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4년의 6・4 지방선거를 비롯해서 지난 여섯번의 지방선거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앞으로 지방선거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또 지방선거가 본연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595845
2016
-
350
KCI등재
학술저널
35-58(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4년의 6・4 지방선거를 비롯해서 지난 여섯번의 지방선거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앞으로 지방선거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또 지방선거가 본연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 ...
본 연구는 2014년의 6・4 지방선거를 비롯해서 지난 여섯번의 지방선거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앞으로 지방선거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또 지방선거가 본연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 법과 제도를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에 대해서 그 바람직한 방향과 대안 및 구체적 실천전략을 제시 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의 폐해를 극복하고 지역별 일당독점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초의원은 물론 기초단체장까지 정당공천을 반드시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향식 정당공천제로 나타난 심각한 폐해, 지방자치의 성공적인 정착, 그리고 국민들의 지방선거에 대한 무관심과 불신을 해소하려 한다면, 정치권은 당리당략을 떠나서 그 해결책을 찾아서 다음 지방선거를 실시하기 훨씬 전부터 미리 선거법과 제도를 개선해 놓아야 한다. 공정성과 객관성이 보장되지 않고 주민의 정치불신만 조장했던 지방선거 정당공천 제는 지난 지방선거들을 통해 그 한계와 폐해가 확실히 드러났기 때문에, 기초선거에서 만큼은 한시적으로 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동시선거의 부작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광역선 거와 기초선거는 분리 실시되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지방정부 구성형태의 다양성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한 실천전략으로는 시민사회와의 공감대 형성, 관련 기관과의 연대 강화, 언론・방송을 통한 인식 확산, 총선과 대선과정에서의 이슈화 등이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Shielding Public Agencies from Political Influence:Does Structural Insulation Really Matter?
중앙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태도 간의 관계: PSM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공공기관 노조 메시지의 언론 프레임과 국민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공사 파업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