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소음 환경의 명료도 개선에 대한 연구는 소음공학 분야에서 총량 억제에 중심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음향 명료도는 단순히 총량적인 접근 보다는 청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66370
2020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59-66(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존의 소음 환경의 명료도 개선에 대한 연구는 소음공학 분야에서 총량 억제에 중심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음향 명료도는 단순히 총량적인 접근 보다는 청감...
기존의 소음 환경의 명료도 개선에 대한 연구는 소음공학 분야에서 총량 억제에 중심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음향 명료도는 단순히 총량적인 접근 보다는 청감적인 특성과 주파수 응답 대역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현재 기존에 개발된 청각 보상 시스템은 이어폰이라는 특성을 고려한 미디어적인 접근 보다는 개별의 특성을 중심으로 파편화되어 있다. 또한 이어폰 자체의 하드웨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신호처리 또는 보청에 관한 관점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심리학적 기반의 Equal Loudness Contour와 보청을 기반으로 한 순음 보상 필터를 중첩하여 합성 필터를 생성하여 블루투스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어폰이라는 구조적인 특성과 환경 조건을 반영한 중첩 필터 적용은, 소음의 마스킹 영향에 대해 명료도를 확보하면서 청각 부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of improvements in clarity to the existing noise environment was focused on total volume control in noise engineering fields. However, acoustical clarity in a multimedia environment requir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audiovisual characteris...
The study of improvements in clarity to the existing noise environment was focused on total volume control in noise engineering fields. However, acoustical clarity in a multimedia environment requir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audiovisual characteristics and frequency response bands rather than a gross approach. Currently, the previously developed auditory compensation system is fragmented arou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a media approac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phone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hardware of the earphones themselves and a majority of the views regarding signal processing or hearing. In this study, a system was developed that was applied to Bluetooth-based mobile applications by creating composite filters by overlaying the Equal Loudness Contour based on auditory psychology and the net sound compensation filter based on hearing. The application of overlay filters, which reflec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earphon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ducing the auditory load while ensuring clarity about the effects of masking of noise.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상배, "이어폰 주관 평가 기법 : 보정 필터 및 평가 결과" 대한전자공학회 47 (47): 56-61, 2010
2 박준형, "라우드니스 복원에 기반한 잡음 환경에서의 오디오 청취 향상" 대한전자공학회 50 (50): 210-216, 2013
3 FLOYD E. TOOLE, "The Measurement and Calibration of Sound Reproducing Systems" 63 (63): 512-540, 2015
4 Olive Sean, "Listener Preferences for In-Room Loudspeaker and Headphone Target Responses" 8994-, 2013
5 "ITU-T P.800.1, Methods for objective and subjective assessment of speech and video quality,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6 "ISO 3745, Acoustics - Determination of sound power levels and sound energy levels of noise sources using sound pressure - Precision methods for anechoic rooms and hemi-anechoic rooms, ISO/TC 43/SC 1 Noise"
7 "ISO 226, Acoustics Normal equal loudness level contours, ISO/TC 43 Acoustics"
8 "IEC 60268-7, Sound system equipment–Part 7:Headphones and earphones, TC 100/TA 20 -Analogue and digital audio"
9 "IEC 60268-13, Sound system equipment–Part 13: Listening tests on loudspeakers, TC 100/TA 20 - Analogue and digital audio"
10 "BS EN 50332-1, Sound system equipment:Headphones and earphones associated with personal music players — Maximum sound pressure level measurement methodology Part 1: General method for “one package equipment”"
1 전상배, "이어폰 주관 평가 기법 : 보정 필터 및 평가 결과" 대한전자공학회 47 (47): 56-61, 2010
2 박준형, "라우드니스 복원에 기반한 잡음 환경에서의 오디오 청취 향상" 대한전자공학회 50 (50): 210-216, 2013
3 FLOYD E. TOOLE, "The Measurement and Calibration of Sound Reproducing Systems" 63 (63): 512-540, 2015
4 Olive Sean, "Listener Preferences for In-Room Loudspeaker and Headphone Target Responses" 8994-, 2013
5 "ITU-T P.800.1, Methods for objective and subjective assessment of speech and video quality,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6 "ISO 3745, Acoustics - Determination of sound power levels and sound energy levels of noise sources using sound pressure - Precision methods for anechoic rooms and hemi-anechoic rooms, ISO/TC 43/SC 1 Noise"
7 "ISO 226, Acoustics Normal equal loudness level contours, ISO/TC 43 Acoustics"
8 "IEC 60268-7, Sound system equipment–Part 7:Headphones and earphones, TC 100/TA 20 -Analogue and digital audio"
9 "IEC 60268-13, Sound system equipment–Part 13: Listening tests on loudspeakers, TC 100/TA 20 - Analogue and digital audio"
10 "BS EN 50332-1, Sound system equipment:Headphones and earphones associated with personal music players — Maximum sound pressure level measurement methodology Part 1: General method for “one package equipment”"
데이터 균형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CNN 기반 피부질환 이미지 분류기의 성능 분석
후방 산란광을 이용한 컬러 채널 보상과 수퍼픽셀 DCP를 이용한 수중 영상 개선
시그마 포인트 근사 UKF를 이용한 실시간 비행체 추적 기법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12-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2014-01-2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10-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전자공학회 논문지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2005-05-2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대한전자공학회 논문지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2 | 0.19 | 0.427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