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New Decomposition of the United States, 1968-200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104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stimates what fraction of the rise in family income inequality in the United States between 1968 and 2000 is accounted for by change in each of the family income components such as wages, employment, and hours worked of family heads and spouses, family structure, and other incomes.
      The increased disparities in other incomes and labor supply account for, respectively, 29 percent and 28 percent of the rise in the difference in income between the top 10th and bottom 10th families. Structural changes in wages, largely regarded as the major culprit of the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explain less than a quarter of the rise in the measure of family income inequality.
      Changing fraction of families with both husband and wife an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income sources account for 11 percent and 16 percent, respectively, of the widening of the income gap.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ffect of changing labor supply declined over time, while that of wage changes increased. For the upper half of the income distribution, wage changes were the dominant cause of the increase in the gap between the richest 10th and middle-income families. For the lower half of the income distribution, in sharp contrast, changes in labor supply and other incomes were the principal causes of the growing distance between the poor and middle-income
      families.
      번역하기

      This study estimates what fraction of the rise in family income inequality in the United States between 1968 and 2000 is accounted for by change in each of the family income components such as wages, employment, and hours worked of family heads and sp...

      This study estimates what fraction of the rise in family income inequality in the United States between 1968 and 2000 is accounted for by change in each of the family income components such as wages, employment, and hours worked of family heads and spouses, family structure, and other incomes.
      The increased disparities in other incomes and labor supply account for, respectively, 29 percent and 28 percent of the rise in the difference in income between the top 10th and bottom 10th families. Structural changes in wages, largely regarded as the major culprit of the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explain less than a quarter of the rise in the measure of family income inequality.
      Changing fraction of families with both husband and wife an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income sources account for 11 percent and 16 percent, respectively, of the widening of the income gap.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ffect of changing labor supply declined over time, while that of wage changes increased. For the upper half of the income distribution, wage changes were the dominant cause of the increase in the gap between the richest 10th and middle-income families. For the lower half of the income distribution, in sharp contrast, changes in labor supply and other incomes were the principal causes of the growing distance between the poor and middle-income
      famil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구소득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인의 변화가1968년-2000년 사이 미국 가구소득 불평등도의 증가의 얼마만큼을 설명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기간 동안 비노동소득과 자산소득 분포의 변화는 최상위 10% 가구와 최하위 10% 가구 간 소득격차 증가의 29%를 설명하였으며, 가구주와 배우자의 고용 및 노동시간의 변화는 소득격차 증가의 28%를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동안 소득불평등도 증가의 주된 요인으로 제시되었던 임금 불평등도의 변화는 전체 소득격차 변화의 사분의 일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한편 결혼한 부부를 포함하는 가구 비율의 변화와 가구소득 원천의 구성변화는 각각 소득격차 증가의 11% 및 16%를 설명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한편 임금구조의 변화가 소득격차 증가에 미친 상대적 효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한 반면, 노동공급의 변화가 소득격차 증가에 미친 영향은 점차 감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50%의 가구를 고려했을 경우, 임금구조의 변화가 소득격차 증가를 주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던 반면, 하위 50% 가구에 있어서는 노동공급의 변화가 소득격차 증가의 가장 핵심적인 요인이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구소득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인의 변화가1968년-2000년 사이 미국 가구소득 불평등도의 증가의 얼마만큼을 설명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기간 동안 비노동소득과 자산소득 분포...

      본 연구는 가구소득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인의 변화가1968년-2000년 사이 미국 가구소득 불평등도의 증가의 얼마만큼을 설명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기간 동안 비노동소득과 자산소득 분포의 변화는 최상위 10% 가구와 최하위 10% 가구 간 소득격차 증가의 29%를 설명하였으며, 가구주와 배우자의 고용 및 노동시간의 변화는 소득격차 증가의 28%를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동안 소득불평등도 증가의 주된 요인으로 제시되었던 임금 불평등도의 변화는 전체 소득격차 변화의 사분의 일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한편 결혼한 부부를 포함하는 가구 비율의 변화와 가구소득 원천의 구성변화는 각각 소득격차 증가의 11% 및 16%를 설명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한편 임금구조의 변화가 소득격차 증가에 미친 상대적 효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한 반면, 노동공급의 변화가 소득격차 증가에 미친 영향은 점차 감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50%의 가구를 고려했을 경우, 임금구조의 변화가 소득격차 증가를 주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던 반면, 하위 50% 가구에 있어서는 노동공급의 변화가 소득격차 증가의 가장 핵심적인 요인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Introduction
      2. Analytical Framework
      3. Data
      4.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Household Income, 1969-1999
      5. Decomposition of the Changes in Family Income Inequality
      5.1 A Baseline Decomposition
      5.2. Right Tail vs. Left Tail of the Income Distribution
      5.3. Income Disparity between the 2nd and 9th Deciles
      6. Sensitivity of the Result to the Choice of Population
      7. Conclusions
      번역하기

      1. Introduction 2. Analytical Framework 3. Data 4.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Household Income, 1969-1999 5. Decomposition of the Changes in Family Income Inequality 5.1 A Baseline Decomposition 5.2. Right Tail vs. Left...

      1. Introduction
      2. Analytical Framework
      3. Data
      4.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Household Income, 1969-1999
      5. Decomposition of the Changes in Family Income Inequality
      5.1 A Baseline Decomposition
      5.2. Right Tail vs. Left Tail of the Income Distribution
      5.3. Income Disparity between the 2nd and 9th Deciles
      6. Sensitivity of the Result to the Choice of Population
      7. Conclus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