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어-영어 이중 언어 사용자들의 L1과 L2 영향에 관한 연구: VOT와 F0와 관련해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연구에서 한국어 폐쇄음—특히 연음(lax stops)과 격음(aspirated stops)이 음운변화를 겪고 있다고 보여주고 있다. 음운변화의 특징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는 VOT 중화이다. 즉, 과거의 폐쇄자음을 구분하는 성대진동시간 (voice onset time, VOT)의 차이가 격음과 연음을 구분하지 못하고 중화되고 있음이다. 둘째는, 이들 중화와는 상반되게 성조의 차이가 극대화되어져 연음은 저성조를 격음은 고성조를 수반한다. 이런 음운변화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지만 음운 변화를 촉발시키는 시발요인(triggering factor)이 무엇인지는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음운변화를 야기시키는 시발요인으로 언어접촉 가설(language contact hypothesis in sound change)을 검증하였다. 즉, 오랜시간 영어에 노출됨으로 인해 한국어에 음운이 변화되었다는 가설이다. 한국어 음운변화에 대한 사실을 입증하는 논문은 있어왔으나 영어의 영향으로 한국어 음운에 변화가 생기고 있음을 입증하는 논문은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이런 측면에서 본 논문결과는 영어의 영향 유무를 떠나 어떤 언어의 음운변화에 언어접촉이 어떤 역할을 하는 지를 알게 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 음성학적 실험을 계획하였으며 미국내 영어 노출기간에 따른 피험자들을 선정하여 이들간의 음성산출의 차이가 유의미한 지를 살펴보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언어간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피험자 그룹은 총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우선, 서울 한국인 단일언어화자와 미국인 단일 언어화자를 각각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그리고 한국인으로 미국에 건너가 공부를 하는 유학생을 대상으로 6개월미만 거주자 (low exposure bilinguals)와 3년이상 거주자 (High exposure bilinguals) 두 그룹을 실험집단으로 하였다. 이들 실험집단은 모두 미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피험자로 모집하였으며 영어권 노출기간을 제외하고 연령이나 방언, 그리고 발화속도등 또한 피험자 모집시 최대한 통제되었다. 이들 피험자들의 음성시료는 음향단서에 따라 각 그룹별로 비교 분석되었다.
      비교된 주요 음향단서는 VOT와 f0 contour였으며 이들 음향단서들은 praat script를 통한 자동측정을 통해 얻어졌다. 이들 음향단서 외에도 H1-H2 음향단서 또한 추가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서울 한국인 화자들만을 대상으로 수동으로 측정되었다. 음향변수 측정이 완료된 후에 평균값을 내어 그룹간 그룹내 변이를 분석하였고 필요한 효과 검증을 위해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연구에서 한국어 폐쇄음—특히 연음(lax stops)과 격음(aspirated stops)이 음운변화를 겪고 있다고 보여주고 있다. 음운변화의 특징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는 VOT 중화이다. 즉, ...

      최근 연구에서 한국어 폐쇄음—특히 연음(lax stops)과 격음(aspirated stops)이 음운변화를 겪고 있다고 보여주고 있다. 음운변화의 특징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는 VOT 중화이다. 즉, 과거의 폐쇄자음을 구분하는 성대진동시간 (voice onset time, VOT)의 차이가 격음과 연음을 구분하지 못하고 중화되고 있음이다. 둘째는, 이들 중화와는 상반되게 성조의 차이가 극대화되어져 연음은 저성조를 격음은 고성조를 수반한다. 이런 음운변화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지만 음운 변화를 촉발시키는 시발요인(triggering factor)이 무엇인지는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음운변화를 야기시키는 시발요인으로 언어접촉 가설(language contact hypothesis in sound change)을 검증하였다. 즉, 오랜시간 영어에 노출됨으로 인해 한국어에 음운이 변화되었다는 가설이다. 한국어 음운변화에 대한 사실을 입증하는 논문은 있어왔으나 영어의 영향으로 한국어 음운에 변화가 생기고 있음을 입증하는 논문은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이런 측면에서 본 논문결과는 영어의 영향 유무를 떠나 어떤 언어의 음운변화에 언어접촉이 어떤 역할을 하는 지를 알게 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 음성학적 실험을 계획하였으며 미국내 영어 노출기간에 따른 피험자들을 선정하여 이들간의 음성산출의 차이가 유의미한 지를 살펴보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언어간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피험자 그룹은 총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우선, 서울 한국인 단일언어화자와 미국인 단일 언어화자를 각각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그리고 한국인으로 미국에 건너가 공부를 하는 유학생을 대상으로 6개월미만 거주자 (low exposure bilinguals)와 3년이상 거주자 (High exposure bilinguals) 두 그룹을 실험집단으로 하였다. 이들 실험집단은 모두 미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피험자로 모집하였으며 영어권 노출기간을 제외하고 연령이나 방언, 그리고 발화속도등 또한 피험자 모집시 최대한 통제되었다. 이들 피험자들의 음성시료는 음향단서에 따라 각 그룹별로 비교 분석되었다.
      비교된 주요 음향단서는 VOT와 f0 contour였으며 이들 음향단서들은 praat script를 통한 자동측정을 통해 얻어졌다. 이들 음향단서 외에도 H1-H2 음향단서 또한 추가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서울 한국인 화자들만을 대상으로 수동으로 측정되었다. 음향변수 측정이 완료된 후에 평균값을 내어 그룹간 그룹내 변이를 분석하였고 필요한 효과 검증을 위해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 studies show that Korean stops undergo a sound change, characterized by the merger of voice onset time (VOT) in the consonantal portion but the maximized differences of fundamental frequency (f0) in the vocalic por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language contact played a role in sound change and Korean-English bilinguals had an independent system between L1 and L2 or not. Three acoustic parameters--VOT (voice onset time), f0 (fundamental frequency), H1-H2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ormant and the second formant)—were examined to se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participant groups according to the exposure period of L2 English. Factors such as age, dialect, and speech rate, were controlled. Speech data were collected by thirteen monolinguals of naive Seoul Korean (7 female and 6 male speakers) who had never been abroad, sixteen Korean-English bilinguals who had lived in America for less than six months (i.e., LE bilinguals), eighteen Korean-English bilinguals who had lived in America for more than three years (i.e., HE bilinguals), and ten American monolinguals who were not able to speak other languages but English. Acoustic parameters were measured by hand and automatically.

      . The results showed that, for all groups, in general, VOT values between the
      번역하기

      Recent studies show that Korean stops undergo a sound change, characterized by the merger of voice onset time (VOT) in the consonantal portion but the maximized differences of fundamental frequency (f0) in the vocalic portion. This study examined whet...

      Recent studies show that Korean stops undergo a sound change, characterized by the merger of voice onset time (VOT) in the consonantal portion but the maximized differences of fundamental frequency (f0) in the vocalic por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language contact played a role in sound change and Korean-English bilinguals had an independent system between L1 and L2 or not. Three acoustic parameters--VOT (voice onset time), f0 (fundamental frequency), H1-H2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ormant and the second formant)—were examined to se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participant groups according to the exposure period of L2 English. Factors such as age, dialect, and speech rate, were controlled. Speech data were collected by thirteen monolinguals of naive Seoul Korean (7 female and 6 male speakers) who had never been abroad, sixteen Korean-English bilinguals who had lived in America for less than six months (i.e., LE bilinguals), eighteen Korean-English bilinguals who had lived in America for more than three years (i.e., HE bilinguals), and ten American monolinguals who were not able to speak other languages but English. Acoustic parameters were measured by hand and automatically.

      . The results showed that, for all groups, in general, VOT values between th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