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소프트콘택트렌즈 건조로 인한 렌즈 형태 및 TBUT의 변화 = Changes of Lens Morphology and TBUT by Dehydration of Soft Contact Le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239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lens morphology and tear stability during wearing soft contact lenses (SCLs) which were kept in drying condition like dry eye or became to be dried due to heedless care. Method: SCLs having different water content, thickness or material were rehydrated after being dehydrated artificially 2 or 4 times, and estimated their diameter and radius. Furthermore, the changes of tear film break-up time (TBUT) during SCL wearing were also measured. Result: Due to the dryness, the diameter of both 70% water content SCL and 59% water content SCL decreased, but the decrement was larger in 59% water content SCL. The more 59% water content SCL was dehydrated, the more its radius changed. However, the radius of 70% water content SCL did not change by 2 times dehydration and increased greatly by 4 times dehydration. The reduction of diameter of -1.00 D SCL was greater than that of -9.00 D SCL. Moreover, the radius of -1.00 D SCL increased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dehydration but that of -9.00 D SCL did not changed. The diameter and radius changes of lotrafilcon B, silicone hydrogel lens, were less than those of hilafilcon B, copolymer of HEMA and N-vinyl pyrrolidone. TBUT during wearing SCLs decreased by wearing dehydrated SCLs. Conclusion: The diameter and radius of dehydrated SCLs as well as TBUT during wearing them were changed in spite of rehydration, which would be the important cause of uncomfortable feeling when people wore dehydrated SCL. The changes of SCL morphology and TBUT differed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lens thickness and material.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lens morphology and tear stability during wearing soft contact lenses (SCLs) which were kept in drying condition like dry eye or became to be dried due to heedless care. Method: SCLs having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lens morphology and tear stability during wearing soft contact lenses (SCLs) which were kept in drying condition like dry eye or became to be dried due to heedless care. Method: SCLs having different water content, thickness or material were rehydrated after being dehydrated artificially 2 or 4 times, and estimated their diameter and radius. Furthermore, the changes of tear film break-up time (TBUT) during SCL wearing were also measured. Result: Due to the dryness, the diameter of both 70% water content SCL and 59% water content SCL decreased, but the decrement was larger in 59% water content SCL. The more 59% water content SCL was dehydrated, the more its radius changed. However, the radius of 70% water content SCL did not change by 2 times dehydration and increased greatly by 4 times dehydration. The reduction of diameter of -1.00 D SCL was greater than that of -9.00 D SCL. Moreover, the radius of -1.00 D SCL increased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dehydration but that of -9.00 D SCL did not changed. The diameter and radius changes of lotrafilcon B, silicone hydrogel lens, were less than those of hilafilcon B, copolymer of HEMA and N-vinyl pyrrolidone. TBUT during wearing SCLs decreased by wearing dehydrated SCLs. Conclusion: The diameter and radius of dehydrated SCLs as well as TBUT during wearing them were changed in spite of rehydration, which would be the important cause of uncomfortable feeling when people wore dehydrated SCL. The changes of SCL morphology and TBUT differed according to the water content, lens thickness and materi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목적: 본 연구에서는 건안에 착용되어 지속적으로 건조한 상태에 노출되거나 관리 부주의로 건조한 상태가 되었 던 소프트콘택트렌즈(soft contact lens, SCL)에 발생되는 렌즈의 형태 및 렌즈 착용시의 누액 안정성에 나타나는 변 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함수율과 두께, 재질이 상이한 소프트콘택트렌즈들을 각각 인위적으로 2회 또는 4회 건조시키고 다시 수화시킨 후 렌즈 전체직경 및 곡률반경을 측정하였다. 또한,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시의 눈물파 괴시간(tear film break-up time, TBUT)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건조과정에 의하여 함수율 70% 소프트콘택트 렌즈와 59% 소프트콘택트렌즈 모두에서 전체직경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함수율 59%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전체직경 의 변화 정도가 더 컸다. 함수율 59%의 소프트콘택트렌즈는 건조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곡률반경이 증가하였다. 그 러나, 함수율 70%의 소프트콘택트렌즈는 2회 건조시에는 곡률반경에 변화가 없었으며, 4회 건조시에는 곡률반경이 크게 증가하였다. -1.00 D 소프트콘택트렌즈는 -9.00 D 소프트콘택트렌즈 보다 직경의 감소 정도가 더 컸다. 또한, -1.00 D 소프트콘택트렌즈는 건조횟수가 증가하면 곡률반경의 증가정도가 커지는 반면, -9.00 D 소프트콘택트렌즈 는 2회 건조시나 4회 건조시에 곡률반경의 차이가 없었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재질인 lotrafilcon B의 직경 및 곡률반경 변화는 HEMA와 N-vinyl pyrrolidone의 공중합체인 hilafilcon B보다 더 적었다.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의 TBUT는 건조되었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시 감소하였다. 결론: 소프트콘택트렌즈가 건조되었을 때 수화 과정을 거치더라도 렌즈의 전체직경 및 곡률반경이 변하였으며, 렌즈 착용시의 TBUT가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건조 되었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의 착용감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건조로 인한 소프트콘택 트렌즈의 형태 변화 및 TBUT 변화는 함수율, 두께, 재질에 따라 상이하였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에서는 건안에 착용되어 지속적으로 건조한 상태에 노출되거나 관리 부주의로 건조한 상태가 되었 던 소프트콘택트렌즈(soft contact lens, SCL)에 발생되는 렌즈의 형태 및 렌즈 착...

      목적: 본 연구에서는 건안에 착용되어 지속적으로 건조한 상태에 노출되거나 관리 부주의로 건조한 상태가 되었 던 소프트콘택트렌즈(soft contact lens, SCL)에 발생되는 렌즈의 형태 및 렌즈 착용시의 누액 안정성에 나타나는 변 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함수율과 두께, 재질이 상이한 소프트콘택트렌즈들을 각각 인위적으로 2회 또는 4회 건조시키고 다시 수화시킨 후 렌즈 전체직경 및 곡률반경을 측정하였다. 또한,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시의 눈물파 괴시간(tear film break-up time, TBUT)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건조과정에 의하여 함수율 70% 소프트콘택트 렌즈와 59% 소프트콘택트렌즈 모두에서 전체직경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함수율 59%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전체직경 의 변화 정도가 더 컸다. 함수율 59%의 소프트콘택트렌즈는 건조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곡률반경이 증가하였다. 그 러나, 함수율 70%의 소프트콘택트렌즈는 2회 건조시에는 곡률반경에 변화가 없었으며, 4회 건조시에는 곡률반경이 크게 증가하였다. -1.00 D 소프트콘택트렌즈는 -9.00 D 소프트콘택트렌즈 보다 직경의 감소 정도가 더 컸다. 또한, -1.00 D 소프트콘택트렌즈는 건조횟수가 증가하면 곡률반경의 증가정도가 커지는 반면, -9.00 D 소프트콘택트렌즈 는 2회 건조시나 4회 건조시에 곡률반경의 차이가 없었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재질인 lotrafilcon B의 직경 및 곡률반경 변화는 HEMA와 N-vinyl pyrrolidone의 공중합체인 hilafilcon B보다 더 적었다. 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의 TBUT는 건조되었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시 감소하였다. 결론: 소프트콘택트렌즈가 건조되었을 때 수화 과정을 거치더라도 렌즈의 전체직경 및 곡률반경이 변하였으며, 렌즈 착용시의 TBUT가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건조 되었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의 착용감 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건조로 인한 소프트콘택 트렌즈의 형태 변화 및 TBUT 변화는 함수율, 두께, 재질에 따라 상이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대수, "콘택트렌즈물리" 북스힐 1-13, 2007

      2 유근창,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실태조사" 7 (7): 15-20, 2002

      3 이상미, "콘택트렌즈 보존액 및 보존용기에서의 Acanthamoeba에 의한 오염" 38 (38): 54-59, 1997

      4 박상일, "순목에 의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순간적인 움직임: 착용시간의 증가에 따른 움직임의 변화" 한국안광학회 12 (12): 1-7, 2007

      5 박미정, "단백질 침착에 의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직경 및 곡률반경 변화" 10 (10): 165-171, 2005

      6 송자옥, "기초화장품에 노출시 나타나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변화" 11 (11): 99-107, 2006

      7 이병준, "건성안 검사 방법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 13 (13): 15-20, 2008

      8 Nichols J. J., "Thinning Rate of the Precorneal and Prelens Tear Films" 46 (46): 2353-2361, 2005

      9 Al-Abdulmunem M., "Relation between tear breakup time and spontaneous blink rate" 26 (26): 117-120, 1999

      10 Fornasiero F., "Post-lens tear-film depletion due to evaporative dehydration of a soft contact lens" 275 : 229-243, 2006

      1 김대수, "콘택트렌즈물리" 북스힐 1-13, 2007

      2 유근창,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실태조사" 7 (7): 15-20, 2002

      3 이상미, "콘택트렌즈 보존액 및 보존용기에서의 Acanthamoeba에 의한 오염" 38 (38): 54-59, 1997

      4 박상일, "순목에 의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순간적인 움직임: 착용시간의 증가에 따른 움직임의 변화" 한국안광학회 12 (12): 1-7, 2007

      5 박미정, "단백질 침착에 의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직경 및 곡률반경 변화" 10 (10): 165-171, 2005

      6 송자옥, "기초화장품에 노출시 나타나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변화" 11 (11): 99-107, 2006

      7 이병준, "건성안 검사 방법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 13 (13): 15-20, 2008

      8 Nichols J. J., "Thinning Rate of the Precorneal and Prelens Tear Films" 46 (46): 2353-2361, 2005

      9 Al-Abdulmunem M., "Relation between tear breakup time and spontaneous blink rate" 26 (26): 117-120, 1999

      10 Fornasiero F., "Post-lens tear-film depletion due to evaporative dehydration of a soft contact lens" 275 : 229-243, 2006

      11 Efron N., "Oxygen permeability and water content of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 materials" 84 (84): 328-337, 2007

      12 Quesnel N. M., "On-eye dehydration of proclear, resolution 55G and acuvue contact lenses" 24 (24): 88-93, 2001

      13 Chang D. C., "Multistate outbreak of Fusarium keratitis associated with use of a contact lens solution" 296 (296): 953-963, 2006

      14 Boost M. V., "Microbial flora of tears of orthokeratology patients, and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ntact lenses and contact lens accessories" 82 (82): 451-458, 2005

      15 Yung M. S.,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ntact lenses and lens care accessories of soft contact lens wearers (university students) in Hong Kong" 27 (27): 11-21, 2007

      16 Bergenske P., "Long-term clinical results: 3 years of up to 30-night continuous wear of lotrafilcon A silicone hydrogel and daily wear of low-Dk/thydrogel lenses" 33 (33): 74-80, 2007

      17 Snyder C., "Lens care complications-where's the rub?" 29 (29): 161-162, 2006

      18 Koh S., "Effects of suppression of blinking on quality of vision in borderlinecases of evaporative dry eye" 27 (27): 275-278, 2008

      19 Maruyama K.,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tear dynamics in soft contact lens wearers" 45 (45): 2563-2568, 2004

      20 Key J. E., "Development of contact lenses and their worldwide use" 33 (33): 343-34, 2007

      21 Lemp M. A., "Contact lenses and associated anterior segment disorders: dry eye disease, blepharitis, and allergy" 28 (28): 105-117, 2008

      22 Sindt C. W., "Contact lens strategies for the patient with dry eye" 5 (5): 294-307, 2007

      23 Thai L. C., "Contact Lens Drying and Visual Performance: The Vision Cycle with Contact Lenses" 79 (79): 381-388, 2002

      24 Mowrey-McKee M., "Comparative cytotoxicity potential of soft contact lens care regimens" 28 (28): 160-164,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Ophalmic Optics Society -> The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8 0.691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