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등급 문항 반응 모형에서 개인 합치도를 추정하기 위한 lz의 분포와 효율성 = An Evaluation of lz as a Measure of Person Fit Under Graded Response Mod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7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erson-fit analysis (PFA) has been developed to identify individuals whose latent traits are not measured accurately by a te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effectiveness of a person-fit index: the standardized log-likelihood index (lz) for Graded Response Model(GRM). Findings in simulation studies employing various manipulated variables demonstrated that the empirical distribution of the lz were close to the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and the lz was effective in detecting individuals showing aberrant response patterns given the IRT model (i.e., graded response models). The application of the lz to the empirical data of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1965, 1979) illustrated that GRM was suitable to the scale, producing relatively few individuals of a significantly large value.
      번역하기

      A person-fit analysis (PFA) has been developed to identify individuals whose latent traits are not measured accurately by a te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effectiveness of a person-fit index: the standardized log-likelihood index (...

      A person-fit analysis (PFA) has been developed to identify individuals whose latent traits are not measured accurately by a te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and effectiveness of a person-fit index: the standardized log-likelihood index (lz) for Graded Response Model(GRM). Findings in simulation studies employing various manipulated variables demonstrated that the empirical distribution of the lz were close to the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and the lz was effective in detecting individuals showing aberrant response patterns given the IRT model (i.e., graded response models). The application of the lz to the empirical data of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1965, 1979) illustrated that GRM was suitable to the scale, producing relatively few individuals of a significantly large valu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개인 합치도 분석(person fit analysis)은 통계적 모형에서 예측되거나 혹은 표본 집단의 수검자들에게서 관찰된 문항 반응 형태와 다른 형태를 보이는 수검자들을 발견함으로써 개인적 수준에서 검사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연구이다. 이분 문항을 위한 문항 반응 모형들에서 개인 합치도 지수 중 하나인 lz 지수의 분포와 효과성을 조사한 연구들은 존재하지만, 다분 문항을 위한 문항 반응 모형들에서의 개인 합치도 지수에 대한 분포와 효과성를 검증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등급 문항 반응 모형에서 lz의 분포와 효율성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 시뮬레이션 연구에서는 lz가 다양한 조건들 하에서 표준정규분포를 보이고 있음을 입증했으며, 두 번째 시뮬레이션 연구에서는 lz가 등급 반응 모형에서 다양한 수준의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인 개인들을 탐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lz를 실증 자료에 적용했을 때 등급 반응 모형이 Rosenberg의 자존감 척도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부분의 개인들은 등급 반응 모형과 일치하는 문항 반응 형태들을 보였지만, 유의미한 lz값을 가진 몇몇 참가자들은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비전형적인 문항 반응 형태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lz가 등급 반응 모형에서 비정상적인 문항 반응 형태를 보이는 개인들을 식별해 낼 수 있는 검증력을 가졌음을 실증연구를 통해서 재확인하였다.
      번역하기

      개인 합치도 분석(person fit analysis)은 통계적 모형에서 예측되거나 혹은 표본 집단의 수검자들에게서 관찰된 문항 반응 형태와 다른 형태를 보이는 수검자들을 발견함으로써 개인적 수준에서...

      개인 합치도 분석(person fit analysis)은 통계적 모형에서 예측되거나 혹은 표본 집단의 수검자들에게서 관찰된 문항 반응 형태와 다른 형태를 보이는 수검자들을 발견함으로써 개인적 수준에서 검사의 적합도를 평가하는 연구이다. 이분 문항을 위한 문항 반응 모형들에서 개인 합치도 지수 중 하나인 lz 지수의 분포와 효과성을 조사한 연구들은 존재하지만, 다분 문항을 위한 문항 반응 모형들에서의 개인 합치도 지수에 대한 분포와 효과성를 검증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등급 문항 반응 모형에서 lz의 분포와 효율성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 시뮬레이션 연구에서는 lz가 다양한 조건들 하에서 표준정규분포를 보이고 있음을 입증했으며, 두 번째 시뮬레이션 연구에서는 lz가 등급 반응 모형에서 다양한 수준의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인 개인들을 탐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lz를 실증 자료에 적용했을 때 등급 반응 모형이 Rosenberg의 자존감 척도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부분의 개인들은 등급 반응 모형과 일치하는 문항 반응 형태들을 보였지만, 유의미한 lz값을 가진 몇몇 참가자들은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비전형적인 문항 반응 형태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lz가 등급 반응 모형에서 비정상적인 문항 반응 형태를 보이는 개인들을 식별해 낼 수 있는 검증력을 가졌음을 실증연구를 통해서 재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e, X., "Trajectori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stressful life events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divorced and nondivorced families" 18 (18): 253-273, 2006

      2 Meijer, R. R., "Trait level estimation for nonfitting response vectors" 21 (21): 321-336, 1997

      3 Trabin, T. E., "The person response curve: Fit of individuals to item characteristic curve models"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Laboratory,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Minnessota 1979

      4 Reise, S. P., "The influence of test characteristics in the detection of aberrant response patterns" 15 : 217-226, 1991

      5 Nering, M. L., "The distribution of person fit using true and estimated person parameters" 21 (21): 121-129, 1995

      6 Reise, S. P., "Scoring method and the detection of person misfit in a personality assessment context" 19 (19): 213-229, 1995

      7 Conger, R. D., "Resilience in Midwestern families: Selected findings from the first decade of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64 (64): 361-373, 2002

      8 Michell, J., "Quantitative science and the definition of measurement in psychology" 88 (88): 355-383, 1997

      9 Harwell, M., "Monte Carlo studies in item response theory" 20 : 101-125, 1996

      10 Meijer, R. R., "Methodology Review : Evaluating Person Fit" 25 (25): 107-135, 2001

      1 Ge, X., "Trajectori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stressful life events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divorced and nondivorced families" 18 (18): 253-273, 2006

      2 Meijer, R. R., "Trait level estimation for nonfitting response vectors" 21 (21): 321-336, 1997

      3 Trabin, T. E., "The person response curve: Fit of individuals to item characteristic curve models"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Laboratory,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Minnessota 1979

      4 Reise, S. P., "The influence of test characteristics in the detection of aberrant response patterns" 15 : 217-226, 1991

      5 Nering, M. L., "The distribution of person fit using true and estimated person parameters" 21 (21): 121-129, 1995

      6 Reise, S. P., "Scoring method and the detection of person misfit in a personality assessment context" 19 (19): 213-229, 1995

      7 Conger, R. D., "Resilience in Midwestern families: Selected findings from the first decade of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64 (64): 361-373, 2002

      8 Michell, J., "Quantitative science and the definition of measurement in psychology" 88 (88): 355-383, 1997

      9 Harwell, M., "Monte Carlo studies in item response theory" 20 : 101-125, 1996

      10 Meijer, R. R., "Methodology Review : Evaluating Person Fit" 25 (25): 107-135, 2001

      11 Levine, M, V., "Measuring the appropriateness of multiple-choice test scores" 4 (4): 269-290, 1979

      12 Embretson, S. E., "Item response theory for psychologists." Erlbaum 2000

      13 Allen, M. J., "Introduction to Measurement Theory. Prospect Heights" Waveland 2002

      14 Emons, W. H. M., "Global, Local, and Graphical Person-Fit Analysis Using Person-Response Functions" 10 (10): 101-119, 2005

      15 Baker, F. B., "GENIRV : A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item response"

      16 Samejima, F., "Estimation of latent ability using a response pattern of graded scores" 34 (34): 1969

      17 Van der Flier, H., "Environmental factors and deviant response patterns, In Basic problems in cross-cultural psychology" Swets & Seitlinger 1977

      18 Van der Flier, H., "Deviant response patterns and comparability of test scores" 13 (13): 267-298, 1982

      19 Meijer, R. R., "Detection of aberrant item score patterns : A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8 (8): 261-272, 1995

      20 Karabatsos, G., "Comparing the Aberrant Response Detection Performance of Thirty-Six Person-Fit Statistics" 16 (16): 277-298, 2003

      21 Emons, W. H. M., "Comparing simulated and theoterical sampling distributions of the U3 person-fit statistic" 26 (26): 88-108, 2002

      22 Sung, H. J., "Choosing a polytomous IRT model using Bayesian model selection methods" 2006

      23 Ro, S., "Characteristics of a likelihood-based person-fit index under the graded response model" University of Minnesota, 2001

      24 Reise, S. P., "Assessing the fit of measurement models at the individual level : A comparison of item response theory and covariance structure approaches" 4 : 3-21, 1999

      25 Drasgow, F., "Appropriateness measurement with polychotomous item response model and standardized indices" 38 (38): 67-86, 1985

      26 Schmitt, N., "Appropriateness fit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17 : 143-150,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3 2.1 2.669 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