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트남 관련 전근대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와 활용 =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Premodern History of Vietna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역사자료는 역사 연구의 기본이 되는 사료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로 구성되었다는 점과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이 연결된 어느 곳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은 역사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베트남사에 대한 역사연구는 어느 정도 진척되었고, 특히 2000년대 후반에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전근대 베트남에 대한 연구는 사료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국내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사 관련 현황을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베트남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에서는 『고려사』·『조선왕조실록』 등 조선시대 편년자료부터 개인의 문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지만, 검색을 통해서 중요한 사료를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제공되는 중국측 사료(명·청실록, 중국정사 외국전)도 소개하였다. 그리고 국외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의 전근대 역사자료를 소개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베트남국립도서관에 소장된 고전적 중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되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웹사이트를 소개하고, 그 세부 자료를 분석하였다. 특히 미국 베트남놈보존재단(Vietnamese Nom Preservation Foundation)에서 제공되는 사료 중 史部로 분류된 자료를 분석하여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한국 역사정보화의 경험을 살려 베트남에서 역사자료를 어떻게 구축한다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베트남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를 통해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연구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디지털 역사자료는 역사 연구의 기본이 되는 사료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로 구성되었다는 점과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이 연결된 어느 곳에서도...

      디지털 역사자료는 역사 연구의 기본이 되는 사료를 디지털로 전환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디지털로 구성되었다는 점과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이 연결된 어느 곳에서도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은 역사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베트남사에 대한 역사연구는 어느 정도 진척되었고, 특히 2000년대 후반에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전근대 베트남에 대한 연구는 사료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국내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사 관련 현황을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베트남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에서는 『고려사』·『조선왕조실록』 등 조선시대 편년자료부터 개인의 문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지만, 검색을 통해서 중요한 사료를 찾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제공되는 중국측 사료(명·청실록, 중국정사 외국전)도 소개하였다. 그리고 국외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역사자료 중 베트남의 전근대 역사자료를 소개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베트남국립도서관에 소장된 고전적 중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되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웹사이트를 소개하고, 그 세부 자료를 분석하였다. 특히 미국 베트남놈보존재단(Vietnamese Nom Preservation Foundation)에서 제공되는 사료 중 史部로 분류된 자료를 분석하여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한국 역사정보화의 경험을 살려 베트남에서 역사자료를 어떻게 구축한다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베트남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의 소개를 통해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연구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refer to historical materials that are the basis of historical research being digitized and offered on the Internet. They have two major advantages of being digitized and being accessible at any places where there is an Internet connection via the network, having huge impacts on historical research. Historical research on the history of Vietnam has made progress to a certain degree, being active especially in the latter part of the 2000s. It is, however, difficult to do research on the premodern history of Vietnam since there is no easy access to its historical materials. This study set out to arrange and introduce the current state of Vietnamese history based on the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vailable in South Korea to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research on the topic by introducing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history of Vietnam. There are variou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in South Korea from the chronological materials of Joseon including Goryeosa and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o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and one can find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rough search efforts.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introduced China`s historical materials(the annals of Ming and Qing Dynasties and books on foreign states in the official history of China) available in South Korea. It also introduced oversea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and offered explanations about how to make use of them. Also introduced in the present study was a web site that converted classical images housed at the National Library of Vietnam into digital ones and made them available on the Internet.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its detailed materials. It, in particular, analyzed and catalogued the historical materials classified as Sabu(史部) provided by the Vietnamese Nom Preservation Foundation in the U.S.A.. Finally, it made proposals about how to establish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Vietnam based on the experiences with the informatization of history in South Korea.
      번역하기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refer to historical materials that are the basis of historical research being digitized and offered on the Internet. They have two major advantages of being digitized and being accessible at any places where there is an ...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refer to historical materials that are the basis of historical research being digitized and offered on the Internet. They have two major advantages of being digitized and being accessible at any places where there is an Internet connection via the network, having huge impacts on historical research. Historical research on the history of Vietnam has made progress to a certain degree, being active especially in the latter part of the 2000s. It is, however, difficult to do research on the premodern history of Vietnam since there is no easy access to its historical materials. This study set out to arrange and introduce the current state of Vietnamese history based on the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vailable in South Korea to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research on the topic by introducing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history of Vietnam. There are variou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in South Korea from the chronological materials of Joseon including Goryeosa and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o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and one can find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rough search efforts.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introduced China`s historical materials(the annals of Ming and Qing Dynasties and books on foreign states in the official history of China) available in South Korea. It also introduced overseas digitized historical materials on the history of Vietnam and offered explanations about how to make use of them. Also introduced in the present study was a web site that converted classical images housed at the National Library of Vietnam into digital ones and made them available on the Internet.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its detailed materials. It, in particular, analyzed and catalogued the historical materials classified as Sabu(史部) provided by the Vietnamese Nom Preservation Foundation in the U.S.A.. Finally, it made proposals about how to establish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Vietnam based on the experiences with the informatization of history in South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2 주성지, "한국 고대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 구축의 성과와 과제" 한국고대사학회 (84) : 27-74, 2016

      3 "중국철학서전자화계획"

      4 "중국 維基文庫(WikiSource)"

      5 "조선후기와 베트남 응우옌 왕조 – 도전, 전변, 지역 관계" 2009

      6 박희병, "조선 후기 지식인과 베트남"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7) : 159-176, 2009

      7 유인선, "전근대 베트남人의 歷史認識-黎文休와 吳士連을 중심으로" 73 : 2001

      8 류준범, "역사자료 정보화의 현황과 전망" 한국사학회 (121) : 81-113, 2016

      9 "역사 속의 베트남-한국 관계" 2007

      10 "베트남국립도서관 디지털 라이브러리 시스템"

      1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2 주성지, "한국 고대사 관련 디지털 역사자료 구축의 성과와 과제" 한국고대사학회 (84) : 27-74, 2016

      3 "중국철학서전자화계획"

      4 "중국 維基文庫(WikiSource)"

      5 "조선후기와 베트남 응우옌 왕조 – 도전, 전변, 지역 관계" 2009

      6 박희병, "조선 후기 지식인과 베트남"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7) : 159-176, 2009

      7 유인선, "전근대 베트남人의 歷史認識-黎文休와 吳士連을 중심으로" 73 : 2001

      8 류준범, "역사자료 정보화의 현황과 전망" 한국사학회 (121) : 81-113, 2016

      9 "역사 속의 베트남-한국 관계" 2007

      10 "베트남국립도서관 디지털 라이브러리 시스템"

      11 유인선, "베트남과 그 이웃 중국 – 양국관계의 어제와 오늘" 창비 2012

      12 劉仁善, "베트남 李朝와 陳朝의 法―唐律 및 [黎朝刑律]과의 관계―" 동양사학회 81 : 5-180, 2003

      13 송정남, "베트남 남부의 영토확장과 토지제도 일고찰 – 16세기 중반에서 18세기까지를 중심으로" 36 : 1999

      14 김영죽, "베트남 漢文 使行文獻에 담긴 中國見聞, 그 특징적 면모 -조선의 燕行記錄과 比較를 겸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315-352, 2013

      15 "미국 베트남놈보존재단 사부(史部)"

      16 "디지털 역사자료의 연계 검색 서비스 – 현황과 과제" 국사편찬위원회 2005

      17 주성지, "디지털 역사자료의 구축과 표준" 한국역사민속학회 (26) : 209-246, 2008

      18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넷"

      1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0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21 "국사편찬위원회 명․청실록"

      22 강은해, "고려무신 이의민의 역사와 베트남 왕손의 전설"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09-125, 2011

      23 최귀묵, "越南의 중국 使行文獻 자료 개관 및 연구 동향 점검"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34) : 123-156, 2011

      24 송정남, "中世 베트남의 外交 -對蒙抗爭을 소재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0 (10): 205-228, 2006

      25 노대환, "19세기 조선 외교 정책의 변화 -베트남 응우옌 왕조와의 비교-" 조선시대사학회 (53) : 141-178, 2010

      26 곽정식, "19世紀 베트남의 「大南行義列女傳」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5 : 45-62, 2002

      27 노대환, "18세기 후반~19세기 조선 지식인의 베트남 인식" 조선시대사학회 (58) : 139-169, 2011

      28 유인선, "1720년대 淸과 베트남 레 왕조(黎朝) 간의 雲南 邊境 영유권 논쟁" 동양사학회 (124) : 155-178, 2013

      29 이근명, "11세기 후반 송·베트남 사이의 전쟁과 외교 교섭" 동북아역사재단 (34) : 169-20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HUMANIT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0.87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