 오석홍, "한국 정부의 행정쇄신에 관한 연구" 15 (15): 1997

      1 박희정, "환경변화에 따른 직무감찰체계 개선방안" 감사원 감사연구원 2012

      2 전수일, "행정윤리의 분석시각: 개념과 효과" 2001

      3 오석홍, "행정개혁의 목표상태" 28 (28): 1994

      4 김운태, "행정개혁론" 법문사 1994

      5 최창수, "행정개혁, 절반의 성공: 신제도주의 동형화 관점에서의 사례분석" 서울행정학회 19 (19): 1-23, 2008

      6 신윤창, "한국정부의 행정개혁에 관한 탐색적 연구" 7 (7): 2009

      7 홍현선, "한국의 행정발전과정과 반부패시책" (171) : 2010

      8 이신행, "한국의 사회 운동과 정치 변동: 87년 6월 항쟁과 90년대 한국의 사회운동" 민음사 1997

      9 양현모, "한국과 중국의 행정개혁 비교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999

      10 오석홍, "한국 정부의 행정쇄신에 관한 연구" 15 (15): 1997

      11 구재현, "토정 이지함의 행정철학과 공직윤리" 경인행정학회 10 (10): 119-135, 2010

      12 권해수, "참여정부 행정개혁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행정학회 16 (16): 35-56, 2005

      13 정희태, "제4장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정치철학을 통해 본 공직윤리 연구 -『목민심서』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사상학회 4 (4): 121-154, 2010

      14 정의창, "정부조직개편의 역사제도주의적 분석: 김대중 정부의 사례" 한국정책과학학회 10 (10): 1-25, 2006

      15 김보은, "정부의 반부패 제도변화에 관한 연구: 역사제도주의적 관점" 한국국정관리학회 21 (21): 173-203, 2011

      16 염재호, "정부관료제의 역사적 형성과 제도변화-중앙행정기관 조직시스템 변화에 대한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을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10 (10): 5-49, 2004

      17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18 한세억, "정보화의 경로의존성에 관한 연구" (봄) : 2002

      19 김보은, "정권별 공공감사제도변화 기제에 대한 신제도주의 분석" (19) : 2012

      20 염재호, "일본 정치행정 시스템의 제도적 변화: 2001년 일본 성청개혁의 제도론적 분석" 아세아문제연구소 48 (48): 122-144, 2005

      21 "이용호 게이트 특감수사결과 발표"

      22 장지호, "역사적 제도주의의 한국적 적용" 2008

      23 "역사바로세우기, 5.18 특별법으로 전두환, 노태우 구속"

      24 윤태범, "역대 정부의 반부패정책의 평가에 관한 연구" 2 (2): 1998

      25 "앙드레김 본명만 밝혀낸 옷로비 사건"

      26 이종수, "새행정학" 대영문화사 2008

      27 윤광재, "사르코지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행정개혁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행정학회 43 (43): 287-308, 2009

      28 수잔로스, "부패와 정부" 동명사 2000

      29 공보처, "변화와 개혁" 1997

      30 "범죄와 형사사범 통계정보"

      31 김교빈, "백성에게 신뢰를 잃으면 설수 없다" (22) : 2011

      32 안문석, "문민정부의 행정개혁" 4 (4): 1995

      33 채성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개편의 경로진화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의 경로의존 모형과 경로진화 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행정연구원 23 (23): 85-111, 2014

      34 박문각, "네이버 지식 사전"

      35 "국제투명성기구(TI)"

      36 "국민권익위원회"

      37 윤태범, "공직자 윤리 확보를 위한 정책방향" 2003

      38 박흥식, "공직자 비윤리 행동과 윤리적 위험간의 관계: 제재와 교육의 조절변수로서의 역할" 한국행정학회 44 (44): 41-61, 2010

      39 김선일, "공직자 부정부패 방지를 위한 법적 통제방안"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4

      40 이유봉, "공직윤리제도개선을 위한 법제분석" 한국법제연구원 2013

      41 한국행정연구원, "공직윤리제도가 공직자의 비리예방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2014

      42 국민권익위원회, "공직유관단체 사규 부패영향평가 매뉴얼 및 사례"

      43 김영천, "공직가치, 공직윤리와 법" 2011

      44 이영균, "공무원 부패의 원인과 방지전략에 관한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 8 (8): 2004

      45 시민일보, "공무원 범죄 실형률 20.4%, 공무원 봐주기 심각"

      46 김보경, "공공부문 성과 제고를 위한 정부 혁신에 대한 연구: 참여정부 혁신의 제도적 편향성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8 (28): 137-166, 2014

      47 김철, "공공기관 합리화 정책 방향의 쟁점과 과제, 박근혜 정부의 공공기관 합리화 정책을 논하다" 2013

      48 "공공감사"

      49 하태수, "경로변화의 양태: 경로의존, 경로진화, 경로창조" 2010

      50 Rainey, H. G, "Understanding and Managing Public Organizations" Jossey-Bass 1997

      51 Perry, J. L, "The public-private distinction in organization theory: A critique and research strategy" 13 : 182-201, 1988

      52 Capoccia, G, "The Study of Critical Junctures: Theory, Narrative and Counterfactuals i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59 (59): 341-369, 2007

      53 Ikenberry, G. John, "The State and American Foreign Economic Policy" Cornell University Press 219-243, 1988

      54 Thelen, Kathleen, "Structuring Politics: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n Comparative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2, 1992

      55 Osborne, David, "Reinventing Government: How the Entrepreneurial Spirit Is Transforming the Public Sector" Addison-Wesley 1992

      56 Hacker, Jacob, "Privatizing Risk without Privatizing the Welfare State: The Hidden Politics of Social Policy Retrenchment in the United States" 98 (98): 243-260, 2004

      57 Palier B, "Phénomènes de Path Dependence et réformes des systèmes de protection sociale" 49 (49): 399-420, 1999

      58 Mahoney, J, "Path Dependence in Historical Sociology" 29 (29): 507-548, 2000

      59 Greenwood, Royston, "Organizational Design Types, Tracks and the Dynamics of Strategic Change" 9-, 1988

      60 Schacterk, Mark, "Means, Ends, Indicators: 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Public Sector" (3) : 1999

      61 Pierson, Paul, "Increasing Returns, Path Dependence, and the Study of Politics" 94 : 251-267, 2000

      62 Frederick C. Mosher, "Governmental Reorganization, Cases and Commentary" Books- Merr-ill Co 4-, 1967

      63 Hall, Peter A, "Governing the Ec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64 Stinchcomb A, C, "Constructing Social Theories" Harcourt 1968

      65 Thelen, K, "Comparative Historical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8-240, 2003

      66 David, P. A, "Clio and the Economics of QWERTY" 75 (75): 332-337, 1985

      67 Leemans, A. F, "Changing Patterns of Local Government" The International Union of Local Authoritie 1970

      68 Lieberman, Evan S, "Causal Inference in Historical Institutional Analysis: A Specification of Periodization Strategies" 34 (34): 1011-1035, 2001

      69 Osborne, D, "Banishing Bureaucracy: The Five Strategies for Reinventing Government" Addison-Wesley 1998

      70 G. Caiden, "Administrative Reform" Aedine publishing 65-, 1969

      71 김영평, "80년대 정부관료제와 정책결정과정" 11 :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5 0.79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