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접경된 해항도시의 정치경제와 대외교섭 = ‘창지투(長吉圖)’와 ‘나선특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65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지금 동북아시아에서 동해(東海)에 접경된 해항도시로서 핵심적 의미를 갖는 중국의 창지투(長吉圖) 선도구와 북한의 나선특구를 둘러싼 국내 및 인접국가들의 정치경제와 대외교섭의 상황을 분석하려 한다. 지난 2009년 중국은 두만강 주변 북․중 접경지역에 이른바 ‘창지투(長吉圖) 선도구 개발’을 선언하였고, 비슷한 시기에 북한은 ‘나선(나진․선봉) 특구 개발’을 발표하였다. 이는 중국이 두만강 접경지역인 창춘~지린~투먼~훈춘을 전진기지로 삼고, 북한의 나진항과 선봉항의 사용권을 얻어내어 환동해권으로 네트워크 확장을 기도한 하나의 커다란 사건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까지 창지투 선도구와 나선특구는 각각 동북아시아의 경제협력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국제정치질서 및 세력 재편의 무대로 부상한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대북정책과 동북아시아의 미래에 미치는 중요성을 감안할 때, 창지투와 나선지역이 가진 이러한 변경의 정치경제와 대외교섭의 본질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이 연구는 앞으로 전개될 한반도와 환동해권의 상황이 크게 달라질 것이라는 점, 동북아시아의 주변부에서 새로운 중심부로 떠오를 가능성을 결론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지금 동북아시아에서 동해(東海)에 접경된 해항도시로서 핵심적 의미를 갖는 중국의 창지투(長吉圖) 선도구와 북한의 나선특구를 둘러싼 국내 및 인접국가들의 정치경제와 ...

      이 연구에서는 지금 동북아시아에서 동해(東海)에 접경된 해항도시로서 핵심적 의미를 갖는 중국의 창지투(長吉圖) 선도구와 북한의 나선특구를 둘러싼 국내 및 인접국가들의 정치경제와 대외교섭의 상황을 분석하려 한다. 지난 2009년 중국은 두만강 주변 북․중 접경지역에 이른바 ‘창지투(長吉圖) 선도구 개발’을 선언하였고, 비슷한 시기에 북한은 ‘나선(나진․선봉) 특구 개발’을 발표하였다. 이는 중국이 두만강 접경지역인 창춘~지린~투먼~훈춘을 전진기지로 삼고, 북한의 나진항과 선봉항의 사용권을 얻어내어 환동해권으로 네트워크 확장을 기도한 하나의 커다란 사건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까지 창지투 선도구와 나선특구는 각각 동북아시아의 경제협력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국제정치질서 및 세력 재편의 무대로 부상한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대북정책과 동북아시아의 미래에 미치는 중요성을 감안할 때, 창지투와 나선지역이 가진 이러한 변경의 정치경제와 대외교섭의 본질을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이 연구는 앞으로 전개될 한반도와 환동해권의 상황이 크게 달라질 것이라는 점, 동북아시아의 주변부에서 새로운 중심부로 떠오를 가능성을 결론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angjitu is an abbreviation for Changchun City, Jilin City and Tumen River area. Nasun special economic zone is an abbreviation for Najin port and Sunbong City. The goal of the Changjitu and Nasun Project were to develop the economically stagnant Northeastern region in China and North Korea. The intentions of both China and Russia were to set their benefit line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East Sea and to control and manage the East Sea through Nasun ports. Although they work together, they each have different purposes. So, this study has reviewed recent policies of China, North Korea, and Russia on this region in order to introduce cross border development projects. As a consequence, this study provides some useful implications for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ross-border network and cooperation initiative in East Sea and Northeast Asia.
      번역하기

      The Changjitu is an abbreviation for Changchun City, Jilin City and Tumen River area. Nasun special economic zone is an abbreviation for Najin port and Sunbong City. The goal of the Changjitu and Nasun Project were to develop the economically stagnant...

      The Changjitu is an abbreviation for Changchun City, Jilin City and Tumen River area. Nasun special economic zone is an abbreviation for Najin port and Sunbong City. The goal of the Changjitu and Nasun Project were to develop the economically stagnant Northeastern region in China and North Korea. The intentions of both China and Russia were to set their benefit line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East Sea and to control and manage the East Sea through Nasun ports. Although they work together, they each have different purposes. So, this study has reviewed recent policies of China, North Korea, and Russia on this region in order to introduce cross border development projects. As a consequence, this study provides some useful implications for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ross-border network and cooperation initiative in East Sea and Northeast As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동해 접경지역 해항도시의 개관 및 특성
      • Ⅲ. ‘창지투(長吉圖)’와 ‘나선특구’의 정치경제와 대외교섭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동해 접경지역 해항도시의 개관 및 특성
      • Ⅲ. ‘창지투(長吉圖)’와 ‘나선특구’의 정치경제와 대외교섭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