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이 쓰기 계획하기 능력에서 일반 가정 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각 집단 별로 계획하기가 쓰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54340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언어병리학전공 , 2018. 2
2018
한국어
370.117 판사항(23)
경기도
Ability of Planning in Writing and the Effect on Writing of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v, 39 장 : 삽화 ; 30 cm.
단국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은주
참고문헌 : 장 25-3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이 쓰기 계획하기 능력에서 일반 가정 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각 집단 별로 계획하기가 쓰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이 쓰기 계획하기 능력에서 일반 가정 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각 집단 별로 계획하기가 쓰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 가정 아동 12명과 일반 가정 아동 12명으로 총 24명이었다. 다문화 가정 아동은 아버지가 한국인이고 어머니가 한국을 제외한 아시아권 결혼이민자인 대상자로 선별하였으며 일반 가정 아동은 부모님이 모두 한국인인 대상자로 선별하였다. 두 집단 모두 동작성 지능 검사(K-WISC)와 어휘력 검사(REVT), 쓰기 학력 검사(KISE-BAAT)를 실시하였고 정상범주에 속하는 아동들로 제한하였다.
본 실험의 과제는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내용 생성하기와 다발 짓기를 통한 내용 조직하기로 쓰기 계획하기를 실시하였으며 계획하기를 실시하지 않는 사전 글쓰기와 계획하기 지도 후 실시하는 사후 글쓰기로 총 2번의 쓰기를 진행하였다. 집단 간 내용 생성하기와 조직하기의 능력을 확인하고 집단별 사전과 사후의 쓰기 능력을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으로 살펴보았다. 양적 분석은 산출성(총 낱말 수, 서로 다른 낱말 수, 총 t-unit 수), 복잡성(평균 t-unit의 길이, 복문의 비율), 정확성(철자오류율, 구문오류율)을 분석하였으며 질적 분석은 글의 내용(주제의 명확성, 내용의 풍부성), 조직(글의 체계성, 글의 흐름), 표현(표현의 명료성, 글의 어조)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아동은 내용 생성하기의 소재의 다양성과 내용 조직하기의 내용의 적정성 항목에서 일반 가정 아동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 모두 쓰기의 양적 분석 결과 중 산출성에서 사전 글쓰기보다 사후 글쓰기의 점수가 더 높았다. 복잡성에서는 두 집단 모두 사전 글쓰기와 사후 글쓰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정확성에서도 두 집단 모두 계획하기 지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질적 분석 결과에서는 두 집단 모두 글의 내용적 측면 중 내용의 풍부성 항목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고 조직적 측면의 두 항목(글의 체계성, 글의 흐름)에서도 사전 글쓰기보다 사후 글쓰기에서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글의 표현 측면에서는 두 집단 모두 사전 글쓰기와 사후 글쓰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쓰기 계획하기 능력에서 다문화 가정 아동은 일반 가정 아동에 비해 쓰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소재를 다양하게 산출하고 글의 주제나 독자를 고려하여 내용을 정리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계획하기가 양적 분석 결과의 산출성과 질적 분석 결과의 조직적 측면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아동의 경우 쓰기 계획하기를 중재할 때 다양한 소재를 산출하고 주제와 독자를 고려하여 내용을 정리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며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 가정 아동 모두 계획하기를 사용한 쓰기 중재가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해볼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