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2000년을 향한)國家長期發展을 위한 學術硏究報告書 . 정신.문화.예술분야 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03972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Volume. 1]----------
      • 목차
      • Ⅰ. 우리들의 문제상황 = 1
      • 1. 사회의 구조와 개인의 심성 = 1
      • 2. 한국의 근대화 : 얻은 것과 잃은 것 = 3
      • [Volume. 1]----------
      • 목차
      • Ⅰ. 우리들의 문제상황 = 1
      • 1. 사회의 구조와 개인의 심성 = 1
      • 2. 한국의 근대화 : 얻은 것과 잃은 것 = 3
      • Ⅱ. 한국인의 심성과 생활태도에 대한 여러가지 견해 = 8
      • 1. 선인들이 본 한국인의 민족성 = 8
      • 2. 근래에 이루어진 한국인의 의식구조 연구 = 14
      • Ⅲ. 한국인의 생활태도의 몇 가지 특색과 그 문제점 = 26
      • 1. 한국인의 의식구조의 기본적 특색 = 26
      • 2. 한국인의 생활태도, 무엇이 문제인가? = 35
      • Ⅳ. 미래 한국의 발전방향과 그것이 요구하는 한국인의 가치관 = 48
      • 1. 미래 한국의 발전방향 = 48
      • 2. 내일의 한국이 요구하는 생활태도의 기본 = 52
      • [Volume. 2]----------
      • 목차
      • Ⅰ. 序論 = 1
      • 1. 問題提起 = 1
      • 2. 硏究方法 = 2
      • Ⅱ. 韓國人像 定立울 위한 先行的 摸索 = 4
      • 1. 傳統的 人間觀 = 4
      • 2. 近代的 人間觀 = 9
      • 3. 傳統的 理想型 人間像 = 13
      • 4. 現代的 人間像 = 17
      • Ⅲ. 새로운 韓國人像 定立울 要求하는 政治的 狀況의 變化 = 36
      • 1. 社會發展과 政治發展 = 36
      • 2. 民主化 時代의 到來 = 40
      • 3. 한국의 自由民主主義 = 45
      • 4. 政治的 狀況의 變化 = 49
      • Ⅳ. 새로운 韓國人像 定立울 要求하는 國際的 狀況의 變化 = 61
      • 1. 序論 = 61
      • 2. 國際政治의 力學關係變化와 韓國 = 62
      • 3. 韓國-民主化와 太平洋時代의 共同主役 = 79
      • 4. 韓國-經濟受援國에서 外援國으로 = 81
      • 5. 韓國-自主國防體制로의 도약 = 83
      • 6. 韓國-民族和合民主統一로의 主導役割 = 85
      • 7. 21C의 바람직한 새 韓國人像 = 87
      • 8. 結論 = 89
      • Ⅴ. 社會經濟的 發展과 21世紀을 이끌어 나갈 理想的인 韓國人像 = 91
      • 1. 머릿말 = 91
      • 2. 問題提起 = 94
      • 3. 近代化와 經濟社會의 變化 = 95
      • 4. 21 世紀의 바람직한 韓國人像 = 104
      • 5. 맺는말 = 122
      • Ⅵ. 學校敎育을 통한 새로운 人間像 定立을 위한 學校敎育의 方向 및 結論 = 124
      • 1. 學校敎育의 役割과 限界 = 124
      • 2. 敎科敎育과 人間 形成 = 128
      • Ⅶ. 새로운 人間像 定立을 위한 學校敎育의 方向 및 結論 = 136
      • [Volume. 3]----------
      • 목차
      • 1. 序言 = 1
      • 2. 家族倫理 = 6
      • 2.1 繼承되어야 할 家族倫理 = 7
      • 2.2 改革해야 할 家族倫理 = 15
      • 3. 統治倫理 = 23
      • 3.1 繼承되어야 할 統治倫理 = 24
      • 3.2 改革해야 할 統治倫理 = 30
      • 4. 社會·職業倫理 = 34
      • 4.1 繼承되어야 할 社會·職業倫理 = 34
      • 4.2 改革해야 할 社會·職業倫理 = 42
      • 5. 結言 = 46
      • [Volume. 4]----------
      • 목차
      • 국어 사전의 지모의 차례와 표제어의 배열순에 관하여 = 1
      • 사전 뜻풀이의 검토 = 19
      • 어휘의 의미변천과 사전 = 49
      • 한국어 사전에서의 동사 항목의 기술과 통사 정보 = 89
      • 뭉치 언어학적으로 본 사전 편찬의 실제 문제 -『님의 침묵의 용례 색인』을 예로 들어 = 129
      • [Volume. 5]----------
      • 목차
      • Ⅰ. 序論 = 1
      • 1. 硏究 目的 = 1
      • 2. 硏究 對象 및 方法 = 1
      • Ⅱ. 硏究 人力 = 3
      • 1. 大學 硏究人力 現況 分析 = 3
      • 2. 博士 및 碩士學位 論文의 推移 = 11
      • 3. 各 大學 附設 硏究所의 硏究人力 = 14
      • 4. 硏究人力에 관한 對策 및 發展 方案 = 17
      • Ⅲ. 硏究所 = 19
      • 1. 對象 및 方法 = 19
      • 2. 現況 統計 및 分析 = 20
      • 3. 發展 方案 = 23
      • Ⅳ. 韓國學 分野 學會 = 25
      • 1. 調査·分析의 主眼點 = 25
      • 2. 調査·統計 資料 = 26
      • 3. 現況 分析 = 29
      • 4. 發展을 위한 對策 方案 = 32
      • Ⅴ. 韓國學 硏究論著의 刊行·普及 = 35
      • 1. 目的·資料 = 35
      • 2. 現況 分析 및 診斷 = 36
      • 3. 對策 및 發展 方案 = 44
      • Ⅵ. 韓國學 資料·文獻情報 및 普及 = 46
      • 1. 韓國學 硏究資料의 蒐集·整理·普及 = 46
      • 2. 韓國學 文獻情報 = 49
      • Ⅶ. 結論 = 53
      • 1. 韓國學 硏究의 主要 當面課題 = 53
      • 2. 發展을 위한 方案 = 54
      • [Volume. 6]----------
      • 목차
      • Ⅰ. 연구목적 = 9
      • Ⅱ. 연구 범위 및 방법 = 10
      • Ⅲ. 한국어의 악센트와 리듬 = 10
      • 1. 발화의 말토막 = 11
      • 2. 말토막의 리듬 구조 = 12
      • 3. 말토막의 내부 구조 = 13
      • 4. 말토막과 낱말의 관계 = 16
      • 5. 말토막의 길이 = 16
      • 6. 한국어 리듬의 유형 = 18
      • 7. 말토막 안의 강세 위치 = 18
      • 8. 한국어 낱말의 악센트와 리듬 = 20
      • Ⅳ. 한국어 악센트와 리듬의 실험음성학적 분석 = 23
      • 1. 언어 리듬의 유형 = 23
      • 2. 실험의 목적 = 25
      • 3. 실험 자료 = 25
      • 4. 실험 결과 = 27
      • Ⅴ. 연구 결과 개요 = 31
      • Ⅵ. 결어 및 제언 = 33
      • 참고문헌 = 34
      • [Volume. 7]----------
      • 목차
      • 1. 問題의 提起 = 1
      • 2. 北韓의 文藝理論 批判 = 5
      • (1) 北韓의 文學과 藝術 = 5
      • (2) 北韓의 文藝理論과 그 非論理 = 10
      • ① 社會主義 리얼리즘 = 10
      • ② 主體의 文藝理論 = 13
      • ③ 種子論 = 17
      • 3. 北韓의 文藝政策 批判 = 21
      • (1) 文學 藝術에 대한 黨의 政策 = 21
      • (2) 文藝活動과 黨의 統制 = 27
      • ① 文學 藝術人의 組織動員 = 27
      • ② 文學 藝術 創作活動의 統制 = 29
      • ③ 文學 藝術 作品에 대한 검열 = 32
      • 4. 結論:北韓 文藝政策의 問題點 = 33
      • 參考文獻 = 3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